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rotect Mobile for ANDROID 7

[주의]대한민국 경찰청 앱으로 사칭한 도청가능 안드로이드 악성앱 등장

1. 경찰청앱으로 둔갑한 Trojan/Android.KRFakeCop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모바일 보안관제를 진행 중에 "대한민국 경찰청" 앱처럼 위장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용 악성앱을 최초로 발견하여 nProtect Mobile for Android 제품을 통해 유일하게 치료서비스를 제공 중에 있다. 해당 앱은 마치 경찰청 관계자들이 사용하는 앱처럼 위장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국내에서 주로 발견되었던 휴대폰 소액결제사기 방식과는 구별되는 다목적 형태의 악성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는 점과 국내에서 개발된 것으로 보여지는 부분이 주목된다. 이번 악성앱은 설치되는 과정에 국내 특정 모바일 보안제품처럼 위장한 악성앱을 별도로 추가 설치하는 기능으로 사용자를 속인 후 동작하게 되며, 처음 실행화면에서는 ..

[주의]nProtect Mobile 제품으로 위장한 안드로이드 악성앱 등장 (#Update 2013. 03. 13)

1. 소액결제사기 끝판왕? 엔프로텍트 모바일 앱으로 둔갑잉카인터넷 대응팀은 모바일 보안관제를 진행하던 중, 기존 소액결제사기용 스미싱 악성앱 변종이 nProtect Mobile 제품으로 위장한 형태를 최초 발견하였다. 악성앱 제작자는 자신이 만든 악성파일이 잉카인터넷 보안관제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관련 정보가 노출되자 아예 nProtect Mobile 제품처럼 사칭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공격자가 새로운 변종을 제작하여 유포하면 그 즉시 탐지되고 신속하게 업데이트되어 소액결제사기 피해가 최소화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며, 곧 공개할 스미싱 원천 차단솔루션에 대한 사전 반격으로도 예측된다. 그만큼 공격자들은 잉카인터넷 대응팀의 신속한 대응능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으며, 자신들의 사기범행..

[주의]맥모닝 알람 리패키징 형식 악성앱 최초발견 피해우려

1. 소액결제사기형 스미싱 위협 지각변동?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안드로이드 소액결제사기 위협동향을 예의주시 하던 중에 최근까지 국내에서 확인된 소액결제사기 유형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스미싱 악성앱을 최초로 발견하였다. 이전에는 범죄자들이 직접 악성앱을 제작하여 마치 정상적인 앱처럼 보이도록 위장수법을 사용했고, 악성앱을 실행시 가짜 오류메시지나 접속불가 내용을 보여주어 마치 일시적인 서비스 장애문제로 보이게 하는 단순 속임수 방법을 동원했다. 그러나 이번에 발견된 유형은 실제 2013년 02월 18일 국내에 정식출시된 "맥도날드 맥모닝 알람 앱"을 리패키징하였기 때문에 실제 정상앱 기능이 문제없이 작동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용자는 자신이 악성앱에 노출되었다는 것 자체를 인지하기 어렵다. 이처럼 정상앱을 리패..

[주의]롯데리아 앱 위장 KRSpammer 변종 출현! (#Update 05)

1. 국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이용자를 노린 위협 증대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이용자들을 직접 겨냥한 악성파일을 추가로 발견하였다. 이번에 발견된 KRSpammer 변종 악성파일은 파리바게뜨, 카페베네, 피자헛, 다빈치커피, 롯데리아 안드로이드 앱 이벤트를 위장하여 국내 특정 사용자들에게 배포되었다. 악성파일 제작자는 국내 이용자들의 소액결제 승인 문자메시지를 몰래 가로채기 하여 불법적으로 인터넷 결제를 시도하는 등의 사이버 범죄를 시도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실제 피해도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상태이다.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nProtect Mobile for Android 무료제품에 긴급 업데이트하였으므로, 이용자들은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여 전체 검사를 수행해 보는 것을 ..

[긴급]국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이용자를 노린 보안위협 현실화

1. 국내 안드로이드 보안위협 신호탄 2012년 10월 26일 한국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이용자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안드로이드 악성파일이 구글 플레이 마켓에서 배포되고 있던 정황이 공식적으로 처음 확인되었다. 이 내용은 스마트폰 정보보호 민관합동 대응반을 통해서 신속하게 정보공유가 진행되었고, 유관기관들과 긴밀한 긴급대응이 진행되었다. 이번에 발견된 안드로이드 악성파일은 한글 소개서비스는 물론 대담하게도 정부기관을 사칭하여 설치를 유도했다는 점에서 더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이에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확보된 안드로이드 악성파일에 대해서 nProtect Mobile for Android 제품에 [Trojan-SMS/Android.KRSpammer]라는 대표 진단명으로 변종 탐지 및 치료기능을 긴급 업데이트한..

[정보]지하철 요금 우회가 가능한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보고

1. 개 요 최근 해외 보안 업체를 통해 지하철 요금 지불과 관련하여 결제카드의 리셋 기능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공개된 바 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NFC 기능을 통해 결제카드에 대한 리셋 기능을 수행하며, 실제로 해외 지하철역에서 선불요금이 만료된 결제 카드에 대한 리셋 시연을 보이는 영상까지 공개되어 있다. 물론 국내에서 정상적인 동작을 기대하기는 어렵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악성이 아닌 POC(개념증명)를 위해 준비되었다는 점에서 약간의 거리는 있겠지만 날로 확산되어 가고있는 안드로이드 보안 위협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 전환을 위해서는 한번쯤 짚고 넘어가 볼 수 있는 문제일 수 있다. ※ 실제 시연 동영상 ☞ http://vimeo.com/49664045 ※ NFC[Near Fiel..

[주의]안드로이드 악성파일 실제 유포과정 최초 공개

1. 개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이미 여러차례 안드로이드 기반의 악성파일이 해외에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정보를 다수 공개한 바 있다. 또한 2012년 01월 06일에는 국내 유명 자료실을 통해서 안드로이드용 악성파일이 실제 국내 이용자에게도 배포된 사례를 공식적으로 발표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국내 이용자들은 이러한 악성파일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배포되고 있는지 알기가 어렵기 때문에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현재 이 시간 실제 유포 중인 악성파일의 전 과정을 최초로 공개"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서 안드로이드 악성파일에 대한 보안경각심이 한층 제고되길 기대해 본다. 안드로이드 기반 악성파일 국내 자료실에서 배포 ☞ http://erteam.nprotect.com/239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