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카인터넷 1560

PC 부팅을 막는 MBR 악성코드

PC 부팅을 막는 MBR 악성코드 1. 개요 하드디스크의 MBR(Master Boot Record ; 마스터부트레코드) 영역을 파괴하여 PC 부팅을 못 하게 만드는 MBR 악성코드가 성행하기 시작했다. MBR 영역을 파괴하는 악성코드는 이전 한수원 해킹 사건, 3.20 사이버 테러, 6.25 사이버테러 등에서 국내 주요기관을 마비시킨 이력이 있다. MBR이란 파티션 된 저장장치(하드 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USB메모리 등)의 가장 앞 부분에 쓰여있는, 저장장치 이용 시 반드시 필요한 정보이다. MBR에는 PC 부팅에 반드시 필요한 여러 정보(파티션정보, 부트로더 정보 등)이 손상되면 저장장치를 읽을 수 없게 되어 대표적으로 PC 부팅 실패 등 여러 이상이 발생한다. 이에 잉카인터넷 시큐리티 대응센터(..

[악성코드 분석] HashCop_Bypass.exe (토렌트를 통한 악성코드 유포)

HashCop_Bypass.exe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1. 개요 1.1. 파일정보 구분내용파일명HashCop_Bypass.exe, svchost.exe파일크기1,009,152 byte진단명Trojan-Downloader/W32.Agent.1009152.C악성동작Bot, Downloader 1.2. 유포경로 HashCop_Bypass.exe는 *토렌트를 통해 유포되었다. 이 악성 파일에 대한 내용이 담긴 torrent 파일 “Inside Men, 2015 .720p.HDRip-H264.by-kyh -.torrent” 은 현재에도 토렌트 공유 사이트에 업로드 되어 있고 파일 다운로드가 가능하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토렌트 – 사용자와 사용자 간(peer-to-peer)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자 그것을 이용하..

[악성코드 분석] atotal3.exe (게임 실행화면 탈취, 파일 생성실행)

atotal3.exe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1. 개요 1.1. 파일정보 구분 내용 파일명 atotal3.exe 파일크기 438,272 byte 진단명 Trojan/W32.Agent.438272.SW 악성동작 게임 실행화면 탈취, 파일 생성실행 네트워크 115.**.***.158 에서 다운로드 1.2. 유포경로 atotal3.exe 는 네이트 피싱사이트 nete.kr(115.**.***.158)에서 유포되었다. 정상 사이트(nate.com)와 URL이 비슷한 피싱사이트는 접속 시 정상 사이트와 외관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쉽게 정상 사이트로 착각할 수 있다. 피싱 사이트는 정상 사이트의 정보를 그대로 가져와 보여주지만 페이지 소스코드를 살펴보면 세 개의 악성함수가 숨겨져 있으며, 이 함수를 통해 악성코..

[악성코드 분석] fgrfev1.1.exe

fgrfev1.1.exe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1. 개요 1.1. 파일정보 파일명 fgrfev1.1.exe 파일크기 55,198 byte 진단명 Trojan-PWS/W32.WebGame.55198 악성동작 다운로더 네트워크 14.**.***.148/down/dll.dll 파일명 임의숫자.txt 파일크기 68,006 byte 진단명 Trojan-PWS/W32.WebGame.68006 악성동작 계정정보 탈취 네트워크 14.**.***.148 1.2. 유포경로 fgrfev1.1.exe는 복합쇼핑몰 홈페이지 www.y****k.kr/ad/fgrfev1.1.exe 에 업로드 되어 있다. 수집 당시 해당 웹사이트에는 fgrfev1.1.exe 외에도 다른 두 개의 실행파일이 업로드 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다운로드되지 ..

[악성코드 분석] 80.exe (랜섬웨어)

80.exe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1. 분석 정보 1.1. 유포경로 랜섬웨어는 사용자의 PC에서 실행될 경우 PC 내의 문서, 그림 파일 등 특정 파일들을 암호화하고 복호화를 위해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파일이다. 대다수가 이메일의 첨부파일이나 변조된 웹사이트를 통해 전파되어 감염된다. 80.exe 파일은 랜섬웨어 중 TeslaCrypt에 속하며 이메일 첨부파일을 통해 전파되었다. 이메일 내용을 살펴보면 결제와 관련된 내용이며, 첨부된 .zip 파일은 .js 파일이 압축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별다른 의심없이 첨부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압축해제 후 .js 파일을 실행하면 80.exe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하는 스크립트가 동작한다. [그림] 메일을 통해 유포된 랜섬웨어 80.exe 1.2. 80...

[악성코드 분석] zxarps.exe

zxarps.exe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1. 분석 정보 1.1. 유포경로 zxarps.exe는 특정된 경로는 없으나 유아용 교육 콘텐츠 제작사이트 www.i****lp**s.com 에 압축파일(zx.exe) 형태로 업로드 되어 있으며, 분석 당시(12월 15일)에도 다운로드가 가능했다. 실행 시 감염PC 환경에 따라 다른 옵션값을 인자로 줘야 제대로 된 악성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아 단독으로 실행되기 보다는 다른 악성코드가 다운받아 실행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1.2. 악성 동작 위 유포지에 업로드 되어 있는 zx.exe파일은 별도의 압축 해제 프로그램이 필요 없는 “실행 가능한 압축파일”이다. zx.exe를 실행하면 “zxarps免杀版” 폴더가 생성되고, 해당 폴더 하위에 아래와 같이 압축 해제된 ..

[악성코드 분석] Cribinst.exe (인터넷 뱅킹 파밍)

Cribinst.exe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1. 분석 정보 1.1. 개요 Cribinst.exe 파일은 기타 금융권 악성파일과 동일하게 hosts 파일을 변조하고 인터넷 접속 시 가짜 금융권 사이트로 연결되어 개인정보 입력을 유도한다.다만, 기존의 금융권 악성파일과는 다르게 화면을 캡쳐하여 저장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1.2. 동작 Cribinst.exe 파일 실행 시 C:\ 하위에 '1b'이란 파일을 생성한다. 확장자가 없는 '1b' 파일은 .bmp파일 포맷을 가지며. 해당 파일을 확인하면 악성코드에 의해 PC 실행화면 중 일부가 캡처된 이미지 파일임을 알 수 있다. [그림] 악성코드에 의해 캡처된 PC 실행화면 또한,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hosts...

[악성코드 분석] 0f591.exe

0f591.exe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1. 분석 정보 0f5911e332df35dca….exe(이하 0f591.exe)의 유포경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게임 '스타 크래프트' 아이콘을 사용하고 있어, 해당 게임 이용자를 대상으로 게임 유틸리티로 가장해 유포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 게임 아이콘로 가장한 0f591.exe 아이콘 0f591.exe를 실행하면 여러 폴더에 악성동작을 위한 파일(qwe.exe)을 생성하고 실행시킨다. 생성된 파일은 아래와 같으며, 파일명 qwe.exe인 두 파일은 동일한 파일이다. 경 로 파일명 C:\DOCUME~1\사용자명\LOCALS~1\Temp qwe.exe 234234234.ico C:\WINDOWS qwe.exe [표] 생성 파일 이후 실행된 qwe.exe는 C..

[악성코드 분석] 111.exe (랜섬웨어)

111.exe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1. 분석 정보 http://3****r****n****l***o.com/wp-includes/Text/111.exe 에서 다운로드된 악성코드 111.exe는 특정된 유포경로가 없으나, 웹사이트에 삽입된 익스플로잇이나 이메일을 통해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111.exe는 사용자 동의없이 PC의 특정 파일들을 암호화하여 사용할 수 없게 하며, 원상복구 대가로 금액을 요구하는 이른바 랜섬웨어다. 실행 시 주요 파일들을 암호화하여 원본파일과 동일한 위치에 원본파일명.ccc 파일을 만들고 원본을 삭제한다. [그림] 감염 전 후 파일비교 모든 폴더에는 복호화 방법을 설명하는 두 파일(_how_recover_kug.html과 _how_recover_ kug.txt)을 생성하고, ..

[악성코드 분석] winhost.exe

winhost.exe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1. 분석 정보​1.1. 개요​고객의 신고에 의해 접수되어 유포 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winhost.exe 파일은 실행된 PC에 동작 중이던 정상 프로세스들에 악성코드를 인젝션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인젝션 된 악성코드는 추가적으로 악성파일 또는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한다. 1.2. winhost.exe​winhost.exe 파일을 실행하면 현재 동작중인 프로세스 중에서 “explorer.exe” 를 찾는다. 이후 정상 동작 중이던 explorer.exe 프로세스 및 하위 프로세스들에 악성동작을 하기 위한 특정 코드를 인젝션한다.​ 1.3. 감염된 프로세스 winhost.exe 파일에 의해 정상 프로세스에 인젝션 된 코드는 winhost.exe 파일을 숨기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