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malware 6

[긴급]한국 맞춤형 소액결제 과금형 안드로이드 악성앱 피해 급증 (#Update 08)

1. 무료쿠폰, 할인 이벤트 사칭한 단축 URL 클릭 주의보 안드로이드 기반의 국내 스마트 폰 이용자를 노린 소액결제 피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2012년 11월부터 안드로이드 기반의 악성파일(KRSpammer)을 마치 정상적인 앱처럼 위장하여 스마트폰 이용자를 유혹한 후, 단말기에 설치를 유도하고 감염시켜 소액결제 승인문자 메시지(SMS)를 몰래 가로채기하는 방식으로 약 10~30만원 상당의 휴대폰 결제피해를 입히고 있는 악성파일을 지속적으로 발견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약 20 여종 이상의 변종이 발견되었으며, 새로운 변종이 꾸준히 제작되고 있는 상황이다. 요 며칠 사이 변형된 공격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문자메시지로 수신된 단축 ..

[긴급]국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이용자를 노린 보안위협 현실화

1. 국내 안드로이드 보안위협 신호탄 2012년 10월 26일 한국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이용자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안드로이드 악성파일이 구글 플레이 마켓에서 배포되고 있던 정황이 공식적으로 처음 확인되었다. 이 내용은 스마트폰 정보보호 민관합동 대응반을 통해서 신속하게 정보공유가 진행되었고, 유관기관들과 긴밀한 긴급대응이 진행되었다. 이번에 발견된 안드로이드 악성파일은 한글 소개서비스는 물론 대담하게도 정부기관을 사칭하여 설치를 유도했다는 점에서 더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이에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확보된 안드로이드 악성파일에 대해서 nProtect Mobile for Android 제품에 [Trojan-SMS/Android.KRSpammer]라는 대표 진단명으로 변종 탐지 및 치료기능을 긴급 업데이트한..

[정보]실행 아이콘 없는 안드로이드 앱의 허와 실

1. 개 요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원할때 다운로드 및 설치 후 생성된 아이콘(LAUNCHER)을 클릭하여 실행하게 된다. 그러나 일부 악용의 소지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혹은 제작시 악의적인 목적을 가지고 만든 악성 애플리케이션은 필요에 따라 실행시 사용될 수 있는 아이콘(LAUNCHER)을 아예 제외하는 경우가 있으며, 사용자는 이 경우 어떤 애플리케이션이 어떠한 목적으로 가지고 언제 실행되었는 확인하기가 힘들다. 최근 이렇게 은밀한 실행 방법을 띄는 애플리케이션들이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으며, 이같은 애플리케이션은 대부분 악의적인 목적을 가지고 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선별적인 다운로드 습관 함양 및 스마트폰 보안성에 대한 인식이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주의]안드로이드 악성파일 실제 유포과정 최초 공개

1. 개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이미 여러차례 안드로이드 기반의 악성파일이 해외에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정보를 다수 공개한 바 있다. 또한 2012년 01월 06일에는 국내 유명 자료실을 통해서 안드로이드용 악성파일이 실제 국내 이용자에게도 배포된 사례를 공식적으로 발표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국내 이용자들은 이러한 악성파일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배포되고 있는지 알기가 어렵기 때문에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현재 이 시간 실제 유포 중인 악성파일의 전 과정을 최초로 공개"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서 안드로이드 악성파일에 대한 보안경각심이 한층 제고되길 기대해 본다. 안드로이드 기반 악성파일 국내 자료실에서 배포 ☞ http://erteam.nprotect.com/239 안..

[주의]안드로이드 기반 악성파일 국내 자료실에서 배포 (#Update 06)

1. 개요 잉카인터넷 시큐리티 대응센터 대응팀에서는 2012년 01월 06일 국내 유명 공개자료실에서 개인 정보 유출 시도형 안드로이드용 악성파일이 배포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번에 보고된 안드로이드 앱은 2012년 새해를 축하하는 내용의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구글 정식 마켓 및 국내 자료실을 통해서 배포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국내 자료실에서는 약 41명이 다운로드를 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잉카인터넷 보안 이슈 대응 기록 중 안드로이드 악성파일이 국내에 상륙한 공식적인 첫 번째 사례로 집계 되었다. ━━━━━━━━━━━━━━━━━━━━━━━━━━━━━━━━━━━━━━━━━━━━━━━━━━━━━━━━━━━━━━━━ 해당 안드로이드 앱은 현재 공식 안드로이드 마켓에서도 배포가 진행 중이며..

[안내]잉카인터넷 안드로이드 악성파일 지속적 대응 체계 유지

1. 개요 잉카인터넷 시큐리티 대응센터 대응팀에서는 2012년 01월 05일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보안위협을 사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해외에서 수집된 다량의 악성파일을 추가 업데이트 하였다.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현재 자동화된 안드로이드 파일수집 및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외에서 배포 중인 안드로이드 파일에서 다수의 악성파일을 채취해 내고 있다. 아직까지 국내에는 공식적인 감염 피해 사례 등이 보고되고 있지는 않지만 외국에서 안드로이드 모바일 기기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공격 트렌드가 증대되고 있는 점에서 국내에 유입되는 것은 시간 문제로 예상되므로, 많은 관심과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