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it 4

[주간 랜섬웨어 동향] – 1월 4주차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2022년 1월 21일부터 2022년 1월 27일까지 랜섬웨어 신•변종 및 이슈와 관련하여 대응을 진행하였으며, 신종 랜섬웨어는 "Exploit" 1건, 변종 랜섬웨어는 "Phobos"외 3건이 발견됐다. 금주 랜섬웨어 관련 이슈로는 FBI가 Diavol 랜섬웨어와 TrickBot의 관계를 발표한 이슈가 있었다. 2022년 1월 21일 Phobos 랜섬웨어 파일명에 ".id[사용자 ID].[공격자 메일].ELBOW" 확장자를 추가하고 [그림 1]의 랜섬노트를 생성하는 "Phobos" 랜섬웨어의 변종이 발견됐다. 해당 랜섬웨어는 시스템 복원을 무력화한다. Makop 랜섬웨어 파일명에 ".[공격자 메일].factfull" 확장자를 추가하고 "readme-warning.txt"라는 랜섬노트..

iPhone Exploit 공격, FORCEDENTRY

캐나다 토론토의 한 대학에 기반을 둔 Citizen Lab은 최근 바레인 정부 및 관련 활동가를 대상으로 하는 iMessage Exploit 공격을 발견하였다. 이 공격은 'FORCEDENTRY'라는 이름의 익스플로잇이 사용되었으며, FORCEDENTRY Exploit은 2021년 2월부터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익스플로잇은 iOS 버전 14.4 및 14.6에서 동작 가능한 제로데이 취약점으로 Apple의 BlastDoor 보안 기능을 우회할 수 있다고 밝혀졌다. 사진 출처: Citizenlab 출처 [1] Citizenlab (2021.08.31) – Bahraini Government Hacks Activists with NSO Group Zero-Click iPhone Exploits htt..

[정보]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파일 유포 주의!

1. 개 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에서는 최근 한글 취약점을 악용하여 추가적인 악성파일의 유포를 시도하는 악성 한글 문서 파일을 발견하였다. 해당 악성 한글 문서 파일을 실행할 경우 내부에 포함된 정상적인 문서 파일이 함께 실행되므로 일반 사용자의 경우 악성코드가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없어 잠재적 감염 위험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잠재적 감염 위험성을 가지는 악성파일에 감염되었을 경우 일반 사용자의 경우 감염 사실을 쉽게 알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 유출 등 감염 이외의 2차적 피해를 입을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2. 유포 경로 및 감염 증상 해당 한글 문서 파일은 이메일 등의 첨부파일을 통해 주로 유포될 수 있으며, 다운로드 후 실행 시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악성파일..

[주의]MIDI 파일 취약점을 이용한 악성파일 등장

1. 개요 2012년 01월 마이크로 소프트 정기 보안 업데이트로 제공된 MS12-004(CVE-2012-0003) 취약점을 이용하는 악성파일이 발견되었다. 해당 보안 취약점은 2012년 01월 10일 IBM Security System X-Force Research의 Shane Garrett 가 마이크로 소프트사 측에 최초 보고한 내용으로 알려져 알려져 있으며,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용 멀티미디어 라이브러리인 winmm.dll 파일에 존재하는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이다. 이미 보안 취약점이 해결된 업데이트 모듈이 공식적으로 배포 중에 있으므로, "윈도우 최신 보안 업데이트를 수행"하여 사전 예방하고, 이를 악용한 악성파일에 노출되어 또 다른 피해를 입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