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SI 3

[정보]사용자 몰래 동작되는 안드로이드 악성 애플리케이션 유포 증가 추세

1. 개 요 최근 스마트폰에 대한 보안 위협이 증가하며, 관련한 악성 애플리케이션도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폰 악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보안 위협이 증가하면서 악성 애플리케이션은 초기 단계에서 벗어나 자신의 생존 주기를 늘리기 위해 다양한 기법들을 사용하고 있다. 그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아주 기초적이면서도 일반 사용자들은 감염 사실을 알아차리기 어려운 백그라운드 동작 기법이다. 최근 사용자 몰래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동작하며, SMS를 무단 발송 하거나 스마트폰의 기기 정보 등을 무단으로 수집 및 외부유출을 시도하는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 유포 경로 및 감염 증상 위와 같은 악성 애플리케이션은 아직 국내에서는 전파되지 않고 있으며, 특별한 감염사례..

[주의]스마트폰 기기정보 탈취 악성 애플리케이션

1. 개 요 최근 스마트폰 기기의 불법적인 정보 수집기능을 가지는 애플리케이션이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기기의 정보가 유출될 경우 다양한 방면에서 악용될 소지가 다분하며, 이는 곧 사용자의 보안 위협으로 작용될 것이다. 이러한 와중에 스마트폰 기기의 정보에 대한 불법적인 수집 및 외부 유출을 시도하는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추가적으로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현재 안드로이드 악성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특별한 진단 및 분류 정책 마련 등이 아직은 미비한 상태이며, 이러한 악성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일반인들도 충분히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보안 위협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증대될 전망이다. 2. 유포 경로 및 감염 증상 이러한 악성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각종 블랙마켓, 3..

[주의]SMS 사용 과금 유발 안드로이드 악성 애플리케이션

1. 개 요 최근에 유포되고 있는 안드로이드 악성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대부분 SMS에 대한 Read, Write 등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에 확인된 안드로이드 악성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감염되면 SMS 프리미엄 서비스 사용 과금을 유발해 사용자에게 금전적 피해까지 줄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있어 각별한 주의를 요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대부분의 악성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악성 기능 동작에 대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도록 다각적인 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지속적인 패해를 입을 수 있다. 2. 유포 경로 및 감염 증상 위와 같은 악성 애플리케이션은 제작 시 중국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음이 추정 되고있으며,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특별한 피해 사례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해당 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