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Line Stealer 4

FIFA 게임으로 위장한 RedLine Stealer 악성코드

최근, FIFA 게임으로 위장한 "RedLine Stealer"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보안 업체 Cyble에 따르면, 공격자들이 유튜브 채널에 FIFA 23 크랙 버전의 다운로드 링크와 함께 다운로드 및 설치하는 방법을 업로드 했다고 알려졌다. 다운로드 링크를 클릭해 FIFA 23 크랙 버전을 설치할 경우, "RedLine Stealer" 악성코드가 실행돼 웹 브라우저 쿠키와 신용카드 정보 등의 데이터를 탈취한다. Cyble은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백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알 수 없는 웹 사이트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하지 않을 것을 권고했다. 사진출처 : Cyble 출처 [1] Cyble (2022.12.09) - Threat Actor Distributing Redline Stealer Malw..

VPN 설치 파일로 위장한 RedLine Stealer 악성코드

최근, 가짜 VPN 설치 파일을 통해 "RedLine Stealer"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캠페인이 발견됐다. 보안 업체 Cyble에 따르면, 공격자들이 Express VPN사의 VPN 프로그램 다운로드 페이지를 사칭한 피싱 사이트를 통해 이 악성코드를 유포한다고 알려졌다. 해당 악성코드는 VPN 설치 파일로 위장하고 있으며, 백신 탐지를 피하기 위해 대용량의 패딩 영역을 추가하여 640MB 크기를 가진 형태로 유포된다. 최종적으로 설치된, "RedLine Stealer" 악성코드는 피해자의 시스템에서 신용카드 정보와 디스코드 데이터 및 브라우저 쿠키 등의 정보를 탈취한다. 사진출처 : Cyble 출처 [1] Cyble (2022.11.30) - Redline Stealer Being Distributed..

다양한 방법으로 유포된 RedLine Stealer 악성코드

"RedLine Stealer" 는 정보탈취형 악성코드로 해커 포럼에서 판매중이며 크랙 버전도 발견되고 있다. 해당 악성코드는 코로나 19 이슈를 악용한 피싱 메일을 통해 처음 등장하였으며 정상 프로그램 위장, 피싱 페이지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유포된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도 디지털 아티스트들에게 업무를 의뢰한다고 접근하여 "RedLine Stealer"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고 실행을 유도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실행된 "RedLine Stealer" 악성코드는 브라우저, FTP 및 게임 프로그램 등 사용자 PC의 다양한 정보를 탈취한다. 최신 유포 사례 "RedLine Stealer" 악성코드는 2020년 3월 경 코로나 19 이슈를 악용한 피싱 메일 유포를 시작으로 피싱 웹 사이..

MSBuild의 기능을 악용하여 유포된 악성코드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MSBuild"의 기능을 악용하여 악성코드를 유포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MSBuild" (Microsoft Build Engine)는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개발도구이며, 일반적으로 Visual Studio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할 때 사용한다. 또한 Visual Studio가 설치되지 않은 환경에서도 빌드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는데, 최근 발견된 사례의 경우 "MSBuild"의 기능을 악용해 악성코드를 실행하고 추가 악성행위를 수행한다. 악성 프로젝트 파일 "MSBuild"는 빌드 시 프로젝트 파일(.proj)을 읽어 빌드를 수행하는데, 프로젝트 파일에는 데이터베이스 설정, 다른 프로젝트 정보 가져오기 및 수행할 작업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