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청첩장 5

[정보]소액결제사기 및 스마트뱅킹사칭 스미싱 문자메시지 실제 유포현황

1. 스미싱 문자 메시지 현재 진행형이며, 여전히 활개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이용자들을 겨냥한 악성앱(APK) 설치용 스미싱을 집중 관제 중이다. 상반기와 수치적으로 비교해 보아도 스미싱 문자메시지는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고, 악성앱 변종도 꾸준히 증가 추세이다.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지난 5월 경 스미싱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스미싱 원천차단방지 솔루션인 "뭐야 이 문자" 앱을 개발하여 일반에 무료로 배포 중이다. "뭐야 이 문자" 앱은 스미싱의 피해가 급증함에 따라 단기간에 총 사용자 설치 수가 약 50,000 여명에 가깝게 설치하였고, 시간 차로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실시간으로 유포 중인 각종 스미싱을 차단하고 유포현황을 제공 받고 있다. 이..

[주의]대한민국 경찰청 앱으로 사칭한 도청가능 안드로이드 악성앱 등장

1. 경찰청앱으로 둔갑한 Trojan/Android.KRFakeCop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모바일 보안관제를 진행 중에 "대한민국 경찰청" 앱처럼 위장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용 악성앱을 최초로 발견하여 nProtect Mobile for Android 제품을 통해 유일하게 치료서비스를 제공 중에 있다. 해당 앱은 마치 경찰청 관계자들이 사용하는 앱처럼 위장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국내에서 주로 발견되었던 휴대폰 소액결제사기 방식과는 구별되는 다목적 형태의 악성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는 점과 국내에서 개발된 것으로 보여지는 부분이 주목된다. 이번 악성앱은 설치되는 과정에 국내 특정 모바일 보안제품처럼 위장한 악성앱을 별도로 추가 설치하는 기능으로 사용자를 속인 후 동작하게 되며, 처음 실행화면에서는 ..

[주의]스미싱, 주민번호 등 개인정보 탈취 시도

1. 스미싱 이제는 개인정보 탈취 시도형태로 진화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스마트폰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스미싱 사기기법을 전문적으로 모니터링 하던 과정 중에 새로운 형태의 안드로이드 악성앱을 설치시도하는 모바일 보안위협 형태를 다수 발견하였다. 기존의 소액결제사기를 위한 악성앱들은 수신되는 소액결제 승인용 문자메시지 등을 중간에 탈취하는 것이 주요기능이었고, 기존에 유출된 국내 개인정보 이력을 활용해서 범죄에 이용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발견되고 있는 안드로이드 악성앱의 경우 ▶핸드폰 번호 ▶이동통신사 ▶이름 ▶주민번호 등을 이용자가 직접 입력하게 유도하는 등 개인정보를 동시에 탈취하여 소액결제사기 등에 이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문화상품권이나 모바일 유료서비스 등을 마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처럼 이용자들을..

[주의]스미싱 문자메시지 당신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유혹한다.

1. 허위사실 유포를 통한 악성앱 설치 유도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이용자들에게 문자메시지(SMS/MMS)를 보내 악성앱(APK)설치를 유도하는 이른바 스미싱(Smishing) 사기수법이 날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초창기에는 각종 모바일 이벤트나 쿠폰, 청구서 등으로 위장하여 이용자들을 현혹시키는 일반적인 기법이 널리 이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사회적인 관심사나 방송이슈, 갖가지 개인 사생활이나 호기심을 자극할만한 내용으로 위장한 형태가 도입되고 있어 이용자가 육안상으로 쉽게 악성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잉카인터넷 대응팀에서는 이러한 스미싱을 통해서 작년부터 국내에 유포된 한국 맞춤형 악성앱(APK) 샘플을 약 800 여종 이상 발견하여 확보하고 있으며, 거의 매일 새로운 변종을 수집..

[주의]택배조회, 동창회약도, 사진도착, 모바일 청첩장으로 위장한 악성앱 등장 [#Update 2013. 03. 16]

1. 안드로이드 스미싱, 시기적절한 변신술?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모바일 청첩장으로 위장하여 안드로이드 악성앱 변종을 다수 유포 중인 정황을 포착하였다. 특히, 해당 악성앱들은 수신자의 실명 이름을 문자메시지(SMS)에 직접 포함하거나 거론하는 등 나날이 지능화되고 있다. 가짜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사람 중에 실제 결혼식에 참석할 예정이거나 주변 지인이 보낸 실제 청첩장으로 오인하여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단축 인터넷 주소를 클릭할 경우 악성앱에 감염되어 예기치 못한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잉카인터넷 대응팀에서 해당 악성앱의 유포 수법과 경유지 등을 추적해 본 결과 악성앱 유포자는 이전에도 불특정 다수의 특정 이름을 거론하면서 전화통화가 어려우니 문자에 포함된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