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정보/모바일 분석 정보170 지도 앱으로 위장한 Origin 스파이웨어 텔레그램에서 지도 앱 AlpineQuest의 Pro 버전으로 위장해 유포되는 Origin 스파이웨어가 발견됐다. 공격자는 AlpineQuest Pro를 무료로 제공한다는 내용과 함께 악성코드가 삽입된 APK 파일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유도한다. 해당 앱을 실행하면 정상적인 지도 앱과 동일하게 동작하면서 백그라운드에서는 스파이웨어가 연락처, 파일 목록 및 위치 정보 등을 수집한 후 공격자에게 전송한다. 정상 및 악성 앱 비교Origin 스파이웨어는 정상 AlpineQuest Pro 앱에 악성코드를 삽입한 형태로 실제 정상 앱과 동일한 기능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 해당 앱을 실행하면 지도 서비스와 관련된 위치 정보 외에도 연락처 및 근처 디바이스 등에 대한 추가 권한을 요구한다. 정상 앱과 악성 앱의.. 2025. 5. 30. Dynamic Dex Loading을 이용하는 TrickMo 최근 구글 크롬 앱으로 위장해 유포되는 악성 안드로이드 앱 “TrickMo”가 발견됐다. 해당 악성 앱은 잘못 구성된APK 파일, Dynamic Dex Loading 및 APK 드롭 등을 이용해 분석을 방해하고 탐지를 회피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Dynamic Dex Loading은 Dex 파일을 동적으로 로딩하는 기법으로 디컴파일 도구에서 원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앱의 리소스에서 실질적인 악성 동작을 수행할 “TrickMo”의 APK 데이터를 읽어와 설치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최종 설치된 “TrickMo”는 공격자가 운영하는 C&C 서버에서 명령어를 수신 및 실행해 데이터 수집과 원격 제어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1. 분석 방지 및 탐지 회피1.1. 잘못 구성된 APK 파일“.. 2024. 12. 30. 구글 플레이 업데이트로 위장한 Antidot 최근 구글 플레이 업데이트로 위장해 유포되는 악성 안드로이드 앱 “Antidot”이 발견됐다. 해당 앱을 실행하면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옵션의 활성화를 요청하고, 구글 플레이 업데이트로 위장한 추가 앱의 설치를 유도한다. 추가로 설치된 앱은 VNC(Virtual Network Computing)를 직접 구현해 감염된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며, 오버레이 기술을 이용해 정보를 수집하고 공격자가 운영하는 C&C 서버로 정보를 전송한다. “Antidot”을 처음 실행하면 [그림 1]과 같이 구글 플레이 업데이트의 설치가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띄우고,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옵션의 활성화를 요청한다. 사용자가 해당 옵션을 활성화하면 구글 플레이 업데이트로 위장한 추가 앱의 설치가 진행된다. .. 2024. 7. 25. 디지털 인증서를 탈취하는 SoumniBot 최근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모바일 악성 앱 “SoumniBot”을 유포해 디지털 인증서를 탈취하는 캠페인이 발견됐다. 디지털 인증서는 국가에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발급하는 전자 서명용 공인 인증서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신원을 확인하고 송수신되는 네트워크 데이터를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이번 캠페인에서 활용된 “SoumniBot”은 모바일 부고장 또는 민원 목적 등의 정상 앱으로 위장해 사용자의 설치를 유도한다. 이후, 감염된 디바이스의 NPKI 폴더에서 디지털 인증서와 개인키 파일을 훔치며, 이로 인한 인증서 유출은 심각한 추가 피해를 야기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민원APP으로 위장한 “SoumniBot”을 실행하면 사용자에게 연락처, SMS 메시지 및 저장소 등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요.. 2024. 5. 16. 메신저 앱에서 정보를 탈취하는 VajraSpy 최근, 메신저 앱으로 위장해 감염된 디바이스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안드로이드 악성 앱 “VajraSpy”가 발견됐다. 해당 악성 앱은 구글 플레이 또는 악성 링크를 포함한 가짜 광고로 유포됐으며, 다양한 종류의 메신저로 위장하고 있다. 해당 앱을 실행하면 디바이스의 기본 메시지와 통화 앱 뿐만 아니라 WhatsApp과 Signal 등의 다른 메신저에서도 정보를 탈취한다. “VajraSpy”가 위장한 메신저 중 하나인 Wave Chat을 실행하면 전화번호로 사용자를 등록한 후,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상적인 앱처럼 동작한다. 단, 앱이 실행되기 전 먼저 악성 동작에 필요한 접근성 서비스와 알림 서비스 접근 권한을 요청한다. 해당 권한을 획득하면 카메라, 파일 및 위치 등의 권한을 추가로 요청하는데, 이때.. 2024. 2. 16. 대출 앱으로 위장한 정보탈취 앱, SpyLoan 최근,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정상 대출 앱으로 위장해 민감한 정보를 탈취하는 악성 앱 “SpyLoan”이 발견됐다. 해당 앱은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 지역을 대상으로 유포되며, 대출을 명목으로 사용자에게 개인 및 금융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한다. 공격자는 수집한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협박 메시지를 보내고, 금전을 갈취한다. “SpyLoan” 앱은 먼저 전화번호 인증을 이용해 사용자 등록 및 로그인을 요청하며, 미리 설정된 국가 번호는 대상 국가를 특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로그인에 성공하면,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과도한 권한을 요청한다. 이후, 대출에 필요한 과정인 것처럼 사용자를 속여 연락처, 신분증 및 은행 정보 등 민감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한다.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 .. 2024. 1. 3. 이전 1 2 3 4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