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ro-day 5

국내 VPN 기업 제로데이 취약점 공개

최근 국내 VPN 기업의 제품에서 발견된 제로데이 취약점이 공개된 정황이 발견됐다.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다크웹 포럼에서 해당 취약점을 5만 달러에 판매했으며, 이후에 새롭게 발견된 사이버 범죄 포럼에서 해당 취약점이 무료로 공개됐다고 알려졌다. 현재, 취약점 판매 글이 게시된 포럼은 가입에 제한이 있어 접속되지 않았다. 사진 출처 : Therecord 출처 [1] Therecord (2021.10.29) - Ransomware gangs are abusing a zero-day in EntroLink VPN appliances https://therecord.media/ransomware-gangs-are-abusing-a-zero-day-in-entrolink-vpn-appliances/

[주의]Oracle Java Zero-Day (CVE-2013-0422) 공격 진행 중

1. Java 0-Day 취약점을 통한 악성파일 유포 중 2013년 01월 10일 새로운 Java 취약점이 악용되어 악성파일 유포에 이용되고 있는 사실이 해외에서 공식 보고되었다. 해당 취약점은 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 ID가 [CVE-2013-0422] 값으로 부여되었으며, 2013년 01월 11일 현재 취약점이 해결된 보안 업데이트가 정식으로 제공되고 있지 않은 Zero-Day 취약점이다. 이 취약점은 악성파일 유포 전문조직들이 사용하는 Blackhole Exploit Kit(BHEK) 외 각종 Exploit Kit 기능에도 이미 공격기능이 탑재된 상태이고, 이미 다수의 웹 사이트를 통해서 유포된 정황이 확인된 상태이므로, 각별한 주의와 대비가 요구된다. Ja..

[주의]인터넷 익스플로러(IE) 0-Day 취약점 공격 증가(CVE-2012-4792)

1. 인터넷 익스플로러 Zero-Day 취약점 주의 마이크로 소프트(Microsoft)사에서 개발한 웹 브라우저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의 몇몇 버전에서 2013년 01월 04일 현재 보안취약점이 해결되지 않은 Zero-Day 취약점(CVE-2012-4792)을 이용한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해당 취약점은 미국 외교협회(Council on Foreign Relations/CFR) 웹 사이트가 해킹되었다는 소식을 통해서 처음 알려졌다. 이번 취약점은 아직 마이크로 소프트사를 통해서 공식적인 보안업데이트가 제공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해킹된 웹 사이트에 접근하는 것만으로도 악성파일에 감염될 수 있는 상황이므로,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해당 Zero-Da..

[주의]HWP 문서취약점을 이용한 표적형 악성파일 급증 (Update #02)

1. HWP 취약점을 이용한 악성파일 변종 증가잉카인터넷 대응팀은 한글과컴퓨터사(http://www.hancom.com)의 HWP 문서파일 취약점을 이용한 악성파일을 꾸준히 발견하여 대응하고 있다. 2012년 초부터 최근까지 HWP 문서파일의 취약점을 이용한 악성파일이 약 100 여개 가깝게 발견되고 있으며, 특히, 해당 프로그램이 한국의 기업, 학교, 정부기관 등에서 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국지적 표적형 공격에 은밀하게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HWP 문서파일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항시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여 이미 알려져 있는 취약점을 적극적으로 패치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의심스러운 파일이나 신뢰하기 어려운 파일의 경우 각별한 주의와 관심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런 와중에 2012..

[정보]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파일 유포 주의!

1. 개 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에서는 최근 한글 취약점을 악용하여 추가적인 악성파일의 유포를 시도하는 악성 한글 문서 파일을 발견하였다. 해당 악성 한글 문서 파일을 실행할 경우 내부에 포함된 정상적인 문서 파일이 함께 실행되므로 일반 사용자의 경우 악성코드가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없어 잠재적 감염 위험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잠재적 감염 위험성을 가지는 악성파일에 감염되었을 경우 일반 사용자의 경우 감염 사실을 쉽게 알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 유출 등 감염 이외의 2차적 피해를 입을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2. 유포 경로 및 감염 증상 해당 한글 문서 파일은 이메일 등의 첨부파일을 통해 주로 유포될 수 있으며, 다운로드 후 실행 시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악성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