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F 취약점을 통해 전파된 랜섬웨어 분석 보고서 1. 개요 악성코드의 목적은 금융정보 탈취, 파일 암호화, DDoS 공격용 좀비PC 생성, 단순 PC 파괴 등 다양하다. 그리고 공격자는 이런 악성코드가 사용자의 PC에서 실행되도록 다양한 수단을 이용한다. 취약점 CVE-2016-1019 도 그 중 하나이다. CVE는 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의 약자로, 보안 취약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각 취약점 별로 번호를 붙여 식별하고, 이 랜섬웨어에서 사용한 CVE-2016-1019 는 2016년 4월에 발견된 취약점으로, Adobe Flash Player 21.0.0.197 이하 버전을 사용할 경우 이 취약점에 노출된다. 이 보고서에서는 CVE-2016-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