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 요 imm32.dll 패치형 악성파일과 관련하여 앞서 소개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imm32.dll 패치 외 악성 svchost.exe 파일을 추가로 생성하여 동작하는 악성파일이 확인 되었다. 해당 악성파일은 사용자 계정정보 유출을 통한 2차 피해를 유발시킬수 있으므로 인터넷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2. 감염 방식 및 감염 증상 이번에 발견되어진 악성파일은 정상 imm32.dll 패치 외에 윈도우 시스템 폴더에 악성 svchost.exe 파일을 추가로 생성하여 동작하는 등 새로운 방식의 감염 형태로 확인 되었다. 또한, 국내 특정 온라인 게임 및 메신저, Internet Explorer 파일에 인젝션되어 사용자 로그인시 로그인 정보를 후킹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시도를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