본문 바로가기

악성파일92

[악성코드 분석] KONNI Malware의 변종으로 알려진 NOKKI Malware 주의 KONNI Malware의 변종으로 알려진 NOKKI Malware 주의 1. 개요 ‘NOKKI’는 지난 ‘KONNI’ 악성코드와 유사점이 존재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유사점으로는 사용자의 PC 정보를 수집하는 코드와 문서를 만드는 기능, 그리고 피싱 메일을 통해 유포된다는 점이다. 사용자가 피싱메일에 첨부된 가짜 문서를 열람할 경우 악성코드가 실행되게 되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KONNI’의 경우 북한과 관련된 내용의 가짜 문서로 첨부파일의 열람을 유도하였고, ‘NOKKI’ 악성코드는 러시아 외무부(МИД России)라는 파일명으로 열람을 유도하였다. 지난 1월에는 캄보디아와 관련된 내용의 가짜 문서로 공격한 사례가 있으며 지속적해서 변종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NOKKI’ 악성코드.. 2018. 10. 24.
[악성코드 분석]유명 게임 치팅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파일 유포 주의 유명 게임 치팅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파일 유포 주의 1. 개요 Epic Games 社에서 개발한 유명 게임 포트나이트가 새로운 시즌을 맞이하면서, 이와 관련된 악성 파일 유포도 활발해지고 있다. 이전부터 포트나이트 치팅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 프로그램은 많았지만 대부분 게임 아이디, 패스워드,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정도였다. 이번에 발견된 샘플은 비트코인 지갑 등 민감한 정보를 다수 수집하기 때문에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포트나이트 치팅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프로그램의 악성 동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 구분 내용 파일명 HyperCheats by eblanich hack (work).exe 파일크기 171,520 bytes 진단명 Download.. 2018. 10. 18.
[악성코드 분석] 금융정보 탈취 악성코드 분석 금융정보 탈취 악성코드 분석 1. 개요 분석한 악성코드는 추가로 드롭한 악성 DLL을 로드하도록 윈도우 시스템 DLL 을 변조하여, 금융 정보 탈취와 변조를 시도 한다. 또한, 온라인 금융거래 시에 MITB(Man-In-The-Browser) 공격을 수행하여 목적을 달성한다. MITB 공격이란, 금융거래 시 사용자와 제공자 사이에서 거래 문서의 무결성(특히, JavaScript 코드의 무결성 검사)을 확인하지 않아 문서가 변조 됐어도 거래가 가능한 취약점을 노려 거래 과정에서 암호화되지 않은 구간의 민감한 정보를 탈취, 변조하는 공격이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MITB 공격을 수행하는 금융 정보 탈취 악성코드를 상세 분석하였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 구분 내용 파일명 PrimePC.exe 파일.. 2017. 3. 7.
[악성코드 분석] 바이러스와 웜 형태의 악성코드 'Mamianune' 상세 분석 바이러스와 웜 형태의 악성코드 'Mamianune' 상세 분석 1. 개요 생물학에서 다루는 바이러스처럼 자기 자신을 다른 컴퓨터에 전염 시키는 특성을 갖고있는 바이러스(Virus) 악성코드는 다른 실행 파일에 코드나 파일 형태로 기생한다. 그렇기에 감염된 파일을 치료하기 위해선 감염 형태를 분석해야 한다. 본 보고서에선 바이러스와 웜 형태로 전파되는 악성코드 ‘Mamianune’의 감염 동작을 분석하고 바이러스들이 전파 되는 방식을 담았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구분내용파일명Mamianune.exe파일크기20,027 Bytes진단명Virus/W32.Mamianune악성동작파일 바이러스다운로더 2-2. 유포 경로E-mail 웜 기능과 파일 바이러스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는 해당 악성코드의 특성.. 2017. 2. 24.
[악성코드 분석] 다운로더 악성동작 Tufik 바이러스 분석 다운로더 악성동작 Tufik 바이러스 분석 1. 개요 바이러스(Virus) 형태의 악성코드는 실행 파일에 코드나 파일 형태로 기생하므로 감염된 파일을 치료하기 위해선 감염 형태 분석이 필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바이러스 형태 다운로더 악성코드인 ‘Tufik’을 분석하여, 바이러스들의 다양한 감염 형태 중 하나를 파악하고 파일 감염 진행 방식에 대해 다루었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구분내용파일명tufik.exe파일크기41,472 Bytes진단명Virus/W32.Tufik악성동작파일 바이러스다운로더 2-2. 유포 경로해당 악성코드는 네트워크 활동을 통한 감염 시도가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감염된 컴퓨터에서 옮겨간 파일의 실행을 통하여 유포되었을 확률이 크다. 2-3. 실행 과정실행된 악성코드는 자.. 2017. 2. 3.
[악성코드 분석] 웜(Worm) 악성코드 Allaple 상세 분석 웜(Worm) 악성코드 Allaple 상세 분석 1. 개요 컴퓨터에서 웜(worm)의 정의는 ‘자신을 복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웜은 네트워크상에서 전파되며 바이러스(Virus)보다 일반적으로 전파속도가 빠르고 과도한 트래픽을 유발하여 대역폭을 잠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파일에 기생하여 실행되는 바이러스와 달리 웜은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C&C(Command & Control) 서버의 명령 없이 무조건 특정 IP에 DoS(Denial of Service) 공격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반한 웜 형태 악성코드인 ‘Allaple’(또는 Starman)을 분석하여 웜이 어떤 방식으로 증식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구분내용파일명allaple.exe파일크기.. 2017.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