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적공격 3

[주의]정보보안예산 워드문서로 위장한 표적공격용 악성파일

1. MS Office Word 문서파일을 이용한 악성파일 발견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지능형 표적공격을 집중관제 중에 2013년 10월 30일 경 정보보안예산 내용으로 위장한 DOC 문서형태의 악성파일을 다수 발견하여, 꾸준히 추적 조사 중에 있다. 해당 문서파일을 실행하게 되면 매크로 기능을 통해 이용자 컴퓨터에 추가적인 악성파일이 몰래 설치 시도된다. 따라서 이용자들은 가급적 매크로 기능이 실행되지 않도록 보안설정을 해두고, 신뢰하기 어려운 경우 절대로 매크로 기능을 활성화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각종 문서파일로 사칭한 악성파일의 경우 이용자들이 무심코 실행하는 경우가 많아 지능적 표적공격에 다수 악용되고 있다. 이메일 첨부파일로 문서파일을 받을 경우 악성여부를 의심하고, 신뢰하기 어려운 경우 절..

[주의]통일연구 및 무역관련 기관을 겨냥한 표적공격 다수 발견

1. 한컴오피스 문서파일(HWP/CELL) 취약점을 이용한 불청객 이메일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상시 보안관제 중 2013년 07월 01일부터 10일까지 한국내 통일연구 및 무역관련 기관을 집중적으로 노린 지능화된 표적공격 정황을 다수 포착하였다. 이번 공격은 한글과컴퓨터사의 한컴오피스 문서파일 취약점을 공통적으로 사용한 특징이 있으며, HWP 파일뿐만 아니라 CELL 파일 취약점도 이용되었다. 또한, 일부는 PDF 문서파일처럼 아이콘을 조작한 실행파일(EXE) 스타일의 악성파일도 함께 발견되는 등 다양한 기법이 동원되었다. 특히, 이메일의 보낸 사람 이름에 "보좌관" 이라고 표기하거나 마치 중요한 업무내용처럼 관련 문구를 포함시킨 사례도 확인되었다. 이는 수신자로 하여금 좀더 안심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이메일..

[주의]국내 구직 영문 이력서로 위장한 표적공격형 악성파일

1. 개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2012년 10월 24일 국내 특정 웹 사이트가 침해사고를 입어 개인 구직 정보내용 문서처럼 위장된 악성파일이 관리자 몰래 은밀히 등록되고, 웹 사이트 관리자가 의도하지 않게 중개지 역할로 악용되어 또 다른 기업의 표적형 공격방식으로 사용중인 정황을 포착하였다. 해당 악성파일은 ZIP 방식의 압축된 형식으로 유포되고 있고, 압축파일 내부에는 MS Word 문서처럼 아이콘과 확장명 등을 위장한 실행파일(EXE)이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가 문서파일(DOC)로 오인하고 실행할 경우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실제 이력서 문서파일이 설치된 후 실행되어 사용자에게는 실제 문서파일이 실행된 것처럼 보이도록 나름의 속임수 기법을 사용하였다. 특히, 악성파일은 마치 정상적인 파일처럼 둔갑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