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rotect Mobile 3

[주의]스마트 꽃뱀의 덫? 모바일 악성앱 사기에서 협박까지 범죄온상

1. 채팅을 통한 신체노출 유도와 악성앱 그리고 협박 종결자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용 무작위 채팅 서비스 앱들을 통해서 음란한 문구나 자극적 화면으로 불특정 채팅 이용자들을 현혹시켜 유도한 후 안드로이드 악성앱을 몰래 감염시켜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신종 협박형 사기정황을 포착하여 내사를 진행 중에 있었고, 최근 실제 피해자로 부터 구체적인 수법을 제보받았다. 협박범들은 스마트폰 랜덤 채팅앱 등에서 여성으로 위장하여 불특정 남성들에게 음란한 광고성 글로 이용자들에게 미끼를 던진 후, 연결된 남성에게 "본격적으로 좀더 과감하게 음란한 채팅을 하자"고 유인한다. 이때 컴퓨터와 스마트폰간에 통화가 가능한 스카이프(Skype) 설치를 통해서 영상채팅을 하도록 유도하며, 남성의 얼굴과 성적으로 민감한..

[주의]nProtect Mobile 제품으로 위장한 안드로이드 악성앱 등장 (#Update 2013. 03. 13)

1. 소액결제사기 끝판왕? 엔프로텍트 모바일 앱으로 둔갑잉카인터넷 대응팀은 모바일 보안관제를 진행하던 중, 기존 소액결제사기용 스미싱 악성앱 변종이 nProtect Mobile 제품으로 위장한 형태를 최초 발견하였다. 악성앱 제작자는 자신이 만든 악성파일이 잉카인터넷 보안관제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관련 정보가 노출되자 아예 nProtect Mobile 제품처럼 사칭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공격자가 새로운 변종을 제작하여 유포하면 그 즉시 탐지되고 신속하게 업데이트되어 소액결제사기 피해가 최소화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며, 곧 공개할 스미싱 원천 차단솔루션에 대한 사전 반격으로도 예측된다. 그만큼 공격자들은 잉카인터넷 대응팀의 신속한 대응능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으며, 자신들의 사기범행..

[주의]안드로이드 전용 모바일 보안업데이트로 가장한 좀비폰 미끼

1. 모바일 디도스 공격용 악성파일은 변신의 귀재? 2012년 11월 경부터 그 실체가 사실로 드러난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용 악성파일(Trojan/Android.KRDDoS)이 2013년 2월까지 잉카인터넷 대응팀의 보안모니터링에 수시로 포착되고 있다. 문제는 이 악성파일이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들을 주요 표적으로 겨냥하고 있다는 부분이며, 발견된 경유지가 차단되면, 얼마 지나지 않아 또 다른 웹 사이트를 이용하는 등 악성 앱 유포를 쉽사리 멈추지 않고 있다는 점에 주목된다. 이는 공격자가 ◆지능적으로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나름의 노력을 하고 있다는것을 의미하고, 악성파일의 생존기간과 전파범위를 확대시키기 위한 다각적 시도를 끊임없이 진행하고 있는 것을 여실히 증명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