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정보/악성코드 분석 정보 366

가짜 구인 광고로 유포되는 Ov3r_Stealer

최근 페이스북에서 가짜 구인 광고를 이용해 유포되는 “Ov3r_Stealer”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가짜 광고에는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는 링크가 포함돼 있으며, 업무와 관련된 상세 정보의 제공을 미끼로 링크 접속을 유도한다. 링크에서 다운로드된 악성코드가 실행되면 감염된 호스트에서 자격 증명과 암호 화폐 등의 민감한 정보를 탈취한다. “Ov3r_Stealer”는 [그림 1]과 같이 윈도우 에러 리포팅 서비스인 “WerFaultSecure.exe”를 실행하고, DLL 사이드 로딩 기법을 이용해 악성 DLL을 로드한다. 해당 DLL은 바이너리 파일에 저장된 스틸러 페이로드를 복호화 후 실행한다. 가짜 구인 광고에 포함된 링크에 접속하면 악성 CPL(제어판) 파일이 다운로드되며, 해당 파일은 PowerShel..

모듈형 인포스틸러 Rhadamanthys

최근 “Rhadamanthys” 스틸러 악성코드의 유포 정황이 잇따라 발견되고 있다. 해당 악성코드는 모듈식 구조로 필요한 기능을 추가하거나 최소한의 필요한 기능만 실행하는 등 공격자가 대상과 목적에 맞게 커스텀할 수 있다. 해당 악성코드가 실행되면 내장된 모듈이 차례대로 로드 및 실행되며, 최종적으로 스틸러 페이로드를 다운로드해 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한다. “Rhadamanthys” 스틸러는 [그림 1]과 같이 코드 인젝션, 분석 방지 및 C&C 서버 통신을 수행하는 각각의 모듈로 구성된다. 분석 방지 모듈의 조건을 통과하면, C&C 서버에서 추가 명령 및 페이로드를 수신한다. 악성코드를 실행하면, 먼저 내부 디코딩 루틴을 사용해 쉘 코드를 생성하고, 메모리에 공간에 로드 후 실행한다. 생성된 코드는 ..

문서 파일로 위장한 SugarGh0st RAT

최근 “Gh0st RAT”의 변종인 “SugarGh0st RAT” 악성코드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을 대상으로 유포된 정황이 발견됐다. 해당 악성코드 PDF 또는 DOC 문서로 위장한 LNK 파일로 유포되며, 실행하면 미끼 문서를 띄워 정상 파일인 것처럼 사용자를 속인 후, 감염된 PC에서 정보 수집, 키로깅, 화면 캡처 및 리버스 쉘 등을 포함한 다양한 공격을 수행한다. “SugarGh0st RAT” 악성코드는 [그림 1]과 같이 한국어 또는 우즈베크어로 작성된 미끼 문서를 띄워 정상 파일인 것처럼 사용자를 속이고, 백그라운드에서 악성 동작을 수행한다. 문서로 위장한 LNK 파일은 “%TEMP%” 폴더에 자바 스크립트 파일을 드롭 및 실행한다. 자바 스크립트는 [그림 3]과 같이 난독화가 적용돼 있으며, ..

CyberLink 설치 파일로 유포되는 LambLoad 악성코드

최근 북한 해킹조직의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 정황이 잇따라 발견되고 있다. 대만의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기업인 사이버링크(CyberLink) 또한 공격 대상이 됐으며, 손상된 사이버링크 소프트웨어 설치 파일이 일본, 대만, 캐나다 및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발견됐다. 해당 파일은 소프트웨어 설치 과정 중간에 악성 페이로드가 삽입돼 있으며, 실행하면 C&C 서버에서 “LambLoad”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및 실행한다. 손상된 사이버링크 설치 파일은 정상 파일과 아이콘 및 파일명이 동일하며, “CyberLink Corp.”에서 발급된 인증서로 서명돼 있어 사용자의 의심을 피하기 쉽다. 현재 해당 인증서는 Microsoft의 “허용되지 않은 인증서 목록”에 추가됐다. 설치 파일에 삽입된 악성 페이로드는 시스템..

Node.js를 활용하는 Lu0Bot 악성코드

최근 SFX 압축 파일 형태로 유포되는 “Lu0Bot”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해당 악성코드는 C&C 서버의 명령을 받아 동작하는 봇 악성코드이며, Node.js 인터프리터와 암호화된 JavaScript를 포함하고 있다. “Lu0Bot”을 실행하면, 스스로 압축을 해제 후 Node.js를 사용해 암호화된 JavaScript를 복호화 및 실행한다. Node.js는 플랫폼에 구애 받지 않고 JavaScript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라이브러리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Lu0Bot”은 별도의 외부 소스 없이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현재 해당 악성코드는 PE 파일로 유포되고 있어 Windows에서만 실행되지만, Node.js의 활용은 Linux 등의 다른..

Teams를 사용해 유포되는 DarkGate 악성코드

마이크로소프트의 Teams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포되는 “DarkGate”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공격자는 Teams 채팅으로 “휴가 일정 변경” 관련 파일을 전송해 사용자의 다운로드를 유도한다. 해당 압축 파일은 PDF 문서로 위장한 LNK 파일을 포함하고 있으며, LNK 파일은 C&C 서버에서 추가 페이로드를 다운로드해 최종적으로 “DarkGate” 악성코드를 실행한다. “DarkGate”는 C&C 서버와 연결 후 서버에서 수신한 명령에 따라 악성 동작을 수행한다. Teams 채팅에서 다운로드한 압축 파일은 PDF 문서로 위장한 LNK 파일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림 1]과 같이 C&C 서버와 연결하는 VBS 파일을 드롭 후 실행한다. C&C 서버와 연결에 성공하면, 서버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고, 해당 ..

오토잇 스크립트를 활용하는 SuperBear RAT

최근 공격 대상의 조직 구성원을 사칭한 이메일을 이용해 저널리스트를 대상으로 유포되는 “SuperBear” RAT가 발견됐다. 이메일에 첨부된 악성코드를 실행하면, 자동화 프로그램인 오토잇(AutoIt)의 실행파일과 스크립트가 다운로드 되며, 해당 스크립트는 프로세스 할로잉(Process Hollowing) 기술을 사용해 “SuperBear” 코드를 메모리에 주입한다. 이후, “SuperBear”는 C&C 서버에 연결해 명령어를 수신하고, 추가적인 악성 동작을 수행한다. 오토잇 스크립트가 실행되면, 먼저 내부 데이터를 복호화해 “SuperBear”의 PE 코드를 생성한다. 이후, 프로세스 할로잉 대상이 될 “explorer.exe” 프로세스의 인스턴스를 suspended 상태로 생성한다. 생성된 “exp..

OpenCarrot 백도어

Sentinel Labs에 의해, 러시아의 군용 제조업체에 발생한 침해 공격이 북한의 소행인 것으로 밝혀졌다. 해당 공격에서 OpenCarrot 이라는 Windows 백도어를 사용하였으며, 이메일 등을 통해 유포된 것으로 전해진다. 백도어는 비정상적인 인증 과정을 통해 시스템에 접근하고, 시스템에 설치되면 다양한 악성 동작을 수행한다. OpenCarrot 백도어의 경우, 아래의 그림과 같이 복잡한 페이로드를 통해 사용자 PC에 설치된다. 해당 파일은 시스템 파일에 인젝션하여 바이너리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바이너리를 통해 최종적으로 OpenCarrot 백도어가 생성된다. 해당 파일이 실행되면, 시스템 폴더에 실행 파일 중에서 UAC 권한 상승이 필요없는 파일을 대상으로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코드 인젝션..

Outlook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포되는 ORPC 백도어 악성코드

최근 “Bitter” 해커 그룹의 새로운 공격 도구인 “ORPC” 백도어가 발견됐다. 해당 백도어는 전자 메일 서비스 Outlook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포되며, Microsoft Office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OLMAPI32.DLL” 파일로 위장한다. 해당 DLL은 Outlook 실행 시 로드되는 모듈로 사용자가 Outlook을 실행하면, 백도어는 해당 DLL을 하이재킹해 대신 로드된 후 악성 동작을 수행한다. “ORPC” 백도어는 먼저 작업 스케줄러에 Outlook을 주기적으로 실행하는 새로운 작업을 추가해 지속성을 획득한다. 해당 작업은 [그림 1]과 같이 “Miscrosoft Update”라는 이름으로 등록돼 정상 작업처럼 위장한다. 이후, 감염된 PC의 프로세스 목록과 시스템 정보를 수집한다..

구글 광고로 유포되는 Statc Stealer

공격자가 정상적인 웹사이트, 프로그램으로 위장하며 사용자를 속이고, 악성 파일을 실행하도록 유도하는 일은 늘 있었다. 최근에는 한발 더 나아가 구글 검색 결과 상단에 노출되는 광고에 정상 웹사이트로 위장한 피싱 사이트를 게시하는 등, 대담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Statc Stealer 도 이러한 방식으로 구글 광고를 통해 사용자를 끌어들인 후 악성 파일의 다운로드, 실행을 유도하고 있다. 피싱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받은 Statc 드랍퍼는 유효하지 않은 Dropbox 社 인증서로 Signing 된 채, Avanquest 社에서 개발한 Expert PDF 라는 이름의 정상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유포되었다. 드랍퍼가 실행되면 %LOCALAPPDATA%\Temp 경로에 정상 프로그램으로 위장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