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CHYON 1351

유럽 의료 기관을 표적으로 한 새로운 NailaoLocker 랜섬웨어 발견

보안 업체 Orange가 2024년 6월에서 10월 사이 유럽 의료 기관을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NailaoLocker 랜섬웨어에 대해 보고했다. NailaoLocker는 다른 랜섬웨어군에 비해 보안 프로세스나 실행 중인 서비스를 종료시키지 않고, 별도의 디버깅 방지 및 샌드박스 회피 메커니즘이 없어 상대적으로 단순한 랜섬웨어라고 언급했다. NailaoLocker는 합법적인 실행 파일을 포함하는 DLL 사이드로딩을 통해 사용자의 시스템에 배포된다고 말했다. 이후, 메모리 주소 검사를 수행해 환경을 확인한 다음 주요 페이로드를 해독해 메모리에 로드한다. 최종적으로, 랜섬웨어가 활성화되면 파일을 암호화하고 '.locked' 확장자를 추가해 HTML 랜섬 노트를 생성한다고 말했다. Orange는 랜섬 노트의 ..

부분 암호화를 사용하는 Play 랜섬웨어

2022년 처음 등장한 Play 랜섬웨어가 최근까지도 꾸준히 유포되면서 관련 피해 사례가 발견되고 있다. 해당 랜섬웨어는 암호화 과정에서 파일 크기에 따른 부분 암호화를 이용해 처리 속도를 단축하고 보안 프로그램의 탐지를 방지한다. 또한, 암호화가 완료된 파일의 끝에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 구조를 추가해 해당 파일의 암호화 유무를 확인하는 파일 마커와 암호화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1. 암호화 결과Play 랜섬웨어는 이동식 드라이브와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포함한 모든 드라이브를 대상으로 파일을 암호화한다. 암호화된 파일은 파일명 뒤에 “.PLAY” 확장자를 추가하고 공격자의 이메일 주소가 포함된 내용과 함께 “ReadMe.txt”라는 이름의 랜섬노트를 생성한다.  단, 암호화 대상에서 Windows 폴더,..

Microsoft 02월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

개요Microsoft 사는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하고, 관련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권고하였다.  기술  해결방안제조사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취약점이 해결된 아래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적용한다. - KB5051974, KB5051979, KB5051980, KB5051987, KB5051989, KB5052000, KB5052006, KB5052016, KB5052020, KB5052032, KB5052038, KB5052040, KB5052042, KB5052072, KB5052105, KB5052106 참고자료https://msrc.microsoft.com/update-guide/en-US/advisory/CVE-2025-21201https:/..

취약점 정보 2025.02.17

Cisco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개요Cisco 사는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하고, 관련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권고하였다. 기술 해결방안제조사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취약점이 해결된 아래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적용한다. - Cisco ISE 3.2P7, 3.2P8, 3.3P3, 3.3P4, 3.4P1- Cisco Secure Email and Web Manager 15.5.2-005, 16.0.0-195- Cisco Secure Email Gateway 15.0.3-002, 15.5.2-018, 16.0.0-050- Cisco Secure Web Appliance 15.0.1-004, 15.2.1-010- Cisco Expressway 15.2.2 Series- Cisco Async..

취약점 정보 2025.02.12

AMD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개요AMD 사는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하고, 관련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권고하였다. 기술 해결방안제조사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취약점이 해결된 아래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적용한다. - AMD EPYC™ 7001 Series NaplesPI 1.0.0.P- AMD EPYC™ 7002 Series RomePI 1.0.0.L- AMD EPYC™ 7003 Series MilanPI 1.0.0.F- AMD EPYC™ 9004 Series Genoa 1.0.0.E 참고자료https://www.amd.com/en/resources/product-security/bulletin/amd-sb-3019.html

취약점 정보 2025.02.07

2025년 01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악성코드 유형별 비율2025년 1월(1월 1일 ~ 1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외에서 수집된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유형별로 비교하였을 때 “Trojan”이 5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Virus”가 12%로 그 뒤를 따랐다.   2. 악성코드 동향2025년 1월(1월 1일 ~ 1월 31일) 한 달간 등장한 악성코드를 조사한 결과, 가짜 CAPTCHA 페이지를 이용한 "Lumma Stealer" 악성코드의 변종이 등장했다. 또한, AI 모델을 활용한 "FunkSec" 랜섬웨어와 정상 소프트웨어로 위장한 "PNGPlug" 악성코드가 새롭게 발견됐다. 이 외에도 탐지 방지와 랜섬웨어 등의 기능을 결합한 "NonEuclid" 악성코드와 안드로이드를 공격하는..

2025년 01월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통계랜섬웨어 데이터 유출 통계랜섬웨어 조직이 탈취한 것으로 주장하는 데이터가 게시된, 데이터 유출 사이트 44곳의 정보를 취합한 결과이다.2025년 1월(1월 1일 ~ 1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현황을 랜섬웨어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Clop” 랜섬웨어가 56건으로 가장 많은 데이터 유출이 있었고, “RansomHub” 랜섬웨어와 “Lynx” 랜섬웨어 및 “Akira” 랜섬웨어가 36건의 유출 사례를 기록했다.  2025년 1월(1월 1일 ~ 1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국가별로 비교하였을 때 미국이 5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캐나다와 영국이 5%로 그 뒤를 따랐다.  2025년 1월(1월 1일 ~ 1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산업별로 비교..

Microsoft 01월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

개요Microsoft 사는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하고, 관련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권고하였다.  기술  해결방안제조사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취약점이 해결된 아래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적용한다. - KB5049981, KB5049983, KB5049984, KB5049993, KB5050008, KB5050009, KB5050013, KB5050021 참고자료https://msrc.microsoft.com/update-guide/en-US/advisory/CVE-2025-21207https://msrc.microsoft.com/update-guide/en-US/advisory/CVE-2025-21257https://msrc.microsoft.com..

취약점 정보 2025.01.24

WordPress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개요WordPress 사는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하고, 관련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권고하였다. 기술 해결방안제조사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취약점이 해결된 아래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적용한다. - W3 Total Cache 2.8.2 참고자료https://www.wordfence.com/threat-intel/vulnerabilities/wordpress-plugins/w3-total-cache/w3-total-cache-281-authenticated-subscriber-missing-authorization-to-server-side-request-forgery

취약점 정보 2025.01.22

2024년 하반기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통계2024년 하반기(7월 1일 ~ 12월 31일) 동안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랜섬웨어 신•변종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하반기에 발견된 신•변종 랜섬웨어의 건수는 [그림 1]과 같다. 하반기에는 월 평균 17건의 랜섬웨어가 발견됐으며 이 중, 신종 랜섬웨어는 7월에, 변종 랜섬웨어는 10월과 12월에 가장 많이 발견됐다.   2024년 하반기(7월 1일 ~ 12월 31일) 동안 월별로 랜섬웨어가 요구한 랜섬머니를 조사했을 때 주로 비트코인(BTC)을요구했고, 랜섬머니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는 매월 낮은 비율을 차지했다.   2024년 하반기(7월 1일 ~ 12월 31일) 동안 랜섬웨어가 요구한 랜섬머니를 조사했을 때 비트코인(BTC) 요구가 23%로 가장 많았고, 랜섬머니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