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메일 5

LockBit 랜섬웨어를 유포하는 이메일 캠페인

최근, 이메일 캠페인에서 “Phorpiex” 봇넷을 이용해 “LockBit” 랜섬웨어를 유포하는 정황이 발견됐다. 공격자는 이메일에 EXE 파일을 포함한 ZIP 파일을 첨부해 이번 캠페인에서 사용했다. 사용자가 EXE 파일을 실행하면 “Phorpiex” 봇넷의 인프라에서 “LockBit” 랜섬웨어 페이로드가 다운로드 된다. 이후, 랜섬웨어 페이로드는 시스템을 장악해 데이터를 탈취하고 파일을 암호화하는 등의 공격을 수행한다. 보안 업체 Proofpoint 측은 이번 캠페인에서 사용된 “Phorpiex” 봇넷이 대용량 이메일 캠페인에서 악성코드를 전달하는 봇넷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를 악용하면 캠페인의 규모가 커지고 랜섬웨어 공격의 성공 확률이 높아진다고 언급했다. 사진 출처 : Proofpoint 출처..

[주의]스미싱 정보유출 방식 웹 서버에서 이메일로 변경

1. 스미싱을 통한 개인정보 중국 이메일로 유출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이용자들을 겨냥한 스미싱 사기범들이 개인정보 및 문자메시지(SMS) 수집 방식을 웹 서버에서 중국 무료 웹메일 서비스로 변경한 것을 다수 발견하였다. 웹 서버 기반의 정보수집 방식은 명령제어(C&C) 서버의 IP주소 차단을 통해서 조기에 무력화될 수 있다. 그렇다보니 공격자들은 노출된 서버의 IP 주소를 꾸준히 변경하거나 새로운 서버를 구축하여 사용하였다. 스미싱 공격자 측면에서는 자신들이 운영하는 서버가 국내에서 접속이 차단되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웹 서버 방식에서 웹 메일 서비스 방식으로 교체하였고, 웹 서버를 구축하여 운용하는 것 보다 무료 웹 메일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이 상대적으로 편리하고 유용했기 ..

[주의]독도 관련 한글 문서 파일로 위장한 악성파일 유포 주의!

1. 개 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최근 APT 공격과 관련한 모니터링중에 독도 영유권 분쟁과 관련한 내용으로 꾸며진 한글 문서 파일을 악용하여 특정 기업을 대상으로 APT 공격이 발생한 정황을 포착하였다. 최근 국내외적으로 이슈가 되고있는 독도 관련 문건으로 호기심을 자극하는 전형적인 사회공학적 기법의 공격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감염될 경우 키로거 기능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는 APT 공격 과정의 초기 분석 단계로 볼 수 있다. [정보]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파일 유포 주의! ☞ http://erteam.nprotect.com/314 [긴급]HWP 문서 0-Day 취약점 이용한 APT 공격발생 ☞ http://erteam.nprotect.com/297 [주의]악성 HWP ..

[주의]E-mail 계정, 비밀번호 탈취를 시도하는 안드로이드 악성 애플리케이션 출현

1. 개 요 최근 악의적인 목적을 가지고 스마트폰 단말기 정보 등의 탈취를 시도하는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다수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해외에서 E-mail 계정 및 비밀번호 탈취를 시도하는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를 요망하고 있다. 해당 악성 애플리케이션은 해외의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의 정상 애플리케이션으로 위장하고 있어 일반 사용자의 경우 쉽게 현혹되어 E-mail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 후 로그인 하게될 경우 계정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2. 유포 경로 및 감염 증상 해외를 중심으로 각종 블랙 마켓, 3rd Party 마켓 등을 통해 유포될 수 있으며, 국내에서는 해당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의 사업이 진행되지 않아 특별한 감염 및 피해 사례는 나타나지 않고 ..

[주의]한글 문서 파일로 위장한 지능화된 악성 파일 증가

1. 개 요 최근 지인이나 사회적으로 관심을 끌 수 있는 내용 등으로 위장한 악성 파일 유포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러한 이메일의 본문은 수신자의 지인을 사칭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첨부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 및 실행을 유도하는 일종의 사회 공학 기법을 사용한 형태이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의 경우 쉽게 현혹될 수 있다는것이 특징이다. 첨부된 파일은 악성 파일로서 감염될 경우 사용자들의 PC를 다양한 피해에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국지적 공격에 악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사례별 내용을 파악해서 대처해 보도록 하자. 2. 감염 경로 및 증상 사례 ① : 유니코드 확장자 변조 기법 "뭐 하고있냐...보고싶구나" 라는 메일 제목을 사용해 국내 이용자들을 타켓으로 발송한 이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