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 340

[랜섬웨어 분석] Genasom 랜섬웨어

Genasom 랜섬웨어 감염 주의 최근 2월 중순, Genasom랜섬웨어가 등장하였다. 해당 랜섬웨어는 암호화하기 전 사용자의 PC를 복구할 수 없도록 볼륨 섀도우 복사본을 모두 삭제한 뒤 암호화 동작을 한다. 이는 사용자가 자동 저장되어있는Windows 볼륨 섀도운 복사본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여 완전 감염을 시도하는 것이다. 따라서, 해당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Genasom 랜섬웨어의 동작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해당 랜섬웨어는 모든 볼륨 섀도우 복사본을 삭제하고, Windows 오류 복구 알림을 비활성화한 뒤, 암호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Desktop%에 랜섬노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랜섬웨어 감염사실을 알린다. 사용자의 눈에 ..

[악성코드 분석] Lokibo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견적 요청서로 위장한 Lokibot 악성코드 유포 주의 최근 국내 특정기업을 사칭해 견적 요청서로 위장한 스피어 피싱 메일이 발견되었다. 스피어 피싱은 특정한 개인이나 회사를 대상으로 공격을 시도하는데, 아래의 악성 메일처럼 정교한 내용으로 첨부된 대용량 악성 파일을 열람하도록 유도한다. 첨부 파일은 디스크 이미지 파일(.img) 형식으로 되어있으며 더블 클릭할 경우, 자동으로 마운트 되어 내부에 존재하는 실행파일(‘RFQ_UYK_1DED’, ‘kiriko_492B.exe’)을 볼 수 있다. 이를 견적서와 관련된 파일로 착각해 실행하면 ‘LokiBot’ 악성코드가 실행된다. 실행된 ‘Lokibot’ 악성코드는 웹브라우저, 메일, FTP 클라이언트 등 응용프로그램에 저장된 계정정보를 수집한 뒤, 데이터를 ..

[랜섬웨어 분석] RagnarLocker 랜섬웨어

RagnarLocker 랜섬웨어 감염 주의 “RagnarLocker”로 불리며 관리 서비스 제공업체(MSP)를 표적 공격하는 랜섬웨어가 발견되었다. 해당 랜섬웨어는 원격 모니터링 및 관리 소프트웨어(RMM)를 종료하며, 감염되면 문서 등의 중요한 파일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파일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고액의 몸값을 지급해야 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RagnarLocker” 랜섬웨어의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RagnarLocker” 랜섬웨어 실행 시 [표 1]의 목록을 제외한 사용자의 모든 파일을 암호화한다. 서비스는 주로 원격 관리 소프트웨어와 복구 관련 서비스를 종료한다. 파일 암호화가 완료되면, 해당 파일의 끝에 “_RAGNAR_”라는 시그니처를 추가한다. 또한,..

[랜섬웨어 분석] Mailto 랜섬웨어

정상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Mailto Ransomware 분석 보고서 “Mailto” 랜섬웨어는 2019년 8월에 등장하였으며, 최근 해외기업을 대상으로 공격한 사례가 발견되고 있다. 해당 랜섬웨어는 “Netwalker”라는 이름으로도 명명되고 있으며, “Sticky Password”라는 정상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사용자가 랜섬웨어를 실행시키도록 유도하고 있다. 만약 랜섬웨어가 실행된다면 사용자 시스템의 파일들을 암호화한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Mailto” 랜섬웨어의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 “Mailto” 랜섬웨어 실행 시 [표 1]의 암호화 제외 대상과 비교하여, 조건에 일치하는 사용자의 모든 파일을 암호화한다. 파일 암호화 동작 후 파일의 확장자를 .mailto[].으로 변경하고, {I..

[악성코드 분석] Emote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국내 특정 기업을 사칭한 Emotet 악성코드 유포 주의 이모텟(Emotet)은 2014년 해외에서 처음 발견되어 금융정보를 탈취하는 악성코드로 현재까지도 유입량이 상위권에 속해있는 악성코드이다. 주로 견적서, 계약서 등 관련 내용의 피싱 메일을 통해 대량으로 유포되며 사용자 정보 탈취, 파일 다운로드 등 악성 동작을 수행한다. 최근 국내 특정기업을 사칭한 피싱 메일을 통해 ‘Emotet’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해당 피싱 메일은 회의와 관련된 내용으로, 사용자가 첨부된 악성 워드 문서를 열람하도록 유도하고있다. 사용자가 피싱 메일에 첨부된 워드 문서를 열람할 경우, ‘콘텐츠 사용’ 클릭을 유도하고 있다. 본문 내용을 보기 위해 ‘콘텐츠 사용’ 버튼을 클릭할 경우, 악성 매..

[악성코드 분석]해킹된 ASUS社 서버로부터 유포되는 Shadow Hammer 악성 파일 주의

해킹된 ASUS社 서버로부터 유포되는 Shadow Hammer 악성 파일 주의 1. 개요 대만의 컴퓨터 제조사인 ASUS의 업데이트 서버가 해킹당해 악성 코드가 심어진 Live Update 파일을 유포했다. 최초로 이를 발견한 Kaspersky Lab 은 해당 악성 캠페인에 Shadow Hammer 라는 이름을 붙이고 트위터를 통해 발표했다. Shadow Hammer 는 감염 시스템의 MAC 주소에 따라 C&C 서버로부터 추가 악성 코드를 다운받아 실행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현재 ASUS 에서는 해당 보안 문제를 해결하였다고 언급하며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진단 툴을 배포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Shadow Hammer 악성 파일의 악성 동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

[월간동향]2018년 11월 악성코드 통계

2018년 11월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20 2018년11월(11월 1일 ~ 11월 30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표 1-1]은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2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Backdoor(백도어) 유형이며 총 279,231 건이 탐지되었다. 순위 진단명 유형 탐지 건수 1위 Backdoor/W32.Orcus.9216 Backdoor 279,231건 2위 Trojan/W32.HackTool.14848.N Trojan 29,414 건 3위 Trojan/XF.Sic Trojan 3,453 건 4위 Trojan/W64.KMSAuto.3584 Trojan 3,405 건 ..

과거 리눅스 커널 취약점 활용한 악성파일 유포 주의

1. 개요 최근 리눅스 커널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관리자 권한을 탈취하는 Dirty Cow 취약점(CVE-2016-5195)을 사용한 악성 파일이 유포되고 있다. 해당 샘플에 감염될 시 가상화폐 채굴기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감염 PC 의 통신 기록을 참고하여 감염 대상을 늘리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Dirty Cow 취약점을 이용하는 백도어 프로그램의 악성 동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 2-2. 유포 경로 해당 프로그램은 SSH 통신을 이용한 감염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SSH 통신을 통해 유포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2-3. 실행 과정 악성 셸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가장 먼저 감염 PC 의 시스템 정보를 읽어 감염 동작에..

[악성코드 분석]한글 문서에 포함된 매크로 악성코드 분석

한글 문서에 포함된 매크로 악성코드 분석 1. 개요 한글 문서의 스크립트 매크로 기능은 사용자가 정의하는 키보드와 마우스 동작을 특정 단축키에 기록하여 매크로로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악성코드 제작자는 이 기능을 악용하여 조작된 HWP 파일을 피싱 메일을 통해 유포하고, 사용자가 조작된 한글 문서를 열람할 때 악성코드가 실행되도록 만든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한글 문서에 포함된 매크로 악성코드에 대해 알아본다. 2. 한글 문서의 스크립트 매크로 기능 한글 프로그램에서 사용자가 정의한 매크로는 ‘도구 탭 – 매크로 - 스크립트 매크로 정의’에서 코드 편집이 가능하다. Document 내용에 코드를 작성하면 한글 문서를 열람할 때 스크립트가 실행된다. 이렇게 매크로 스크립트가 삽입된 한글 문서를 사용자가 ..

[악성코드 분석]경고 메시지 없이 실행되는 MS 워드 비디오 삽입 취약점 주의

경고 메시지 없이 실행되는 MS 워드 비디오 삽입 취약점 주의 1. 개요 최근 한 보안회사에서 마이크로소프트 社의 워드 문서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삽입 기능을 악용하여 악성코드를 실행하는 취약점을 발견했다. 해당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은 악성코드 실행 과정에서 오류 및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MS Office 문서 파일의 비디오 삽입 기능을 악용한 악성 동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취약점 정보 2-1. 버전 정보 영향 받는 버전 Microsoft Office 2016 Microsoft Office 2013 3. 악성 동작 과정 3-1. 개요 이번 취약점은 공격자가 정상적인 비디오를 삽입한 후 관련된 설정을 마음대로 수정할 수 있다는 점과 워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