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보안 동향 421

DoppelPaymer 랜섬웨어 피해 사례 보고서

DoppelPaymer 랜섬웨어 INDRIK SPIDER 및 TA505로도 알려진 러시아 모스크바의 Evil Corp 사이버 범죄 그룹은 Dridex와 함께 BitPaymer 랜섬웨어를 유포하기 시작했다. 그 후 BitPaymer와 유사하지만 특정 프로세스를 종료 시켜 많은 파일을 암호화할 수 있고, 네트워크 명령을 통해 로컬 네트워크 및 다른 호스트의 IP 주소를 검색하는 기능을 추가한 DoppelPaymer가 2019년 6월 공개되었다. 하지만 DoppelPaymer의 출처가 Evil Corp 그룹과 연관이 있다는 추정이 있을 뿐 정확한 증거는 존재하지 않았다. 피해 사례 2020년부터 “DoppelPaymer” 랜섬웨어는 주로 자금이 충분한 기업 및 정부를 대상으로 유포되었으며, 많은 금액의 랜섬머..

국내 유출 카드 정보 100만건, 인터넷을 통해 공유 중

현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국내 유출 신용카드 정보 100만 건이 공유되고 있다. 확인된 웹사이트는 구글 등의 검색엔진을 통해 검색이 가능한 일반적인 인터넷 사이트로, 누구나 쉽게 유출된 신용카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로써 해당 신용카드 정보의 부정 사용 가능성이 훨씬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을 통해 공유되고 있는 신용카드 정보는 작년 11월 말 클롭 랜섬웨어 (CLOP Ransomware)가 이랜드 그룹 에서 탈취했다고 주장하는 신용카드 정보 중 100만 건으로 처음 다크웹을 통하여 공개 됐다. 다크웹은 검색 서비스가 활성화되지 않아 원하는 정보를 찾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일반인이 접근하기 쉽지 않아 해당 정보가 널리 퍼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정보가 공개된 웹사이트는 다크웹..

MacOS의 M1 칩용 "Silver Sparrow" 악성코드 발견

최근 외신에 따르면 “Silver Spallow”로 불리우는 새로운 Mac용 악성코드를 발견했습니다. “Silver Spallow”는 Apple의 새로운 M1 칩용 Native Code를 대상으로 하는 악성코드로, Mac OS를 대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Apple에서 개발한 M1칩이 한국시간 기준 2020년 11월 11일에 공개되었습니다. 해당 M1 칩을 탑재한 제품 군들이 악성코드 제작자들의 표적이 되어 프로토타입의 악성코드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M1 칩의 경우 출시한지 얼마 되지 않은 칩셋으로 보안 연구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악성코드 제작자 또한 이러한 점을 악용하여 제작 중 인 것으로 보입니다. 외신에 따르면 “Silver Spallow”는 미국, 영국, 캐나다 등 153개국에서 약 29,139..

코로나와 관련된 내용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전 세계가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많은 주의와 관심을 가지는 가운데, 이를 이용한 사회공학기법 악성코드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북한에 대한 내용으로 코로나 19 관련 뉴스를 위장한 문서가 유포되었다. 해당 문서는 “Pyongyang stores low on foreign goods amid North Korean COVID-19 paranoia”라는 제목을 가진 워드 문서이다. 문서 본문의 내용은 "NK NEWS" 에서 발표한 내용과 동일하지만, 문서 내부에 포함된 페이로드가 실행되면 악성파일을 다운로드한다. 해당 악성파일은 사용자 PC의 정보를 탈취하는 Amadey 악성코드로, 2019년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악성코드이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해당 문서는 하기의 이미지..

악성 피싱 메일 주의

악성 피싱 메일 주의! 최근 유명 기업을 사칭한 피싱 메일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피싱 메일인 것처럼 속이기 위해 실제 해당 기업이 사용하는 서비스와 전화번호를 사용하고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아래의 피싱 메일은 유명 배송 기업인 D사를 사칭한 메일이다. 해당 메일은 인보이스를 확인하고 문의 사항이 있으면 적혀있는 메일로 회신해 달라는 내용과 함께 해당 인보이스를 기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기재하여 사용자를 속이고 있다. 첨부 파일에는 해당 기업의 인보이스 이미지가 존재하며, 실행 시 악성매크로를 통해 감염이 이루어진다. 아래의 피싱 메일은 유명 해외 배송 회사인 U사를 사칭한 피싱 메일이다. 해당 메일은 첨부된 링크에 접속하여 인보이스를 확인하여 문의 사항이 있으면 적혀..

악성 피싱 메일 주의

악성 피싱 메일 주의! 최근 유명 기업을 사칭한 인보이스 피싱 메일이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 피싱 메일인 것을 속이기 위해 실제 해당 기업이 사용하는 메일 양식 및 이미지를 사용하므로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아래의 피싱 메일은 유명 금속 생산 업체인 J사를 사칭한 메일이다. 해당 메일은 첨부된 링크에 접속하여 카드 결제를 진행해 달라는 내용이 담겨있다. 아래에 첨부된 링크에 접속하면 정보 탈취가 이루어지거나 악성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아래의 피싱 메일은 유명 해외 결제 사이트 P사를 사칭한 메일이다. 해당 메일은 역시 첨부된 링크에 접속하여 결제를 진행해 달라는 내용을 담고있다. 메일의 양식이나 이미지가 전부 P사와 동일하며 악성 링크가 첨부된 결제 버튼 이외에는 전부 실제 P사와 연결되는 링..

피싱 문자 주의

택배 회사를 사칭한 피싱 문자 주의! 택배 회사를 사칭한 피싱 문자는 바쁜 현대인들이 인터넷 거래와 택배 거래를 자주 이용하여 일상 생활에서 쉽게 받을 수 있는 택배 배송 문자를 악용한 피싱 문자이다. 해당 문자는 피싱 문자라고 생각할 수 없어 무의식적으로 첨부된 링크를 클릭하게 만들기에 효과적이다. 최근 이런 택배 배송 메시지를 사칭한 피싱 문자가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아래의 피싱 문자는 링크가 첨부된 택배 회사를 사칭한 문자이다. 해당 문자의 내용은 사용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택배 회사명과 함께 첨부된 링크의 클릭을 유도하고 있다. 해당 링크를 클릭하면 포털 사이트 아이디로 로그인하라는 메시지가 화면에 나타난다. 그 이후 국내 유명 포털 사이트 로그인 창을 사칭한 웹사이트로 접속된다. ..

피싱 메일 주의

악성 피싱 메일 주의! 최근 자주 등장하는 특정 기업을 사칭한 피싱 메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를 불안하게 하는 내용의 글을 이용하여 협박하는 혹스(Hoax) 메일이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아래의 피싱 메일은 최근 불특정 다수에게 유포된 혹스(Hoax) 메일이다. 해당 메일은 사용자가 방문했던 성인사이트에 의해 감염되어 사용자의 은밀한 영상을 유포하겠다는 내용으로 사용자의 심리를 자극하여 협박하며 금전을 요구하고 있다. 또, 발신자가 사용자 메일 계정으로 되어있음을 강조하여 사용자가 해킹당했음을 인지시키고 있지만 이는 속임수를 사용한 것이다. 아래의 피싱 메일은 유명 해외 거래소를 사칭한 메일이다. 해당 메일은 첨부된 Office 파일의 인보이스를 검토해 달라는 내용이 담겨있다. 또, 발..

피싱 메일 주의

인보이스를 사칭한 피싱 메일 주의! 인보이스 사칭 피싱 메일은 유명한 글로벌 인터넷 거래 사이트를 사칭하여 거래소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피해를 입힌다. 가짜 메일은 정상적인 인보이스 메일과 비교하여 육안으로 구별할 수 없기에 사용자를 속이기에 효과적인 피싱 메일이다. 최근 이런 인보이스 사칭을 통한 피싱 메일이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아래의 피싱 메일은 인보이스 확인을 요청하는 피싱 메일이다. 해당 메일은 첨부파일의 인보이스를 확인하고 빠른 시일 내에 송금해 달라는 내용과 함께 Office 문서 파일을 첨부하고 있으며, 첨부 파일 실행 시 내부 매크로에 의해 악성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시켜 이용자의 PC를 감염시킨다. 아래의 피싱 메일은 유명 해외 거래 사이트 A사를 사칭한 메일이다. ..

피싱 메일 주의

인보이스를 사칭한 피싱 메일 주의! 인보이스 사칭 피싱 메일은 해외 거래를 할 때 사용하는 송장 정보인 ‘인보이스’를 사칭하여 사용자가 받을 만한 메일을 보내는 기법을 말한다. 해당 피싱 메일은 사용자가 필수적으로 확인해야하는 정보를 담고있기에 첨부파일 및 링크를 클릭할 수 밖에 없게 하여 효과적이다. 최근 이런 인보이스 사칭을 통한 피싱 메일이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아래의 피싱 메일은 파일이 첨부된 인보이스를 사칭한 메일이다. 해당 메일은 주문 내역과 함께 첨부 파일 문서를 숙지해 달라는 내용으로 첨부파일 실행을 유도하고 있다. 첨부 파일은 Office 파일로 실행할 경우, 자세히 보려면 컨텐츠 사용 버튼을 누르도록 유도한다. 컨텐츠 사용 버튼을 클릭하면 Office 파일에 적용된 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