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향 리포트243

2025년 06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악성코드 유형별 비율2025년 6월(6월 1일 ~ 6월 30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외에서 수집된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유형별로 비교하였을 때 “Trojan”이 4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Virus”가 17%로 그 뒤를 따랐다. 2. 악성코드 동향2025년 6월(6월 1일 ~ 6월 30일) 한 달간 등장한 악성코드를 조사한 결과, 우크라이나를 대상으로 한 “PathWiper” 악성코드가 등장했다. 또한, 피싱 메일을 통해 유포된 "Anubis" 랜섬웨어와 깃허브를 통해 악성페이로드를 다운로드하는 “BRAODO Stealer”가 발견됐다. 이 외에도 Android 기기를 대상으로 한 "GodFather” 악성코드와 MacOS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O.. 2025. 7. 3.
2025년 05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악성코드 유형별 비율2025년 5월(5월 1일 ~ 5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외에서 수집된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유형별로 비교하였을 때 “Trojan”이 4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Virus”가 12%로 그 뒤를 따랐다. 2. 악성코드 동향2025년 5월(5월 1일 ~ 5월 31일) 한 달간 등장한 악성코드를 조사한 결과, MacOS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AppleProcessHub" 악성코드가 등장했다. 또한, 피싱 메일을 통해 유포되는 "SRG" 랜섬웨어 변종과 “Agenda” 랜섬웨어 그룹이 사용하는 새로운 로더 “NetxLoader”가 발견됐다. 이 외에도 AI 기반 콘텐츠 관련 내용으로 위장하여 유포된 "Noodlophile Ste.. 2025. 6. 10.
2025년 04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악성코드 유형별 비율2025년 4월(4월 1일 ~ 4월 30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외에서 수집된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유형별로 비교하였을 때 “Trojan”이 5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Virus”가 12%로 그 뒤를 따랐다. 2. 악성코드 동향2025년 4월(4월 1일 ~ 4월 30일) 한 달간 등장한 악성코드를 조사한 결과, 국내 안드로이드 사용자를 공격하는 "SoumniBot" 악성코드가 등장했다. 또한, 피싱 메일을 통해 유포되는 "TROX Stealer" 악성코드와 "Fog" 랜섬웨어 변종이 발견됐다. 이 외에도 사이버 범죄 포럼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Neptune RAT" 악성코드의 변종의 발견 소식이 전해졌다. Neptune.. 2025. 5. 8.
2025년 03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악성코드 유형별 비율2025년 3월(3월 1일 ~ 3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외에서 수집된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유형별로 비교하였을 때 “Trojan”이 5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Virus”가 14%로 그 뒤를 따랐다.   2. 악성코드 동향2025년 3월(3월 1일 ~ 3월 31일) 한 달간 등장한 악성코드를 조사한 결과, 새로운 랜섬웨어 "Ebyte Ransomwae"가 등장했다. 또한, 특정 국가의 IoT 기기를 공격한 "Eleven11bot" 악성코드와 안드로이드 기기를 공격한 "Crocodilus"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이 외에도 다양한 랜섬웨어 그룹에서 사용한 "Ragnar Loader" 악성코드와 피싱 메일로 유포된 "VenomRA.. 2025. 4. 3.
2025년 02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악성코드 유형별 비율2025년 2월(2월 1일 ~ 2월 28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외에서 수집된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유형별로 비교하였을 때 “Trojan”이 5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Virus”가 11%로 그 뒤를 따랐다.   2. 악성코드 동향2025년 2월(2월 1일 ~ 2월 28일) 한 달간 등장한 악성코드를 조사한 결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 서버를 악용한 "BadIIS"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또한, 모바일 기기를 대상으로 공격해 데이터를 탈취하는 "SparkCat" 악성코드와 "FinStealer" 악성코드가 등장했다. 이 외에도 가짜 DeepSeek 사이트를 이용해 배포되는 "AMOS Stealer" 악성코드와 5.. 2025. 3. 6.
2025년 01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악성코드 유형별 비율2025년 1월(1월 1일 ~ 1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외에서 수집된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유형별로 비교하였을 때 “Trojan”이 5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Virus”가 12%로 그 뒤를 따랐다.   2. 악성코드 동향2025년 1월(1월 1일 ~ 1월 31일) 한 달간 등장한 악성코드를 조사한 결과, 가짜 CAPTCHA 페이지를 이용한 "Lumma Stealer" 악성코드의 변종이 등장했다. 또한, AI 모델을 활용한 "FunkSec" 랜섬웨어와 정상 소프트웨어로 위장한 "PNGPlug" 악성코드가 새롭게 발견됐다. 이 외에도 탐지 방지와 랜섬웨어 등의 기능을 결합한 "NonEuclid" 악성코드와 안드로이드를 공격하는.. 2025. 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