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PK 파일 ZIP Format Header 조작을 통한 암호화 방식 도입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2013년 10월 01일 오후 5시 58분 경부터 국내 불특정 다수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이용자를 겨냥한 스미싱기법의 악성문자가 전파되는 정황을 포착하였다. 그런데 이 스미싱을 통해서 설치되는 악성앱(APK)파일은 기존의 스미싱용 악성앱 형태와 다르게 APK 앱 파일 자체가 암호화 기능으로 설정되어 있었다. 안드로이드의 APK 파일은 압축 포맷인 ZIP 형태를 가지고 있어 압축 프로그램을 통해서 쉽게 압축을 해제하고 분석할 수 있으나, 이번과 같이 암호화 기능이 설정된 경우 내부에 존재하는 "classes.dex" 파일에 쉽게 접근하기 어려워 분석방해 등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 암호화 방식의 기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