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정보/악성코드 분석 정보 373

NodeStealer, 페이스북 광고 관리자 계정 정보 탈취

최근 페이스북의 광고 관리자의 계정 정보를 탈취하는 “NodeStealer”가 발견됐다. 페이스북 광고 관리자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게시할 광고 생성과 관리 및 추적 등의 기능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광고 예산 지출 금액과 한도 금액 및 광고 노출 대상 등 각 광고 목적에 맞는 세부적인 설정이 가능하다. “NodeStealer”는 페이스북 광고 관리자의 계정 정보와 웹 브라우저에 저장된 비밀번호 및 결제 카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수집해 지정된 경로에 저장한다. 수집 이후에는 일정한 형식의 파일명으로 압축한 뒤 공격자의 텔레그램 주소로 전송한다.  이 악성코드는 페이스북 광고 관리자 페이지 주소로 GET 요청을 보내 광고 관리자 계정의 API 토큰값을 수집한다. 이후 페이스북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내보낼..

HORUS Protector를 이용해 유포되는 Snake Keylogger

악성코드 인코딩 및 배포 도구인 “HORUS Protector”를 이용해 유포되는 “Snake Keylogger”가 발견됐다. “HORUS Protector”는 백신 프로그램을 우회할 수 있는 FUD(Fully Undetectable) 크립터로 텔레그램에서 판매되고 있다. 최근 발견된 “Snake Keylogger”는 해당 프로텍터가 적용됐으며, 인코딩된 VBS 스크립트인 VBE 파일과 레지스트리로 악성코드를 난독화하고 프로세스 할로잉을 이용해 실행된다. 1. 동작 흐름도“Snake Keylogger”는 VBE 스크립트가 포함된 ZIP 아카이브 파일로 유포되며 VBE를 실행하면 공격자가 운영하는 C&C 서버에서 인코딩된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해 레지스트리에 저장한다. 이후 VBE는 레지스트리에 저장된 1..

텔레그램에서 판매 중인 Angry Stealer 악성코드

최근 텔레그램에서 판매 중인 정보 탈취 악성코드 "Angry Stealer"가 발견됐다. 이 악성코드는 텔레그램 채널 "ANGRY STEALER"에서 150달러에 판매되고 있으며, 해당 채널에는 수집 가능한 항목과 탈취한 결과물 그리고 제작자의 프로필 정보가 게시됐다. "Angry Stealer"를 실행하면 웹 브라우저와 암호화폐 지갑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크린샷을 찍어 지정한 경로에 폴더를 생성한 뒤 수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국가 코드와 IP 주소를 비롯해 일정한 형식의 파일 이름으로 압축 파일을 만들어 공격자의 텔레그램으로 전송한다.   분석파일 드롭 및 실행"Angry Stealer"를 실행하면 '%temp%' 경로에 2개의 파일을 드롭한다. 이 중 "Stepasha.exe"가 정보 탈..

Teams 설치 파일로 위장한 Oyster 백도어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의 Teams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해 유포되는 “Oyster” 백도어가 발견됐다. 공격자는 파일 아이콘과 파일 이름을 정상 설치 파일인 척 위장해 사용자의 다운로드와 실행을 유도한다. 그 후, 사용자가 실행한 해당 악성코드는 “Oyster” 백도어와 정상 파일을 드롭하고 실행하며 설치 과정을 보여줌과 동시에 감염된 PC 정보 수집과 공격자의 C&C 서버 통신 등의 악성 동작을 수행한다. Oyster 드롭퍼마이크로소프트의 Teams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실행하면 '%temp%' 경로에 2개의 파일을 드롭한다. 드롭한 파일 중 "CleanUp30.dll"은 "rundll32.exe”로 "Test" 함수를 호출해 실질적인 백도어 동작을 수행하며, "MSTeamsSetup_c_..

구글 플레이 업데이트로 위장한 Antidot

최근 구글 플레이 업데이트로 위장해 유포되는 악성 안드로이드 앱 “Antidot”이 발견됐다. 해당 앱을 실행하면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옵션의 활성화를 요청하고, 구글 플레이 업데이트로 위장한 추가 앱의 설치를 유도한다. 추가로 설치된 앱은 VNC(Virtual Network Computing)를 직접 구현해 감염된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며, 오버레이 기술을 이용해 정보를 수집하고 공격자가 운영하는 C&C 서버로 정보를 전송한다. “Antidot”을 처음 실행하면 [그림 1]과 같이 구글 플레이 업데이트의 설치가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띄우고,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옵션의 활성화를 요청한다. 사용자가 해당 옵션을 활성화하면 구글 플레이 업데이트로 위장한 추가 앱의 설치가 진행된다.  ..

취약한 드라이버를 악용하는 GhostEngine

최근 “GhostEngine” 악성코드를 유포해 EDR(Endpoint Detection and Response)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코인 마이너를 실행해 암호화폐를 채굴하는 캠페인이 발견됐다. 해당 캠페인은 취약한 윈도우 드라이버를 악용해 감염된 호스트에서 EDR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종료된 프로세스의 실행 파일을 삭제한다. 이후, 공격자가 운영하는 C&C 서버에서 “XMRig” 코인 마이너를 다운로드 및 실행한다. EXE 형식의 다운로더 “Tiworker.exe”와 “GhostEngine” 악성코드의 동작 흐름도는 [그림 1]과 같다. 먼저, “Tiworker.exe”는 파워쉘 스크립트인 “get.png”를 다운로드 및 실행하며, 스크립트는 각 모듈과 윈도우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한다. 다운로드된 모듈 중..

이미지 스위칭을 이용하는 Ande Loader

최근 북미의 제조업을 대상으로 “Ande Loader”를 사용해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캠페인이 발견됐다. 해당 캠페인에서 사용된 “Ande Loader”는 Base64로 인코딩된 후 VBScript 형태로 유포됐으며, 공격자의 C&C 서버에서 최종 페이로드인 “NjRAT”을 다운로드 후 실행한다. 이후, 실행된 “NjRAT”은 사용자 PC에서 C&C 서버 연결을 시도하고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명령에 따른 추가 동작을 수행한다. 공격자가 “Ande Loader”를 이용해 사용자 PC에서 최종 페이로드를 다운로드 및 실행하는 흐름도는 [그림 1]과 같다.  ①     VBS 파일 내부의 PE 데이터를 Baset64로 디코딩해 “Ande Loader”를 확보한 후, 별도의 드롭 과정 없이 실행한다.②     “..

가짜 구인 광고로 유포되는 Ov3r_Stealer

최근 페이스북에서 가짜 구인 광고를 이용해 유포되는 “Ov3r_Stealer”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가짜 광고에는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는 링크가 포함돼 있으며, 업무와 관련된 상세 정보의 제공을 미끼로 링크 접속을 유도한다. 링크에서 다운로드된 악성코드가 실행되면 감염된 호스트에서 자격 증명과 암호 화폐 등의 민감한 정보를 탈취한다. “Ov3r_Stealer”는 [그림 1]과 같이 윈도우 에러 리포팅 서비스인 “WerFaultSecure.exe”를 실행하고, DLL 사이드 로딩 기법을 이용해 악성 DLL을 로드한다. 해당 DLL은 바이너리 파일에 저장된 스틸러 페이로드를 복호화 후 실행한다. 가짜 구인 광고에 포함된 링크에 접속하면 악성 CPL(제어판) 파일이 다운로드되며, 해당 파일은 PowerShel..

모듈형 인포스틸러 Rhadamanthys

최근 “Rhadamanthys” 스틸러 악성코드의 유포 정황이 잇따라 발견되고 있다. 해당 악성코드는 모듈식 구조로 필요한 기능을 추가하거나 최소한의 필요한 기능만 실행하는 등 공격자가 대상과 목적에 맞게 커스텀할 수 있다. 해당 악성코드가 실행되면 내장된 모듈이 차례대로 로드 및 실행되며, 최종적으로 스틸러 페이로드를 다운로드해 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한다. “Rhadamanthys” 스틸러는 [그림 1]과 같이 코드 인젝션, 분석 방지 및 C&C 서버 통신을 수행하는 각각의 모듈로 구성된다. 분석 방지 모듈의 조건을 통과하면, C&C 서버에서 추가 명령 및 페이로드를 수신한다. 악성코드를 실행하면, 먼저 내부 디코딩 루틴을 사용해 쉘 코드를 생성하고, 메모리에 공간에 로드 후 실행한다. 생성된 코드는 ..

문서 파일로 위장한 SugarGh0st RAT

최근 “Gh0st RAT”의 변종인 “SugarGh0st RAT” 악성코드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을 대상으로 유포된 정황이 발견됐다. 해당 악성코드 PDF 또는 DOC 문서로 위장한 LNK 파일로 유포되며, 실행하면 미끼 문서를 띄워 정상 파일인 것처럼 사용자를 속인 후, 감염된 PC에서 정보 수집, 키로깅, 화면 캡처 및 리버스 쉘 등을 포함한 다양한 공격을 수행한다. “SugarGh0st RAT” 악성코드는 [그림 1]과 같이 한국어 또는 우즈베크어로 작성된 미끼 문서를 띄워 정상 파일인 것처럼 사용자를 속이고, 백그라운드에서 악성 동작을 수행한다. 문서로 위장한 LNK 파일은 “%TEMP%” 폴더에 자바 스크립트 파일을 드롭 및 실행한다. 자바 스크립트는 [그림 3]과 같이 난독화가 적용돼 있으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