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Cisco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개요Cisco 사는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하고, 관련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권고하였다취약점 정보Cisco IOS XE Wireless Controller Software 임의 파일 업로드 취약점CVE-2025-20188 Cisco IOS XE Software의 WLC Wireless IPv6 클라이언트 서비스 거부(DoS) 취약점CVE-2025-20140 Cisco IOS XE Software 웹 기반 관리 인터페이스 명령 삽입(command injection) 취약점CVE-2025-20186 Cisco IOS, IOS XE, IOS XR Software TWAMP 서비스 거부(DoS) 취약점CVE-2025-20154 다수의 Cisco 제품 .. 2025. 5. 30. 텔레그램으로 정보를 탈취하는 PupkinStealer 최근 .NET 기반의 정보 탈취 악성코드 PupkinStealer가 발견됐다. 이 악성코드는 웹 브라우저에 저장된 로그인 정보, 바탕화면 경로의 파일, 디스코드 토큰값 및 텔레그램 세션 데이터 등의 다양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한 데이터는 ZIP 아카이브 형태로 압축하고 수집 정보 개수와 수집 성공 여부와 함께 공격자의 텔레그램 봇 주소로 전송한다. PupkinStealer는 난독화나 암호화 또는 자동 실행 등록 등의 기능 없이 동작하도록 설계됐으며 실행 직후 정보 수집 행위를 비동기 작업으로 생성해 정보를 빠르게 수집하고 공격자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돼 있다. PupkinStealer는 Task.Run 함수를 사용해 정보 수집과 스크린샷 캡처 동작을 비동기로 생성 및 실행하고 작업이 모두 완료되면.. 2025. 5. 30. 지도 앱으로 위장한 Origin 스파이웨어 텔레그램에서 지도 앱 AlpineQuest의 Pro 버전으로 위장해 유포되는 Origin 스파이웨어가 발견됐다. 공격자는 AlpineQuest Pro를 무료로 제공한다는 내용과 함께 악성코드가 삽입된 APK 파일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유도한다. 해당 앱을 실행하면 정상적인 지도 앱과 동일하게 동작하면서 백그라운드에서는 스파이웨어가 연락처, 파일 목록 및 위치 정보 등을 수집한 후 공격자에게 전송한다. 정상 및 악성 앱 비교Origin 스파이웨어는 정상 AlpineQuest Pro 앱에 악성코드를 삽입한 형태로 실제 정상 앱과 동일한 기능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 해당 앱을 실행하면 지도 서비스와 관련된 위치 정보 외에도 연락처 및 근처 디바이스 등에 대한 추가 권한을 요구한다. 정상 앱과 악성 앱의.. 2025. 5. 30. Apple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개요Apple 사는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하고, 관련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권고하였다. 취약점 정보macOS Sequoia 15.5afpfs악성 AFP 서버 연결로 커널 메모리를 손상시킬 수 있음CVE-2025-31246 afpfs악의적으로 제작된 AFP 네트워크 공유를 마운트하면 시스템이 종료될 수 있음CVE-2025-31237, CVE-2025-31240 Apple Intelligence 보고서앱이 민감한 사용자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음CVE-2025-31260 AppleJPEG악의적으로 제작된 미디어 파일을 처리하면 앱이 예기치 않게 종료되거나 프로세스 메모리를 손상시킬 수 있음CVE-2025-31251 Audio앱이 예기치 않은 시스.. 2025. 5. 28. 윈도우 서비스로 위장한 Sagerunex 백도어 최근 동남아시아 지역의 공공 및 국방 기관을 대상으로 Sagerunex 백도어를 유포하는 캠페인이 발견됐다. 해당 백도어는 2012년부터 유포되던 Elise 백도어를 시작으로 기능을 개선 및 추가하는 등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해 Evora, Sagerunex 순으로 발전돼 왔다. 또한 여러 공격 사례에서 Sagerunex 백도어의 C&C 서버 연결 방식에 따른 다양한 변종이 발견되고 있다. 캠페인에서 공격자는 정상 서비스인 swprv의 DLL 파일로 위장한 로더 악성코드를 윈도우 폴더에 저장하고 서비스 DLL의 경로가 저장된 레지스트리를 로더의 저장 위치로 수정한다. 이후 공격자가 swprv 서비스를 재시작하거나 시스템을 재부팅해 해당 서비스가 로더의 ServiceMain 함수를 호출하도록 유도하며 로더.. 2025. 5. 20. 러시아 해킹그룹 FIN7, AnubisBackdoor 유포 최근 러시아 해킹그룹 FIN7이 제작한 파이썬 스크립트 기반의 AnubisBackdoor가 발견됐다. FIN7은 Savage LadyBug나 CarbonSpider라고도 불리며 은행과 미디어 등 여러 업체를 대상으로 공격해왔다. 근래에는 REvil 랜섬웨어를 사용하고 RaaS로 DarkSide 랜섬웨어를 판매했으며 2024년 7월에는 취약한 드라이버 파일로 보안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AvNeutralizer를 제작 및 판매하는 정황도 발견됐다. 이번에 발견된 AnubisBackdoor는 FIN7이 제작한 새로운 백도어로 피싱 캠페인에서 유포된 ZIP 파일 내의 다른 정상 파일과 함께 들어있다. 이 악성코드는 Base64 인코딩, AES 암호화 및 모양이 유사한 문자를 이용해 난독화한 것이 특징이다. 복호화.. 2025. 5. 2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