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처음 등장한 Play 랜섬웨어가 최근까지도 꾸준히 유포되면서 관련 피해 사례가 발견되고 있다. 해당 랜섬웨어는 암호화 과정에서 파일 크기에 따른 부분 암호화를 이용해 처리 속도를 단축하고 보안 프로그램의 탐지를 방지한다. 또한, 암호화가 완료된 파일의 끝에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 구조를 추가해 해당 파일의 암호화 유무를 확인하는 파일 마커와 암호화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1. 암호화 결과Play 랜섬웨어는 이동식 드라이브와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포함한 모든 드라이브를 대상으로 파일을 암호화한다. 암호화된 파일은 파일명 뒤에 “.PLAY” 확장자를 추가하고 공격자의 이메일 주소가 포함된 내용과 함께 “ReadMe.txt”라는 이름의 랜섬노트를 생성한다. 단, 암호화 대상에서 Windows 폴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