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912

텔레그램에서 판매 중인 Angry Stealer 악성코드 최근 텔레그램에서 판매 중인 정보 탈취 악성코드 "Angry Stealer"가 발견됐다. 이 악성코드는 텔레그램 채널 "ANGRY STEALER"에서 150달러에 판매되고 있으며, 해당 채널에는 수집 가능한 항목과 탈취한 결과물 그리고 제작자의 프로필 정보가 게시됐다. "Angry Stealer"를 실행하면 웹 브라우저와 암호화폐 지갑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크린샷을 찍어 지정한 경로에 폴더를 생성한 뒤 수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국가 코드와 IP 주소를 비롯해 일정한 형식의 파일 이름으로 압축 파일을 만들어 공격자의 텔레그램으로 전송한다.   분석파일 드롭 및 실행"Angry Stealer"를 실행하면 '%temp%' 경로에 2개의 파일을 드롭한다. 이 중 "Stepasha.exe"가 정보 탈.. 2024. 9. 30.
Mozilla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개요Mozilla 사는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하고, 관련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권고하였다. 기술 해결방안제조사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취약점이 해결된 아래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적용한다. - Firefox for Android 130.0.1 참고자료https://www.mozilla.org/en-US/security/advisories/mfsa2024-45/#CVE-2024-8897 2024. 9. 27.
Microsoft 09월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 개요Microsoft 사는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하고, 관련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권고하였다.  기술  해결방안제조사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취약점이 해결된 아래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적용한다. - KB5040438, KB5040442, KB5042880, KB5042881, KB5043049, KB5043050, KB5043051, KB5043055, KB5043064, KB5043067, KB5043076, KB5043080, KB5043083, KB5043087, KB5043092, KB5043125, KB5043129, KB5043135, KB5043138 참고자료https://msrc.microsoft.com/update-guide/en-.. 2024. 9. 26.
Teams 설치 파일로 위장한 Oyster 백도어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의 Teams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해 유포되는 “Oyster” 백도어가 발견됐다. 공격자는 파일 아이콘과 파일 이름을 정상 설치 파일인 척 위장해 사용자의 다운로드와 실행을 유도한다. 그 후, 사용자가 실행한 해당 악성코드는 “Oyster” 백도어와 정상 파일을 드롭하고 실행하며 설치 과정을 보여줌과 동시에 감염된 PC 정보 수집과 공격자의 C&C 서버 통신 등의 악성 동작을 수행한다. Oyster 드롭퍼마이크로소프트의 Teams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실행하면 '%temp%' 경로에 2개의 파일을 드롭한다. 드롭한 파일 중 "CleanUp30.dll"은 "rundll32.exe”로 "Test" 함수를 호출해 실질적인 백도어 동작을 수행하며, "MSTeamsSetup_c_.. 2024. 9. 24.
피싱 이메일을 통해 배포되는 SambaSpy 악성코드 보안 업체 Kaspersky가 최근 이탈리아 사용자를 표적으로 공격하는 SambaSpy 악성코드 캠페인에 대해 보고했다. HTML 첨부 파일이나 감염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내장된 링크가 포함된 피싱 이메일로부터 공격이 시작된다. 사용자가 내장된 링크를 클릭했을 때 웹 브라우저의 언어가 이탈리아어로 설정되어있는 경우에만 악성 웹 서버로 연결된다. 이때, 의도한 대상이 아닐 경우 FattureInCloud에 호스팅된 합법적인 청구서 페이지에 머물러있게 된다. 한편, 의도한 대상과 일치할 경우 호스팅된 PDF 문서로 이동하게 되고 사용자가 문서 보기로 표시되어있는 하이퍼링크를 클릭하면 다운로더가 실행된다. 다운로더는 사용자가 현재 VM 환경에서 실행 중인지 검사하고, 시스템 환경이 이탈리아어로 설정되어 있는지 .. 2024. 9. 20.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추석 연휴 사이버 공격 대비 주의사항 안내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추석 연휴 동안 사이버 공격에 대비할 주의사항을 공지했다. 최근,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한 랜섬웨어 침해사고와 개인을 공격 목표로 발송된 스미싱이 급증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먼저, 기업에서 탈취한 VPN 계정이나 유지보수 용도로 허용한 원격 접속을 악용하는 등의 랜섬웨어 침해사고 주요 사례를 소개했다. 이어서 공공기관이나 쇼핑몰을 사칭해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 안내와 명절 선물 무료 배송 등의 내용으로 악성 사이트 주소를 함께 발송한 스미싱 사례도 전했다. 이에 대해 한국인터넷진흥원 측은 기업에 계정 관리와 원격 접근 제어를 강화하는 등의 보안 권고 사항을 안내했다. 또한, 개인 사용자는 문자를 수신할 경우 출처가 불분명한 사이트 주소는 클릭하지 말고 문자를 삭제하라고 당부했다. 사진 .. 2024. 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