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정보/악성코드 분석 정보 384

[주의]치료가 까다로운 MBR(Master Boot Record) 변조 악성파일

1. 개 요 최근 온라인 게임 계정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하는 악성파일이 웹 하드 사이트 등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유포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MBR(Master Boot Record)을 변조하여 지속적인 감염을 유발하는 변종이 출현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해당 악성파일은 감염 후 백신 등을 통해 치료를 진행하여도 재부팅되면 지속적으로 재감염되는 감염증상을 가지고 있어 안전한 PC사용을 위해서는 백신의 실시간 감시 기능 등으로 사전 예방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유포 경로 및 감염 증상 해당 악성파일은 기존의 "특정 온라인 게임 계정정보 탈취"용 악성파일과 같이 각종 웹 하드 사이트 등을 통해 유포될 수 있으며, 이메일의 첨부파일 형태나 SNS 및 메..

[주의]SMS 관련 악성 애플리케이션 유포 증가

1. 개 요 모바일 보안 위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안드로이드 악성 애플리케이션중 SMS와 관련된 악성 애플리케이션의 유포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여러가지 감염 증상을 가지는 악성 애플리케이션에 SMS 발송 기능이 추가되거나 사용자 몰래 SMS에 대한 무단 발송 등 단일적인 감염 증상 까지 적용 범위도 넓어져가고 있다. 이러한 악성 애플리케이션에 감염될 경우 사용자 모르게 지속적인 이용 과금이 부과되거나 특정 광고 용도로 사용되는 등 여러가지 피해가 유발될 수 있다. 아래의 그림은 최근 1주일 동안 접수 및 수집된 악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종류별 유포 추이 그래프이다. [1주일 동안 악성 애플리케이션의 유포 추이 그래프] 2. 유포 경로 및 감염 증상 이러한 악성 애플리케이션은 해..

[주의]윈도우 원격 데스크톱 웜 "Morto" 해외 확산

1. 개요 2011년 8월 28일 경 해외의 보안 블로그를 통하여 윈도우 원격 데스크톱을 통하여 전파될 수 있는 "Morto" 라는 새로운 웜을 소개 하였다. 현재 해당 악성 웜은 윈도우 기반의 워크스테이션과 서버를 모두 다 감염시킬 수 있으며, 다량의 RDP(Remote Desktop Protocol) 포트를 통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유발 시키는 것으로 전해왔다. ※ Windows Remote Desktop worm "Morto" spreading http://www.f-secure.com/weblog/archives/00002227.html 2. 감염 방식 및 감염 증상 해당 악성 웜은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RDP)을 통해 전파될 수 있으며, 쉽게 노출되거나 단순한 조합의 관리자 암호를 이용하여 원격..

[주의]Flash Player로 위장한 Ransomware

1. 개 요 해외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유포가 이루어지는 Ransomware중 Flash Player의 아이콘 및 파일명을 도용한 변종이 발견되었다. 해당 Ransomware는 파일명 등 속성 값을 위장하는 사회공학 기법으로 사용자들을 현혹하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의 경우 이러한 사회공학 기법을 악용하는 Ransomware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Ransomware는 감염 특성상 일단 감염되면 사후 대응이 어려우며, 금전적 손실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주의]Ransomware의 해외 유포 증가 ☞ http://erteam.nprotect.com/193 2. 유포 경로 및 감염 증상 위와 같이 정상 파일명으로 위장한 Ransomw..

[주의]Ransomware의 해외 유포 증가

1. 개 요 최근 러시아 등 해외를 중심으로 유효한 코드 입력전에는 사용자의 PC사용을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는 Ransomware의 유포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단 감염되면 백신 치료 등 사후 대응이 어렵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의 경우 감염 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최근 사회적으로 각종 개인 정보를 탈취하는 해킹 사건이 빈번한 가운데 이러한 Ransomware가 사이버범죄에 악용된다면 일반 개인은 물론 각 공공기관 및 기업들의 엄청난 물리적, 금전적 손실을 불러올 수 있다. [Ransomware의 지속적인 출현과 대응 방법] ☞ http://erteam.nprotect.com/158 [웹 브라우저 업데이트 파일로 위장한 Ransomware 발견 주의 필요] ☞ http://erte..

[주의]중국의 Video Browser 형태로 위장한 Android용 악성파일 발견

1. 개 요 최근 유포되고 있는 안드로이드용 악성 어플리케이션은 정상적인 어플리케이션들을 재패키징하여 유포하는 것이 트랜드가 되어가고 있다. 정상적인 어플리케이션을 디컴파일 등의 과정을 통해 악성코드를 함께 삽입 후 다시한번 패키지화 하는것을 재패키징 기법이라 한다. 이러한 악성 어플리케이션에 감염될 경우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는 육안상으로 악성 여부를 판별해 내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확산성을 가진 악성 어플리케이션이 등장할 경우 감염 범위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웹을 통한 중국의 Video 스트리밍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재패키징된 악성 어플리케이션이 발견되어 이슈가 되고 있다. 2. 유포 경로 및 감염 증상 해당 악성 어플리케이션은 지속적으로 유사 변종이 발견되고 있으며..

[주의]한글 문서(HWP)취약점을 이용한 악성파일 발견

1. 개 요 한글 문서(HWP) 취약점을 이용하는 다수의 악성파일이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해당 악성파일은 정상적인 문서 파일과 외관상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가 육안상 악성 여부를 직접 식별하기는 어렵다. 또한, 감염이 이루어지면 정상적인 한글 문서 내용을 출력하는 등 사용자로 하여금 정상파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치밀하게 조작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한글 코드실행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http://www.krcert.or.kr/secureNoticeView.do?num=554&seq=-1 2. 유포 경로 및 감염 증상 한글 문서(HWP)의 취약점을 사용하는 악성파일은 이메일의 첨부파일 혹은 SMS, 인스턴스 메신저의 링크 접속 등을 통해 유포될 수 있으..

[주의]주말에 집중 유포하는 악성파일 감염시 부팅 장애 부작용 발생

1. 개 요 오래 전부터 온라인 게임 계정 탈취 목적의 악성파일이 주말을 이용해 대대적으로 유포되고 있다. 이러한 악성파일 중 감염이 되면 정상적으로 부팅이 진행되지 않는 심각한 피해 증상을 유발하는 종류의 악성파일(ws2help.dll 변조)이 최근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해당 악성파일은 접속자가 많은 웹 하드 사이트 등을 주요 유포 경로로 사용함과 동시에 다양한 웹 사이트를 변조하여 악성파일 유포 경로로 악용하고 있어 지속적인 대단위 감염 전파도를 보이고 있다. [주의]Melon Player로 위장한 악성파일 유포중 ☞ http://erteam.nprotect.com/174 [주의]윈도우 시스템 파일을 교체하는 악성파일 변종 증가 ☞ http://erteam.nprotect..

[주의]Melon Player로 위장한 악성파일 유포중

1. 개 요 최근 Flash Player 취약점을 이용해 추가적인 악성파일 다운로드 및 실행을 시도하는 형태의 악성파일 유포 기법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러한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파일에 감염되면 사용자들이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여러 형태의 악성 동작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또한,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파일 감염에 의해 다운로드 될 수 있는 추가적인 악성파일은 이번 글을 통해 언급될 파일처럼 국내 유명 음악 서비스 플레이어로 위장하는 경우도 있으며, 현재도 지속적으로 유포중에 있다. [주의]윈도우 시스템 파일을 교체하는 악성파일 변종 증가 ☞ http://erteam.nprotect.com/173 [주의]국내 소셜커머스 웹 사이트 변조로 악성파일 다량 전파 ☞ h..

[주의]윈도우 시스템 파일을 교체하는 악성파일 변종 증가

1. 개 요 최근 온라인 게임 계정 정보 탈취를 노리는 악성파일에 대한 유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해당 악성파일에 감염될 경우 온라인 게임 계정정보에 대한 유출을 비롯해 사용중인 Internet Explorer(이하 IE)의 비정상적인 종료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어 사용자들로 하여금 상당한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악성파일의 경우 지속적인 변종 유포로 백신 상으로의 대응에도 한계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주의]국내 소셜커머스 웹 사이트 변조로 악성파일 다량 전파] ☞ http://erteam.nprotect.com/170 [v3lite 파일명으로 위장한 온라인 게임 계정 정보 유출 악성파일 발견, 주의 필요] ☞ http://erteam.n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