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동향 4

2024년 05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악성코드 유형별 비율2024년 5월(5월 1일 ~ 5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외에서 수집된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유형별로 비교하였을 때 “Trojan”이 5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Ransom”과 “Virus”가 각각 14%와 7%로 그 뒤를 따랐다.   2. 악성코드 동향2024년 5월(5월 1일 ~ 5월 31일) 한 달간 등장한 악성코드를 조사한 결과, 해킹 포럼에서 "INC Ransom" 랜섬웨어의 소스 코드 판매 소식이 전해졌다. 또한, 10년 전에 발견된 취약점을 이용한 "Goldoon"과 Google Play 업데이트 앱으로 위장한 "Antidot" 악성코드가 알려졌다. 이 외에도 이스라엘 시스템과 ASEAN 정부를 각각 표적으로 하는..

2024년 05월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통계랜섬웨어 데이터 유출 통계랜섬웨어 조직이 탈취한 것으로 주장하는 데이터가 게시된, 데이터 유출 사이트 38곳의 정보를 취합한 결과이다.2024년 5월(5월 1일 ~ 5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현황을 랜섬웨어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LockBit” 랜섬웨어가 154건으로 가장 많은 데이터 유출이 있었고, “Play” 랜섬웨어와 “INC Ransom” 랜섬웨어가 31건의 유출 사례를 기록했다.  2024년 5월(5월 1일 ~ 5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국가별로 비교하였을 때 미국이 4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영국과 캐나다가 각 8%와 5%로 그 뒤를 따랐다.  2024년 5월(5월 1일 ~ 5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산업별로 비교하였을 ..

2023년 05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10 2023년 5월(5월 1일 ~ 5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표 1]은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1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Trojan(트로이 목마) 유형이며 총 159건이 탐지되었다. 악성코드 진단 수 전월 비교 5월에는 악성코드 유형별로 4월과 비교하였을 때 Banker와 Worm의 진단 수가 증가했고, Trojan, Backdoor 및 Ransom의 진단 수가 감소했다. 주 단위 악성코드 진단 현황 5월 한달 동안 악성코드 진단 현황을 주 단위로 살펴보았을 때 셋째 주를 기점으로 감소에서 증가로 바뀌는 추이를 보였다. 2. 악성..

2023년 05월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통계 랜섬웨어 데이터 유출 통계 랜섬웨어 조직이 탈취한 것으로 주장하는 데이터가 게시된, 데이터 유출 사이트 41곳의 정보를 취합한 결과이다. 2023년 5월(5월 1일 ~ 5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현황을 랜섬웨어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BlackCat” 랜섬웨어가 41건으로 가장 많은 데이터 유출이 있었고, “Snatch” 랜섬웨어가 10건으로 두번째로 많이 발생했다. 2023년 5월(5월 1일 ~ 5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국가별로 비교하였을 때 미국이 3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캐나다가 9%, 인도와 프랑스가 6%로 그 뒤를 따랐다. 2023년 5월(5월 1일 ~ 5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산업별로 비교하였을 때 제조/공급 분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