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정보/악성코드 분석 정보 370

[악성코드 분석] 기업 홈페이지명을 사칭한 백도어 악성코드

기업 홈페이지명을 사칭한 백도어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1. 개요 뒷문이란 의미의 백도어(Backdoor)는 원래는 시스템의 유지 보수나 유사 시 문제 해결을 위해 관리자 보안 설정을 우회하여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뜻했다. 하지만 이 점을 악성코드가 이용하게 되면서 다른 사용자의 보안 설정을 우회하여 접근, 해킹하여 추가적 피해를 입히면서 백도어는 악성동작의 한 종류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백도어 악성코드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번에 분석한 악성코드는 국내 모 대기업의 해외 지사 홈페이지에서 유포된 것으로 추정되며, 신뢰있는 기업의 사이트명을 파일명으로 하여 사용자의 실행을 유도시키며 해킹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2. 분석 정보 2-1. 파..

[악성코드 분석] 북한이 사용한 악성 프로그램 ‘유령쥐’ (Gh0st RAT)

북한이 사용한 악성 프로그램 ‘유령쥐’ 1. 개요지난 6월 13일 경찰청 사이버안전국은 북한이 4차 핵실험 직후인 2월, 국내 대기업 전산망을 해킹했음을 발표하였다. 발표에 따르면 북한은 악성 프로그램 ‘유령쥐’를 이용해 13만여대의 컴퓨터를 감염시켰다고 한다. 이번 보고서에선 이 유령쥐를 자세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실행파일명은 zegost.exe로 통칭 Gh0st RAT의 변종으로 불리고 있다. 여기서 RAT은 Remote Access Tool 혹은 Remote Administrator Tool로 불리며 단어의 차이는 있으나 그 뜻은 원격 접속을 보장하는 도구로 같다. 유령쥐라는 명칭 또한 Gh0st RAT이라는 영문이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2. 분석 정보2-1. 파일 정보구분내용파일명svchs..

[악성코드 분석] 다운로드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애드웨어 배포 주의

다운로드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애드웨어 배포 주의 1. 개요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컴퓨터 문의 중 한 번쯤 이런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 컴퓨터가 느려졌어요.” “인터넷을 하는데 자꾸 이상한 광고가 나와요. 고쳐주세요.” 이런 문제가 있는 PC를 들여다보면 대부분 애드웨어가 원인인 것으로 밝혀진다. 애드웨어의 유포는 여러 경로지만, 보통 특정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사용자가 인지하기 힘든 방식으로 추가 설치되어 골치를 꽤 썪이곤 한다. 사실 추가설치 자체는 잘못된 방식이 아니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오피스 프로그램만 하더라도 ‘워드’만 설치할지, ‘엑셀’도 설치할지 사용자 편의에 맞게 프로그램 설치를 할 수 있기에 추 후 있을 사항을 대비해 추가설치는 꼭 필요한 형태의 설치 방식이다. 또..

[악성코드 분석] 백도어 악성코드 분석

백도어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1. 개요 여러 악성코드 종류 중에서 표적의 정보를 탈취하거나 추가적인 공격에 흔히 사용되는 악성코드를 백도어 악성코드라고 불린다. 일반적으로 백도어의 의미는 사용자에게 정상적인 인증을 거치지 않고 공격자가 PC에 접근할 수 있는 동작을 말한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백도어 악성코드를 분석하여 백도어 악성코드가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기능과 방식에 대해 이야기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 구분 내용 파일명 server.exe 파일크기 737,280 Byte 진단명 Trojan-Spy/W32.Agent.737280.D 악성동작 백도어, 사용자 정보 탈취 3. 악성 동작 3-1. 추가 악성 파일 다운로드 분석한 악성코드는 특정 URL에서 추가적인 파일을 내려 받고 실행시킨..

[악성코드 분석] 인터넷 뱅킹 파밍 KRbanker 악성코드 주의

인터넷 뱅킹 파밍 KRBank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1. 개요 인터넷뱅킹 파밍 악성코드는 정부 및 금융기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해커들의 공격 수단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다수의 안티 바이러스 업체에서 파밍 악성코드를 진단 치료하지만, 이러한 대응이 무색하게 끊임없이 변종을 양산해 내고 있어 치료에 한계가 따른다. 이 보고서에서는 활동이 급증하고 있는 악성파일 'KRBanker'을 분석하여, 금융권 파밍 악성코드의 감염방식에 대해 알아보고 대응책을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 구분 내용 파일명 KRBanker_d8dba.exe 파일크기 338,944 byte 진단명 Banker/W32.Agent.338944 악성동작 금융정보 탈취 네트워크 104.***.***.27 (파밍서버..

[악성코드 분석] 인증서 탈취, ZeusBot 변종 악성코드 주의

ZeusBot 변종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1. 개요ZBot 이라고 알려진 제우스 봇은 유명한 상용 해킹 툴로써 2007년 이래로 지금껏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주로 이메일이나 소프트웨어 취약점을 이용해 전파되며, 감염된 PC를 쉽게 제어 할 수 있는 C&C 서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악성코드를 생성 할 때 자세한 사항을 설정할 수 있는 빌더를 제공하고 있어 감염 방지에 어려움이 따른다. 2. 분석 정보2-1. 파일 정보구분내용파일명fc6b9.exe파일크기450,560 byte진단명Trojan-Spy/W32.ZBot.450560.P악성동작인증서 탈취, 파일 생성실행, C&C, 인젝션네트워크78.***.**.114 2-2. 유포 경로ZBot은 감염PC 봇넷을 생성·관리하는 하나의 해킹 서비스를 말한다...

[악성코드 분석] 사용자 행동을 감시하는 악성코드

사용자 행동을 감시하는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1. 개요악성코드는 일반적으로 기존에 사용 되었던 코드를 재사용하거나, 전문 툴을 이용해서 제작된다. 그 중에서 전문 툴로 제작된 악성코드는 상당히 정교하기 때문에 해커들 사이에서 많이 사용된다. 특히, 전문 툴을 사용하는 악성코드 중 Backdoor 기능이 담겨있는 툴을 RAT라고 하는데 일단 감염에 성공한다면 Backdoor 기능을 통해 수 많은 다른 악성 행위가 가능해진다. 악성코드 Backdoor/W32.DarkKomet.281088.G (procexp.exe) 를 분석하며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악성코드의 위험성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2. 분석 정보2-1. 파일 정보구분내용파일명procexp.exe, scrss.exe파일크기281,088 Byte..

[악성코드 분석] 꿀뷰로 위장한 파밍 악성코드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 '꿀뷰'로 위장한 파밍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1. 개요최근 반디소프트의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 '꿀뷰'를 위장한 악성코드를 200여명의 사용자들이 다운로드 받은 사건이 발생하였다. 3월 26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반디소프트 홈페이지에서 유포된 이 악성코드는 꿀뷰 설치파일로 위장하고 있고 설치도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악성코드 감염사실을 인지하기 어렵다. 다운로드한 악성코드는 인터넷뱅킹 파밍 악성코드로 인증서 탈취 및 사용자를 위조 사이트로 접속하게 하여 금융정보 탈취를 유도한다. 현재 반디소프트 공식 입장에 따르면 반디소프트의 서버 자체가 해킹을 당한 것은 아니며, 공격사실을 인지함과 동일한 사건이 일어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2. 분석 정보2-1..

[악성코드 분석] 인기 게임으로 위장한 악성 토렌트

인기 게임으로 위장한 악성 토렌트 분석 보고서 1. 개요 토렌트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파일 공유 수단으로, 종종 악성코드 유포 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한다. 동영상이나 음악 같은 데이터 파일로 위장한 악성파일의 경우, 사용자의 실행 유도를 위해 실행파일을 데이터파일로 위장해야 한다. 하지만 실행파일이 필수적으로 포함된 게임, 유틸리티의 경우, 악성코드를 다른 파일 형태로 위장할 필요가 없어 해커들이 자주 사용하는 공격 수단이 된다. 특히 불법으로 유통되는 고 사양 최신 게임의 경우 파일의 크기가 굉장히 크고 쉽게 구할 수 없기 때문에 다운로드 받기가 쉽지 않다. 구하기 어려운 게임 파일로 위장한 악성파일은 사용자를 현혹시키기 쉬워 설령 오류가 있더라도 게임을 하고싶은 사용자 심리에 의해 의심없이 실행되는..

[악성코드 분석] C&C 동작의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C&C 동작의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1. 개요PC나 시스템을 자유자제로 조작하고 감시하는 것은 해킹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만약 사용자가 자신이 해킹 공격을 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다면 공격의 기간도 길어질 것이고, 피해의 심각성은 커질것이다. 윈도우 필수 프로세스에 인젝션되어 동작하는 악성코드들은 겉으론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일반사용자가 쉽게 찾아내기 힘들다. 또한 C&C 악성동작을 겸비하고 있는 악성코드에 감염된 PC라면 추후 공격에 사용될 가능성이 크다. 악성코드 Trojan.GenericKD.3003712 (factuur2390.exe) 를 분석하며 PC에서 동작하고 있을지 모르는 C&C 악성코드의 위험성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2. 분석 정보2-1. 파일 정보구분내용파일명factuur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