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193

2023년 2분기 국가별 해커그룹 동향 보고서

2분기 국가별 해커 그룹 동향 보고서 러시아 2023년 2분기에는 CozyBear 해커 그룹과 FancyBear 해커 그룹의 공격이 발견되었다. 두 해커 그룹은 러시아 정부기관을 배후로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며, 2000년대 초반부터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이번 2분기에는 CozyBear 해커 그룹과 FancyBear 해커 그룹이 유사하게 피싱 메일을 활용한 APT 공격을 수행하였다. CozyBear CozyBear 해커 그룹은 2008년부터 활동한 것으로 전해지며, 러시아 대외정보국(SVR)을 배후로 두고 있는 해커 그룹이다. 해당 그룹은 CozyBear를 비롯하여, APT29, The Dukes 등의 이름으로도 불린다. 주로 NATO 회원국의 정부 네트워크 및 연구기관, 싱크탱크를 표적으로 공격하였으..

2023년 상반기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통계 2023년 상반기(1월 1일 ~ 6월 30일) 동안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랜섬웨어 신•변종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상반기에 발견된 신•변종 랜섬웨어의 건수는 [그림 1]과 같다. 상반기에는 월 평균 13건의 랜섬웨어가 발견됐으며 이 중, 신종과 변종 랜섬웨어는 각각 2월과 4월에 가장 많이 발견됐다. 2023년 상반기(1월 1일 ~ 6월 30일) 동안 월별로 랜섬웨어가 요구한 랜섬머니를 조사했을 때 주로 비트코인(BTC) 요구가 많았고 모네로(XMR)나 랜섬머니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는 매월 낮은 비율을 차지했다. 2023년 상반기(1월 1일 ~ 6월 30일) 동안 랜섬웨어가 요구한 랜섬머니를 조사했을 때 비트코인(BTC) 요구가 25%로 가장 많았고, 랜섬머니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와 모네..

2023년 2분기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피해 사례 2023년 2분기(4월 1일 ~ 6월 30일) 동안 랜섬웨어 동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외에서 블랙바스타(BlackBasta)와 블랙캣(BlackCat) 등의 랜섬웨어로 인한 피해가 다수 발견됐다. 4월에는 캐나다 출판 업체가 블랙바스타 랜섬웨어 공격을 받았고, 5월과 6월에는 국내 식품 대기업과 스위스 정보통신 업체가 각각 블랙캣과 플레이(Paly)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피해가 발생했다. 블랙바스타(BlackBasta) 랜섬웨어 피해 사례 2022년 초에 처음 등장한 블랙바스타(BlackBasta) 랜섬웨어는 2분기에 활발한 공격을 보이며 많은 피해 사례를 기록했다. 블랙바스타 측의 주요 공격 국가는 미국, 일본 및 캐나다 등이며 초기 접근 단계에서 "Qakbot" 악성코드를 ..

2023년 06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10 2023년 6월(6월 1일 ~ 6월 30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표 1]은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1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Trojan(트로이 목마) 유형이며 총 216건이 탐지되었다. 악성코드 진단 수 전월 비교 6월에는 악성코드 유형별로 5월과 비교하였을 때 Trojan, Ransom, Worm, Backdoor 및 Suspicious의 진단 수가 증가했다. 주 단위 악성코드 진단 현황 6월 한달 동안 악성코드 진단 현황을 주 단위로 살펴보았을 때 셋째 주를 기점으로 감소에서 증가로 바뀌는 추이를 보였다. 2. 악성코드 동향 20..

2023년 06월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통계 랜섬웨어 데이터 유출 통계 랜섬웨어 조직이 탈취한 것으로 주장하는 데이터가 게시된, 데이터 유출 사이트 58곳의 정보를 취합한 결과이다. 2023년 6월(6월 1일 ~ 6월 30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현황을 랜섬웨어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LockBit” 랜섬웨어가 61건으로 가장 많은 데이터 유출이 있었고, “8base” 랜섬웨어와 “BlackCat” 랜섬웨어가 각각 40건의 유출 사례를 기록했다. 2023년 6월(6월 1일 ~ 6월 30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국가별로 비교하였을 때 미국이 4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영국과 브라질이 각각 6%와 5%로 그 뒤를 따랐다. 2023년 6월(6월 1일 ~ 6월 30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산업별로 비교하..

2023년 05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10 2023년 5월(5월 1일 ~ 5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표 1]은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1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Trojan(트로이 목마) 유형이며 총 159건이 탐지되었다. 악성코드 진단 수 전월 비교 5월에는 악성코드 유형별로 4월과 비교하였을 때 Banker와 Worm의 진단 수가 증가했고, Trojan, Backdoor 및 Ransom의 진단 수가 감소했다. 주 단위 악성코드 진단 현황 5월 한달 동안 악성코드 진단 현황을 주 단위로 살펴보았을 때 셋째 주를 기점으로 감소에서 증가로 바뀌는 추이를 보였다. 2. 악성..

2023년 05월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통계 랜섬웨어 데이터 유출 통계 랜섬웨어 조직이 탈취한 것으로 주장하는 데이터가 게시된, 데이터 유출 사이트 41곳의 정보를 취합한 결과이다. 2023년 5월(5월 1일 ~ 5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현황을 랜섬웨어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BlackCat” 랜섬웨어가 41건으로 가장 많은 데이터 유출이 있었고, “Snatch” 랜섬웨어가 10건으로 두번째로 많이 발생했다. 2023년 5월(5월 1일 ~ 5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국가별로 비교하였을 때 미국이 3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캐나다가 9%, 인도와 프랑스가 6%로 그 뒤를 따랐다. 2023년 5월(5월 1일 ~ 5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산업별로 비교하였을 때 제조/공급 분야가..

2023년 04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10 2023년 4월(4월 1일 ~ 4월 30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표 1]은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1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Trojan(트로이 목마) 유형이며 총 847건이 탐지되었다. 악성코드 진단 수 전월 비교 4월에는 악성코드 유형별로 3월과 비교하였을 때 Trojan, Suspicious 및 Backdoor의 진단 수가 증가했고, Virus와 Worm의 진단 수가 감소했다. 주 단위 악성코드 진단 현황 4월 한달 동안 악성코드 진단 현황을 주 단위로 살펴보았을 때 둘째 주까지는 3월에 비해 진단 수가 증가했지만, 셋째 주에는 ..

2023년 04월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통계 랜섬웨어 데이터 유출 통계 랜섬웨어 조직이 탈취한 것으로 주장하는 데이터가 게시된, 데이터 유출 사이트 41곳의 정보를 취합한 결과이다. 2023년 4월(4월 1일 ~ 4월 30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현황을 랜섬웨어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LockBit” 랜섬웨어가 161건으로 가장 많은 데이터 유출이 있었고, “BlackCat” 랜섬웨어가 48건으로 두번째로 많이 발생했다. 2023년 4월(4월 1일 ~ 4월 30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국가별로 비교하였을 때 미국이 4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프랑스가 7%, 캐나다와 영국, 독일이 4%로 그 뒤를 따랐다. 2023년 4월(4월 1일 ~ 4월 30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산업별로 비교하였을 때 제조/..

2023년 1분기 국가별 해커그룹 동향 보고서

1분기 국가별 해커그룹 동향 보고서 러시아 2023년 1분기에 러시아를 배후로 둔 Sandworm 그룹과 Gamaredon 그룹의 공격이 발견되었다. 두 해커 그룹은 작년에도 활발하게 활동한 그룹으로, 최근 공격에서는 새로운 악성코드를 사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Sandworm 해커 그룹은 SwiftSlicer 라는 이름의 와이퍼를 이용하였으며, Gamaredon 해커 그룹은 GammaLoad 와 GammaSteel 악성코드를 사용하였다. Sandworm Sandworm 해커 그룹은 러시아 연방군 총참모부 정보총국 (GRU) 을 배후로 두고 있으며, 2013년 부터 우크라이나를 대상으로 APT 공격을 수행하였다. 이번 1분기 1월에도 우크라이나의 조직을 대상으로 한 APT 공격이 발견되었다. ESET에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