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취약점 2

[정보]국방 관련 문서파일로 위장한 한글 취약점 악성파일 발견 주의!

1. 개 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에서는 국방관련 주요 문서 파일로 위장하여, 추가적인 악성파일에 대한 유포를 시도하는 한글 취약점 관련 악성파일을 발견하였다. 해당 악성파일은 감염 시 정상적인 문서파일을 함께 출력하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의 경우 감염 여부에 대한 판단을 육안으로 내리기가 힘들며, 감염 시 다른 추가적인 악성 동작이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요망하고 있다. 2. 감염 증상 해당 악성파일은 감염 시 아래의 그림과 같이 정상적인 국방 관련 문서파일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아래의 그림과 같은 추가적인 악성파일들을 특정 경로에 생성하게 된다. ※ 파일생성 - (사용자 임시 폴더)\scvhost.exe (130,048 바이트) - (루트 드라이버)\tesdn.dat (7..

[주의]도움말 파일(HLP) 취약점을 통한 악성파일 전파 중

1. 개 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도움말 파일(HLP)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악성파일이 해외에서 전파 중인 것을 발견하였다. 보통 이메일을 통한 전파에 자주 사용되는 실행파일(EXE, SCR)이나 문서파일(HWP, DOC, PPT, XLS, PDF)의 취약점이 아닌 도움말 파일(HLP)의 취약점을 이용하는 보기 드문 형태이다. 특정한 표적 공격이나 지능적이고 고도화된 위협에 빈번히 이용되는 악성파일 전파수법이 바로 이메일 첨부파일을 통한 악성파일 유포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특히, 지능적 공격자들은 알려져 있지 않은 취약점(Zero-Day Exploit) 등을 이용하거나 심리적으로 무심코 열어보기 쉽도록 구성한 이메일을 발송한다는 점에서 이메일 첨부파일을 열어볼 때는 항상 의심하고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