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s 3

[정보]안드로이드 악성 애플리케이션의 다량 제작과 배포의 위험성

1. 개 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최근 해외 웹 사이트에서 다량의 안드로이드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제작되고 서버에 업로드 되어 있는 정황을 포착하였다. 해당 사이트에 업로드 되어 있는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들은 모두 동일한 재패키징 형태의 악성 애플리케이션이며, 이미 잉카인터넷에서는 모든 악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진단/치료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업로드 되어 있는 악성 애플리케이션들은 대부분 채팅형 애플리케이션이거나 잘 알려진 애플리케이션으로 위장하고 있어 일반 사용자의 경우 쉽게 현혹되어 감염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물론,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러시아에서 제작되고 그 대상도 러시아 사용자들을 주 타겟으로 하고 있어 국내에서의 감염 피해는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최근 국내에서도 안드로이드 악성 ..

[정보]다양한 국가를 대상으로한 과금 유발 안드로이드 악성 앱

1. 개 요 기존에도 중국을 중심으로 특정 프리미엄 SMS 서비스를 이용한 과금 유발 형태의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다수 발견된 사례가 있었다. 이러한 프리미엄 SMS 서비스는 국내에선 실시되고 있지 않은 서비스이며, 다양한 이동통신사 및 망사업자 등의 조건이 충족되는 국가에서 실시되고 있는 서비스이다. 그런데 최근 다양한 국가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하는 프리미엄 SMS 과금 유발 형태의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발견되었으며, 향후 이와 유사한 변종 형태의 SMS 관련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출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외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에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2. 유포 경로 및 감염 증상 해당 악성 애플리케이션은 해외 블랙마켓, 3rd Party 마켓 등을 통해 유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의]Flash Player 등으로 위장한 안드로이드용 악성파일 발견

1. 개 요 Flash Player 관련 어플리케이션으로 위장한 안드로이드용 스마트폰 악성 어플리케이션이 해외에서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해당 악성 어플리케이션은 Flash Player 와 유사한 아이콘으로 위장되어 있으며, 실행 시 별도의 실행화면은 나타나지 않고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다양한 악의적 동작을 수행 시도하게 된다. 감염 시 스마트폰 단말기 정보, SMS 등의 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스스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설치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2. 유포경로 및 감염 증상 해당 악성 어플리케이션은 블랙마켓, 3rd party 마켓 등을 중심으로 유포될 수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악성 URL 접근, 이메일의 첨부파일 형태 등으로도 다운로드 및 설치가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