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랜섬웨어 분석76

[랜섬웨어 분석]국내에 유포되고 있는 Clop 랜섬웨어 감염 주의 국내에 유포되고 있는 Clop 랜섬웨어 감염 주의 1. 개요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포되고 있는 Clop 랜섬웨어가 발견되었다. 해당 랜섬웨어는 2019년 2월 초 처음 등장했으며, 최근에는 기업에서 사용하는 중앙관리서버에 침투해서 감염시키는 공격이 확산되고 있다고 알려져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보고서에는 최근에 유포 되고 있는 Clop 랜섬웨어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 구분 내용 파일명 [임의의 파일명].exe 파일크기 102,912 bytes 진단명 Ransom/W32.Clop.102912 악성동작 파일 암호화 2-2. 유포 경로 해당 랜섬웨어는 일반적인 형태의 랜섬웨어로 정확한 유포경로는 밝혀지지 않았다. 2-3. 실행 과정 Clop 랜섬웨어 실행 시, .. 2019. 2. 27.
1월 랜섬웨어 동향 및 RickRoll Locker 랜섬웨어 1월 랜섬웨어 동향 및 RickRoll Locker 랜섬웨어 1. 1월 랜섬웨어 동향 2019년 1월(1월 01일 ~ 1월 31일) 한 달 간 랜섬웨어 동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에서는 여전히 GandCrab 랜섬웨어가 다양한 유포 방식으로 사용자들에게 피해를 입혔으며, 해외에서는 미국 Del Rio 시청의 컴퓨터 일부가 랜섬웨어에 감염 되었고, 프랑스에서는 Altran Technologies 라는 회사가 랜섬웨어 공격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유럽 일부 국가에 영향을 준 사건이 있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1월 국내/외 랜섬웨어 피해 사례 및 신/변종 랜섬웨어와 1월 등장한 RickRoll Locker 랜섬웨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1-1. 국내/외 랜섬웨어 피해 사례 GandCrab 랜섬웨어.. 2019. 2. 22.
[랜섬웨어 분석]파일 일부분만 암호화하는 Anatova 랜섬웨어 주의 파일 일부분만 암호화하는 Anatova 랜섬웨어 주의 1. 개요 최근 암호화 대상 파일의 일부분만 암호화하여 빠르게 시스템을 감염시키는 Anatova 랜섬웨어가 발견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랜섬웨어는 감염 대상 시스템을 늘리기 위해 32비트 포맷으로 작성되는 반면, Anatova 는 64비트 포맷으로 작성되어 악성 코드 실행 속도를 높였다. 시스템 관리자가 미처 대응하기 전에 시스템이 감염되어 버리면 랜섬웨어 피해가 커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Anatova 랜섬웨어의 악성 동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 구분 내용 파일명 [임의의 파일명].exe 파일크기 49,664 bytes 진단명 Ransom/W64.Anatova.49664 악성동작.. 2019. 2. 22.
[월간동향]2019년 1월 악성코드 통계 2019년 1월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20 2019년01월(01월 1일 ~ 01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표 1-1]은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2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Trojan (트로잔) 유형이며 총 4,966 건이 탐지되었다. 순위 진단명 유형 탐지 건수 1위 Trojan/W32.Agent.1385034 Trojan 4,966 건 2위 Trojan/XF.Sic Trojan 3,839 건 3위 Virus/W32.Ramnit.B Virus 2,455 건 4위 Virus/W32.Ramnit Virus 2,372 건 5위 Trojan/W32.HackTool.14.. 2019. 2. 15.
[랜섬웨어 분석]다시 등장한 Seon 랜섬웨어 감염 주의 다시 등장한 Seon 랜섬웨어 감염 주의 1. 개요 Seon 랜섬웨어는 2018년 11월에 파워쉘 스크립트를 통한 Fileless 형태로 등장했었다. 최근에 다시 등장한 Seon 랜섬웨어는 ver.0.2 라고 버전이 표기 되어 있으며, Malvertising 및 GreenFlashSundown Exploit Kit 을 통해 유포 된다고 알려졌다. 해당 랜섬웨어는 지난 11월에 이어 다시 등장한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보고서에는 최근에 발견 된 Seon 랜섬웨어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 구분 내용 파일명 [임의의 파일명].exe 파일크기 61,968 bytes 진단명 Ransom/W32.Seon.61968 악성동작 파일 암호화 2-2. 유포 경로 해당 랜섬웨어는 M.. 2019. 1. 22.
[랜섬웨어 분석]Facebook 통해 접촉 요구하는 Boom 랜섬웨어 감염 주의 Facebook 통해 접촉 요구하는 Boom 랜섬웨어 감염 주의 1. 개요 최근 Xorist 랜섬웨어의 변종인 Boom 랜섬웨어가 발견되었다. 해당 랜섬웨어는 암호화된 파일을 복호화하기 위해 Facebook을 통해 공격자와 접촉하기를 요구한다. 또한 복호화 시도 도중 실패 시 컴퓨터를 강제로 종료하기 때문에 추가 피해에 주의해야 한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Boom 랜섬웨어의 악성 동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 : Xorist 랜섬웨어 분석 보고서] http://isarc.tachyonlab.com/1942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 구분 내용 파일명 [임의의 파일명].exe 파일크기 280,576 bytes 진단명 Ransom/W32.DN-Boom.280576 악성동작 파일 암호화 2-2... 2019. 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