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섬웨어 분석 76

[월간동향]2018년 10월 악성코드 통계

2018년 10월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20 2018년10월(10월 1일 ~ 10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표 1-1]은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2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Backdoor(백도어) 유형이며 총 49,161 건이 탐지되었다. 순위 진단명 유형 탐지 건수 1위 Backdoor/W32.Orcus.9216 Backdoor 49,161건 2위 Worm/W32.Brontok.42692 Worm 21,041 건 3위 Suspicious/W32.CVE-2016-3266 Suspicious 10,516 건 4위 Suspicious/PDF.CVE-2018-1283..

[월간동향]2018년 9월 악성코드 통계

2018년 9월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20 2018년9월(9월 1일 ~ 9월 30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표 1-1]은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2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BackDoor(백도어) 유형이며 총 151,188 건이 탐지되었다. 순위 진단명 유형 탐지 건수 1위 Backdoor/W32.Orcus.9216 Backdoor 151,188 건 2위 Trojan/W32.HackTool.14848.N Trojan 35,842 건 3위 Virus/W32.Ramnit.B Virus 12,440 건 4위 Virus/W32.Virut.Gen Virus 4,368 건 5위 ..

[랜섬웨어 분석]10월 랜섬웨어 동향 및 Xorist 랜섬웨어

10월 랜섬웨어 동향 및 Xorist 랜섬웨어 1. 10월 랜섬웨어 동향 2018년 10월(10월 01일 ~ 09월 31일) 한 달 간 랜섬웨어 동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에서는 여전히 GandCrab 랜섬웨어가 지속적인 버전업을 하며 가장 이슈가 되었으며, 해외에서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의 상하수도청과 인디아나주 방위군이 랜섬웨어에 피해를 받은 일이 있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10월 국내/외 랜섬웨어 피해 사례 및 신/변종 랜섬웨어와 10월 말 등장한 Xorist 랜섬웨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1-1. 국내/외 랜섬웨어 피해 사례 GandCrab 랜섬웨어 피해 사례 지난 달에 이어 이번달에도 여전히 GandCrab 랜섬웨어는 버전업을 통해 국내외 사용자들을 괴롭혔다. V5.0.2부터 v5..

[랜섬웨어 분석]한국어를 지원하는 Kraken Cryptor 랜섬웨어 감염 주의

한국어를 지원하는 Kraken Cryptor 랜섬웨어 감염 주의 1. 개요 'Kraken Cryptor' 랜섬웨어는 올해 8월경부터 유포되어 최근 v2.0.7 버전까지 발견되었다. 파일 암호화 이후에는 감염된 PC의 바탕화면을 사용자 언어에 맞춰 변경하여 감염된 사실을 통보하며, 정상적인 파일 삭제 유틸리티를 다운로드해 원본 파일의 흔적까지 삭제하는 방식을 갖고 있다. 앞으로 버전 업의 여지가 있어 보이는 'KraKenCryptor' 랜섬웨어를 이번 분석 보고서에서 알아보도록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 구분 내용 파일명 [임의의 파일명].exe 파일크기 147,456 byte 악성동작 파일 암호화 2-2. 유포 경로 정확한 유포 경로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일반적인 랜섬웨어의 유포 경로와 ..

[랜섬웨어 분석]다양한 확장자를 가진 Dharma Ransomware 변종 유포 주의

다양한 확장자를 가진 Dharma Ransomware 변종 유포 주의 1. 개요 Dharma 랜섬웨어는 Crysis 랜섬웨어의 후속작으로, 변종마다 서로 다른 암호화 확장자를 사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부 변종에 대해서는 암호화된 파일을 복구할 수 있는 툴이 배포되고 있는 만큼 정확한 상황 파악과 대응이 필요하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Dharma 랜섬웨어의 변종 중 하나인 “.btc” 확장자 샘플의 악성 동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 구분 내용 파일명 [임의의 파일명].exe 파일크기 278,528 bytes 진단명 Ransom/W32.VB-Dharma.278528 악성동작 파일 암호화 2-2. 유포 경로 해당 랜섬웨어는 일반적인 형태의 랜섬웨어로 정확한 유포 경로..

[랜섬웨어 분석]9월 랜섬웨어 동향 및 GandCrab V5.0.1 랜섬웨어

9월 랜섬웨어 동향 및 GandCrab V5.0.1 랜섬웨어 1. 9월 랜섬웨어 동향 2018년 09월(09월 01일 ~ 09월 30일) 한 달 간 국내 랜섬웨어 동향을 조사한 결과, 지속적으로 버전업 된 GandCrab 랜섬웨어 5.0 버전과 5.0.1 버전이 등장했다. 또한 홈페이지 제작업체 ‘아이 웹’ 이 랜섬웨어에 피해를 받아 지난해 있었던 나야나 랜섬웨어 사태를 떠오르게 했다. 해외에서는 영국 브리스틀 공항이 랜섬웨어에 피해를 받아 직원들과 승객들이 혼란을 겪는 일이 있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9월 국내/외 랜섬웨어 피해 사례 및 신/변종 랜섬웨어와 GandCrab v5.0.1 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1-1. 국내/외 랜섬웨어 피해 사례 아이웹 랜섬웨어 피해 사례 추석 연휴 기..

[랜섬웨어 분석]무료 복구 툴이 개발된 CryptoNar 랜섬웨어

무료 복구 툴이 개발된 CryptoNar 랜섬웨어 1. 개요 최근 발견 된 'CryptoNar' 랜섬웨어는 'CryptoJoker' 랜섬웨어의 변종으로 알려져 있다. 변종으로 보여지는 이유로 파일 암호화 시, 정상 파일의 확장자를 비교하여 각기 다른 두 종류의 확장자를 추가로 덧붙이는데 비교하는 대상 확장자의 기준이 동일하기 때문인것으로 보여진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CryptoNar’ 랜섬웨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 구분 내용 파일명 [임의의 파일명].exe 파일크기 512,512 bytes 진단명 Ransom/W32.CryptoNar 악성동작 파일 암호화 2-2. 유포 경로 정확한 유포 경로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일반적인 랜섬웨어와 같이 이메일 또는 변조된 웹 ..

[랜섬웨어 분석]8월 랜섬웨어 동향 및 Ryuk 랜섬웨어

8월 랜섬웨어 동향 및 Ryuk 랜섬웨어 1. 8월 랜섬웨어 동향 2018년 08월(08월 01일 ~ 08월 31일) 한 달 간 랜섬웨어 동향을 조사한 결과, 지난달과 마찬가지로 국내에서는 GandCrab 랜섬웨어가 왕성한 활동을 보였다. 해외에서는 PGA(미국 프로 골프 협회)나 TSMC(대만 반도체 업체)등 랜섬웨어 피해를 입은 사례들이 나타났다. 8월, 신종 및 변종 랜섬웨어에 대해 알아보고, 신종 랜섬웨어인 Ryuk 랜섬웨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1-1. 국내외 랜섬웨어 피해 사례 GandCrab 랜섬웨어 피해사례 8월 초 국내 한 보안업체를 겨냥하여 보복성 메시지를 포함했던 GandCrab 랜섬웨어는 지속적으로 버전 업 되어 최근에는 4.4 버전까지 등장했다. 유포방식도 지속적..

[랜섬웨어 분석]복호화 키를 저장하는 ‘Termite’ 랜섬웨어 감염 주의

복호화 키를 저장하는 ‘Termite’ 랜섬웨어 감염 주의 1. 개요 본 보고서에서 다루게 될 ‘Termite’ 랜섬웨어는 파일을 암호화하고 랜섬노트를 통해 중국의 특정 블로그 주소를 안내한다. 현재까지 정확한 유포 경로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랜섬웨어 버전에 따라 암호화한 파일에 ‘.aaaaaa’, ‘.Xiak’ 등의 문자열을 덧붙여 확장자를 변경한다. 추가적으로 복호화 키를 레지스트리에 저장하기 때문에 해당 키를 사용하여 복구를 시도해 볼 수 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최근 발견된 ‘Termite’ 랜섬웨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 구분 내용 파일명 [임의의 파일명].exe 파일크기 599,040 bytes 진단명 Ransom/W32.Termite.1957888 악성..

[랜섬웨어 분석]‘Desu’ 랜섬웨어 감염 주의

‘Desu’ 랜섬웨어 감염 주의 1. 개요 본 보고서에서 다루게 될 ‘Desu’ 랜섬웨어는 특정 확장자 파일을 암호화하고 MBR을 변조하여 운영체제의 정상적인 부팅을 방해한다. 현재까지 정확한 유포 경로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암호화한 파일은 ‘.desu’ 라는 문자열을 덧붙여 확장자를 변경한다. 또한, 드라이버 전체를 대상으로 암호화를 진행하기 때문에 감염 시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Desu’ 랜섬웨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 구분 내용 파일명 [임의의 파일명].exe 파일크기 260,608 byte 진단명 Ransom/W32.Desu.260608 악성동작 파일 암호화 2-2. 실행 과정 Desu’ 랜섬웨어는 MBR 변조 후 연결된 논리 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