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큐리티대응센터 2065

[주의]Kaspersky 안드로이드 백신으로 위장한 안드로이드 악성파일 등장

1. 개 요 얼마전 해외 유명 보안 솔루션 제공 업체인 Trusteer에서 제공중인 모듈로 위장한 악성 어플리케이션이 출현한 바 있다. 최근에 발견되고 있는 모바일 악성 어플리케이션은 유명 업체 등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위장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운데 유명 Anti-Virus 업체인 Kaspersky에서 제공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위장한 악성 어플리케이션이 등장해 이슈가 되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악성 어플리케이션 역시 기능적인 면에서는 기타 다른 악성 어플리케이션과 마찬가지로 특정 정보에 대한 수집 등의 행위를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주의]해외 금융 보안 제품으로 위장한 안드로이드용 악성 파일 발견 ☞ http://erteam.nprotect.com/164 2. 유포 경..

[주의]알약 제품으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악성파일

1. 개 요 국내 보안업체 제품을 위장하고 있으며 제휴사 광고 목적으로 제작되어진 악성 프로그램이 국내 포털 사이트 등이 운영하는 블로그 및 카페 등의 게시글을 통하여 유포되어지는 사례가 다수 확인되어 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는 인터넷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와 관심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2. 감염 방식 및 증상 현재 이와같은 악성 프로그램 설치 방식은 국내의 특정 포털 사이트 등에서 운영하는 카페 및 블로그에 게시되어진 덧글의 단축 URL 접근을 통하여 설치가 가능 하도록 되어져 있다. 이러한 악성파일 설치방식은 소수가 아닌 불특정 다수의 접근이 용이한 포털 사이트 등과 같은 블로그, 카페 등을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앞으로 지속적이고 다양한 유포 방식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특히, 이번에..

[자료]FastRacing 게임 어플리케이션 재패키징을 통해 스마트폰 정보 유출

1. 개 요 최근 안드로이드에 대한 보안 위협이 연일 이슈인 가운데 정상 어플리케이션에 악성 코드를 포함해 재패키징한 형태의 악성 어플리케이션이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해당 악성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정상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악성 코드를 포함 후 재패키징하여 다양한 정보 등을 탈취해 외부로 유출할 수 있는 만큼 안드로이드 기반의 OS가 탑재된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이번 글을 참고하여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스마트폰 보안 위협에 대해 좀 더 관심과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하자. [[자료]Hello Kitty 바탕화면 어플로 위장된 안드로이드 악성 파일] ☞ http://erteam.nprotect.com/171 [주의] 중국 안드로이드 게임으로 위장한 악성 어플 발..

[주의]한글 문서(HWP)취약점을 이용한 악성파일 발견

1. 개 요 한글 문서(HWP) 취약점을 이용하는 다수의 악성파일이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해당 악성파일은 정상적인 문서 파일과 외관상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가 육안상 악성 여부를 직접 식별하기는 어렵다. 또한, 감염이 이루어지면 정상적인 한글 문서 내용을 출력하는 등 사용자로 하여금 정상파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치밀하게 조작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한글 코드실행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http://www.krcert.or.kr/secureNoticeView.do?num=554&seq=-1 2. 유포 경로 및 감염 증상 한글 문서(HWP)의 취약점을 사용하는 악성파일은 이메일의 첨부파일 혹은 SMS, 인스턴스 메신저의 링크 접속 등을 통해 유포될 수 있으..

[주의]주말에 집중 유포하는 악성파일 감염시 부팅 장애 부작용 발생

1. 개 요 오래 전부터 온라인 게임 계정 탈취 목적의 악성파일이 주말을 이용해 대대적으로 유포되고 있다. 이러한 악성파일 중 감염이 되면 정상적으로 부팅이 진행되지 않는 심각한 피해 증상을 유발하는 종류의 악성파일(ws2help.dll 변조)이 최근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해당 악성파일은 접속자가 많은 웹 하드 사이트 등을 주요 유포 경로로 사용함과 동시에 다양한 웹 사이트를 변조하여 악성파일 유포 경로로 악용하고 있어 지속적인 대단위 감염 전파도를 보이고 있다. [주의]Melon Player로 위장한 악성파일 유포중 ☞ http://erteam.nprotect.com/174 [주의]윈도우 시스템 파일을 교체하는 악성파일 변종 증가 ☞ http://erteam.nprotect..

[주의]Melon Player로 위장한 악성파일 유포중

1. 개 요 최근 Flash Player 취약점을 이용해 추가적인 악성파일 다운로드 및 실행을 시도하는 형태의 악성파일 유포 기법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러한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파일에 감염되면 사용자들이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여러 형태의 악성 동작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또한,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파일 감염에 의해 다운로드 될 수 있는 추가적인 악성파일은 이번 글을 통해 언급될 파일처럼 국내 유명 음악 서비스 플레이어로 위장하는 경우도 있으며, 현재도 지속적으로 유포중에 있다. [주의]윈도우 시스템 파일을 교체하는 악성파일 변종 증가 ☞ http://erteam.nprotect.com/173 [주의]국내 소셜커머스 웹 사이트 변조로 악성파일 다량 전파 ☞ h..

[주의]윈도우 시스템 파일을 교체하는 악성파일 변종 증가

1. 개 요 최근 온라인 게임 계정 정보 탈취를 노리는 악성파일에 대한 유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해당 악성파일에 감염될 경우 온라인 게임 계정정보에 대한 유출을 비롯해 사용중인 Internet Explorer(이하 IE)의 비정상적인 종료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어 사용자들로 하여금 상당한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악성파일의 경우 지속적인 변종 유포로 백신 상으로의 대응에도 한계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주의]국내 소셜커머스 웹 사이트 변조로 악성파일 다량 전파] ☞ http://erteam.nprotect.com/170 [v3lite 파일명으로 위장한 온라인 게임 계정 정보 유출 악성파일 발견, 주의 필요] ☞ http://erteam.npr..

[주의]Flash Player 등으로 위장한 안드로이드용 악성파일 발견

1. 개 요 Flash Player 관련 어플리케이션으로 위장한 안드로이드용 스마트폰 악성 어플리케이션이 해외에서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해당 악성 어플리케이션은 Flash Player 와 유사한 아이콘으로 위장되어 있으며, 실행 시 별도의 실행화면은 나타나지 않고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다양한 악의적 동작을 수행 시도하게 된다. 감염 시 스마트폰 단말기 정보, SMS 등의 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스스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설치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2. 유포경로 및 감염 증상 해당 악성 어플리케이션은 블랙마켓, 3rd party 마켓 등을 중심으로 유포될 수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악성 URL 접근, 이메일의 첨부파일 형태 등으로도 다운로드 및 설치가 가능하다. ■..

[자료]Hello Kitty 바탕화면 어플로 위장된 안드로이드 악성 파일

1. 개 요 2011년 3월경 해외에서 발견된 것으로 기존에 분석된 내용을 정리해 본다. 이 것은 정상 Wallpaper 어플에 악성 기능을 추가해 재피키징한 형태이다. 해당 악성 어플리케이션은 예전에 언급한 "ADRD로 알려진 악성 어플리케이션"의 변종이며 대부분의 Wallpaper 어플리케이션들이 그러하듯 설치 후 별도의 아이콘 없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들은 자신의 스마트폰이 악성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어떤 기능들이 동작하고 있는지 알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피해 발생 상태에 대해서도 인지하지 못하게될 수 있다. [새로운 안드로이드용 모바일 Trojan "ADRD" 출현 보고에 따른 주의 필요] ☞ http://erteam.nprotect.com/122 2. 유포 경로..

[주의]국내 소셜커머스 웹 사이트 변조로 악성파일 다량 전파

1. 개 요 2011년 06월 15일 국내 유명 특정 소셜 커머스 웹 사이트가 변조되고 플래시 취약점 등이 악용되어 새로운 악성파일을 다수 유포하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소셜 커머스는 다양한 상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소셜 커머스 중 금일 웹 사이트가 변조된 해당 소셜 커머스의 경우 많은 광고 등을 통해 널리 알려진 업체이기에 감염 범위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정상적인 웹 사이트를 변조할 경우 일반 사용자들은 악성파일의 감염에 쉽게 노출될 수 있음으로 사용자 스스로의 관심과 주의가 더욱 요망되고 있다. ※ 소셜 커머스(Social commerce) 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