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보안 동향 455

iPhone Exploit 공격, FORCEDENTRY

캐나다 토론토의 한 대학에 기반을 둔 Citizen Lab은 최근 바레인 정부 및 관련 활동가를 대상으로 하는 iMessage Exploit 공격을 발견하였다. 이 공격은 'FORCEDENTRY'라는 이름의 익스플로잇이 사용되었으며, FORCEDENTRY Exploit은 2021년 2월부터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익스플로잇은 iOS 버전 14.4 및 14.6에서 동작 가능한 제로데이 취약점으로 Apple의 BlastDoor 보안 기능을 우회할 수 있다고 밝혀졌다. 사진 출처: Citizenlab 출처 [1] Citizenlab (2021.08.31) – Bahraini Government Hacks Activists with NSO Group Zero-Click iPhone Exploits htt..

FBI, OnePercent 그룹 관련 정보 공유

FBI가 2020년 11월부터 미국 기업을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을 진행한 OnePercent Group 관련 정보를 공유했다. FBI가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그룹은 악성 피싱 메일을 보내 사용자 PC에서 파일을 탈취하고 랜섬웨어를 실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OnePercent 그룹은 피해자에게 직접 연락해 정상적인 협상이 이뤄지지 않으면 데이터를 유출하겠다고 협박한다고 한다. 출처 : FBI 출처 [1] CISA (2021.08.30) – FBI Releases Indicators of Compromise Associated with OnePercent Group Ransomware https://us-cert.cisa.gov/ncas/current-activity/2021/08/25/fb..

MS Azure - Cosmos 데이터베이스 취약점 발견

최근,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클라우드 플랫폼인 애저(Azure)의 Cosmos 데이터베이스에서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 취약점은 클라우드 인프라 보안 업체인 Wiz의 보안 연구팀이 발견했으며, “ChaosDB”라고도 불린다. “ChaosDB” 취약점은 Cosmos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모든 정보에 대해 읽기, 쓰기 및 삭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취약점으로 악용할 경우 데이터를 임의로 조작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현재, 마이크로소프트는 해당 취약점이 있는 구성 요소를 비활성화하며 패치를 진행했고, Cosmos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고객들에게 잠재적인 보안 침해에 대해 통지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출처 [1] WIZ (2021.08.30) – ChaosDB: How we hacked thousands ..

CISA, IoT 장비에서 사용하는 칼레이 프로토콜 취약점 보안 권고문 발표

미국의 국가 사이버 보안 전담 기관인 CISA가 IoT 장비에서 발견된 취약점에 관한 보안 권고문을 발표했다. 보안 권고가 발표된 취약점은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주로 사용하는 칼레이(Kalay) 프로토콜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아 발생하는 CVE-2021-28372로 악용할 경우 공격자가 사용자 PC에서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해당 취약점을 발견한 맨디언트 사의 연구원은 SDK 버전을 업그레이드하거나 Authkey 또는 DTLS(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으로도 대처가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출처 : CISA 출처 [1] CISA (2021.08.30) – ICS Advisory (ICSA-21-229-01) ThroughTek Kalay P2P..

FBI, Hive 랜섬웨어 관련 정보 공유

최근, FBI가 "Hive" 랜섬웨어 공격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했다. FBI가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Hive" 랜섬웨어를 사용하는 조직은 백업 파일 삭제, 보안 솔루션과 관련한 프로세스 종료 등의 행위를 수행한 후, 파일 암호화를 진행한다고 알려졌다. 또한, 이들이 사용하는 파일은 다음과 같다. hive.bat : 자가 삭제 등의 삭제 루틴 실행한다. Shaow.bat : 볼륨 섀도우 복사본, 백업 파일 및 시스템 스냅샷 등을 삭제한다. Winlo.exe : 7zG.exe 파일일 드롭한다. 7zG.exe : 7-Zip 압축파일. Winlo_dump 64 SCY.exe 파일일 드롭한다. Winlo_dump_64_SCY.exe : 파일 암호화 및 랜섬노트를 생성한다. 출처 : FBI 출처 [1] FBI ..

이란 철도 시스템 공격의 배후로 MBC 랜섬웨어 등장

새롭게 등장한 "MBC" 랜섬웨어 그룹이 이란의 철도 시스템 서비스를 중단시킨 사이버 공격의 배후라고 주장했다. 2021년 7월 9일, 이란의 열차 시스템이 Meteor라는 와이퍼 악성코드에 의해 공격을 당했다. 해당 공격에 의해 한동한 열차의 운행이 중단됐고, 플랫폼 내의 모니터의 화면을 변경하여 이란 최고 지도자의 사무실 전화번호로 불만 사항을 토로하라는 문구를 띄어 이란 정부를 조롱했다. 2021.08.10 - [분석 정보/악성코드 분석 정보] - 이란의 철도 시스템을 공격한 와이퍼 악성코드 Meteor 이에 대해, 최근 "MBC" 랜섬웨어 그룹이 자신이 운영하는 데이터 유출 사이트를 개설하고, 이란 철도 시스템을 공격한 배후가 자신들이라고 주장하며 일정 기간 후에 탈취한 데이터를 공개하겠다고 게시..

국내 보험 기업 베트남 지사 데이터 유출 피해

국내 유명 보험 대기업이 "Conti" 랜섬웨어 공격에 의해 데이터 유출 피해를 입은 것으로 보인다. 현재 공식적인 피해 기업의 발표는 없지만 "Conti" 랜섬웨어 그룹이 운영하는 데이터 유출 사이트에 2021년 8월 26일자로 해당 기업의 데이터가 게시됐다. 데이터는 주로 베트남 고객의 개인정보로 확인되며 총 49개의 파일을 첨부되어 있다. 출처 [1] RedPacket Security (2021.08.27) – Conti Ransomware Victim https://www.redpacketsecurity.com/conti-ransomware-victim-vsgumj_hanwha_life_vietnam/

Ragnarok 랜섬웨어 운영 종료

최근까지 유포됐던 Ragnarok 랜섬웨어가 운영을 종료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Ragnarok 랜섬웨어가 운영하는 데이터 유출 사이트의 이름이 "Decrypt Site"로 변경되었으며 "DECRYPT"라는 제목의 게시글 이외에 모두 삭제됐다. 이에 대해 데이터 복호화 전문 기업인 "Emsisoft"에서는 유출 사이트에 게시된 복호화 툴을 이용하여 범용 복호화 툴을 제작하고 있으며 곧 출시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1] Bleeping Computer (2021.08.27) – Ragnarok ransomware releases master decryptor after shutdown https://www.bleepingcomputer.com/news/security/ragnarok-ransomware..

WhatsApp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Triada 악성코드

최근, 국내외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메시지 앱 WhatsApp의 추가 옵션 기능을 제공하는 앱으로 위장한 Triada 악성코드가 등장하였다. 해당 악성코드는 'FMWhatsApp' 이름으로 유포되었으며, WhatsApp이 기존에 가지고 있지 않은 특정 대화를 숨기는 옵션, 보낸 사람이 삭제한 메시지 보기 옵션 등의 추가 기능을 제공한다고 알려졌다. Triada 악성코드는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탈취하거나 SMS 메시지에 접근하는 등의 악성동작을 수행한다. 사진 출처: Kaspersky 출처 [1] Kaspersky (2021.08.27) – Triada Trojan in WhatsApp mod https://securelist.com/triada-trojan-in-whatsapp-mod/103679/

피싱 메일 주의

Microsoft를 사칭한 비밀번호 변경 피싱 메일 주의! 최근 Microsoft를 사칭해 Outlook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라는 피싱 메일이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해당 피싱 메일은 링크가 첨부된 메일로 비밀번호가 만료돼 변경해야한다는 내용으로 링크로 접속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첨부된 링크에 접속할 경우 Microsoft 로그인 사이트로 연결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유도한다. 그 후,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잘못된 비밀번호라는 문구와 함께 다시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 이는 피싱 사이트라는 것을 판별하기 위해 사용자가 무작위로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것에 대한 방안으로 적용된 기법으로 추정된다. 두번째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공격자의 또 다른 서버로 리디렉션된다. 리디렉션된 사이트는 연락을 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