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R영역을 변조하는 ‘RedBoot Ransomware’ 감염 주의
1. 개요
일반적인 랜섬웨어는 사용자 PC의 파일을 암호화하고 이를 인질로 삼아 복호화를 조건으로 금전을 요구한다. 이때, 사용자의 PC는 암호화된 파일을 여는 것 외에는 정상적으로 운영체제를 사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 일반적인 랜섬웨어의 동작방식과는 다른 컴퓨터 하드디스크의 MBR 코드를 변조시켜 운영체제가 정상적으로부팅하는 것을 막는 랜섬웨어인 ‘RedBoot Ransomware’가 발견되었다.
‘RedBoot Ransomware’ 에 감염되면 파일 암호화만 진행할 뿐 아니라 정상적으로 PC를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칫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보고서에서 MBR영역을 변조시키는 ‘RedBoot Ransomware’ 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
구분 |
내용 |
파일명 |
Installer.exe |
파일크기 |
1,246,725 byte |
진단명 |
Ransom/W32.RedBoot.1246725 |
악성동작 |
드롭퍼, 파일 암호화, 금전 요구 |
2-2. 유포 경로
정확한 유포 경로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해당 랜섬웨어는 스팸 메일, 웹을 통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유포할 것으로 추정 된다.
2-3. 실행 과정
해당 랜섬웨어 숙주파일이 실행되면 사용자 PC의 “C:\Users\사용자 계정\” 경로에 임의의 숫자로 구성된 이름의 폴더를 생성 하고 다음과 같은 파일들이 드롭되어 실행 된다. 그 후 대상이 되는 사용자 PC의 파일을 찾아 암호화 동작을 수행하고 파일 암호화가 완료되면 ‘.locked’ 확장자를 덧붙인다. 그리고 재부팅이 수행되어 정상적인 운영체제 부팅을 못하도록 한다.
3. 악성 동작
3-1. 악성 파일 드롭
‘Redboot Ransomware’ 가 실행되면 악성동작을 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여러 악성 파일들을 사용자 “C:\Users\사용자 계정\” 경로에 임의의 숫자로 구성된 이름의 폴더를 생성 하고 다음과 같은 파일들이 드롭 되어 실행 된다.
[그림 1] 드롭 된 파일
구분 |
내용 |
assembler.exe |
boot.asm 어셈블리 파일을 boot.bin 파일로 컴파일하는데 사용 |
boot.asm |
새롭게 변경될 MBR 어셈블리 코드로 boot.bin 으로 컴파일 되어질 어셈블리 파일 |
main.exe |
사용자 PC의 파일을 암호화하는 목적으로 사용 |
overwrite.exe |
기존의 MBR 영역을 새로 컴파일 된 boot.bin으로 변조시킬 목적으로 사용 |
protect.exe |
작업관리자 및 프로세스 해커와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 |
[표 1] 드롭 된 파일 용도
3-2. 파일 암호화
해당 랜섬웨어는 대상이 되는 파일을 찾아 암호화를 진행하고, 암호화가 완료되면 원본 파일명에 ‘.locked’ 확장자를 덧붙인다. 아래는 암호화 된 사용자 파일을 보여준다.
[그림 2] 파일 암호화
구분 |
내용 |
암호화 대상 파일 확장자 |
모든 확장자 |
[표 2] 암호화 대상 파일 확장자
3-3. MBR 코드 변조
[그림 3] Overwrite.exe 에서 MBR영역 변조시키는 부분
[그림 4] MBR 영역 변조 전
[그림 5] MBR 영역 변조 후
3-4. 복구 안내
파일 암호화가 완료되고 MBR 영역까지 변조가 되면 해당 랜섬웨어는 암호화된 파일에 대하여 복호화 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메일로 식별키를 전송하라고 작성되어 있다. 이메일에 대한 답변으로 금전을 요구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 6] 변조 된 MBR영역 랜섬 노트
4. 결론
[그림 7] nProtect Anti-Virus/Spyware V4.0 진단 및 치료 화면
[그림 8] nProtect Anti-Virus/Spyware V3.0 진단 및 치료 화면
'분석 정보 > 랜섬웨어 분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성코드 분석] 한국 겨냥한 ‘Magniber(=MyRansom) Ransomware’ 감염 주의 (0) | 2017.10.26 |
---|---|
[악성코드 분석] ‘Onion3Cry Ransomware’ 감염 주의 (0) | 2017.10.23 |
[악성코드 분석] 다시 돌아온 ‘Locky ransomware’ 감염 주의 (0) | 2017.10.13 |
[악성코드 분석] ‘AllCry ransomware’ 감염 주의 (0) | 2017.10.01 |
[악성코드 분석] ‘Hacked ransomware’ 분석 (0) | 2017.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