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정보 852

Notepad++ 설치 파일로 위장한 StrongPity 악성코드

최근 Notepad++의 설치 파일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해당 악성코드는 사용자 PC에 정상 Notepad++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키보드로 입력한 값을 파일로 저장해 공격자에게 전송한다. 또한, 정상 소프트웨어에 악성코드를 추가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는 StrongPity라는 그룹에서 유포한 것으로 알려졌다. StrongPity 그룹에서 유포한 악성코드는 [그림 1]과 같이 진행한다. 1. Notepad++ 설치 파일로 위장한 파일을 실행하면 지정된 경로에 Notepad++ 설치 파일과 Winpickr.exe 및 ntuis32.exe 파일을 드롭한다. 2. Notepad++ 설치 파일을 실행해 사용자 PC에 정상 프로그램인 Notepad++ v8.1.7을 설치한다. 3. 다음으로, update..

금전적 요구를 하는 ScreenLocker

집콕 생활이 연장되면서 스마트폰 사용이 계속해서 증가되는 가운데, 최근 안드로이드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ScreenLocker 악성코드가 다량 유포되었다. ScreenLocker 악성코드는 화면에 암호 창을 띄워 피해자 단말기의 사용을 방해하고, 금전적인 요구를 한다. 최근 다량 발견된 이 악성 앱은 정상 앱으로 위장하고, 빨간 색의 알림 창을 띄우는 것이 특징이다. ScreenLocker은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Netflix, Instagram, Whatsapp등 많이 사용되는 앱을 위장하여 유포되었다. 앱을 실행하면, 하단 좌측 이미지와 같이 파일 암호를 입력하거나 비트코인을 요구한다. 암호를 입력하면 악성코드는 종료된다. 그 외의 악성 동작은 없으나, 암호를 입력하기 전까지 재부팅하거나 화면을 껐..

금전보다 정치적인 공격을 우선시하는 Moses Staff 해킹 그룹

2021년 9월, 처음 등장한 해킹 그룹 "Moses Staff"는 어떤 금전적 요구도 하지 않고, 반 유대주의 사상을 내세우기 위해 이스라엘 조직을 표적으로 삼아 공격하기 시작했다. "Moses Staff" 해킹 그룹은 자신들이 운영하는 데이터 유출 사이트에 이스라엘의 기업 및 공공 기관에서 탈취한 데이터를 게시했다. ▶ 아래의 링크는 해당 그룹에 대해 게시된 자사 블로그 정보성 글이다. 2021.10.26 - [최신 보안 동향] - 반 유대주의 사상을 내세운 사이버 범죄 등장 "Moses Staff" 그룹의 악성코드는 2021년 3월에 공개된 MS Exchange Server 취약점을 악용하여 유포된다. MS Exchange Server 취약점은 공격자를 사용자의 서버에 인증한 후 웹 쉘을 사용자 서..

ScarCraft의 Chinotto 스파이웨어

최근, 북한을 배후로 추정되는 ScarCraft APT그룹의 악성 공격이 발견되었다. 해당 공격에서는 악성 문서, 실행파일, 어플리케이션이 사용되었으며, 그 중 안드로이드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악성 앱은 Chinotto 스파이웨어라고 불린다. 이 앱은 원격지와 통신하여 단말기의 정보 및 사용자의 문자메시지, 연락처 정보 탈취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Chinotto 스파이웨어를 실행하면 하단 좌측의 이미지에서 보는 것과 같이, 악성 동작을 하기 위해 각종 권한을 획득한다. 그리고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원격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원격지와 연결하여 명령을 받아와 악성 동작을 이어간다. 원격제어 동작은 아래의 표와 같다. 이때, 'UploadInfo' 명령을 받을 때 다음의 정보를 탈취하고, 탈취한 정보..

[주간 랜섬웨어 동향] - 12월 2주차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2021년 12월 03일부터 2021년 12월 09일까지 랜섬웨어 신•변종 및 이슈와 관련하여 대응을 진행하였으며, 신종 랜섬웨어는 "VoidCrypt" 외 3건, 변종 랜섬웨어는 "Makop" 외 5건이 발견됐다. 2021년 12월 03일 Makop 랜섬웨어 파일명에 ".[키 값].[공격자 메일].mkp" 확장자를 추가하고 "+README-WARNING+.txt"라는 랜섬노트를 생성하는 "Makop" 랜섬웨어의 변종이 발견됐다. 해당 랜섬웨어는 시스템 복원을 무력화한다. 2021년 12월 04일 Thanos 랜섬웨어 파일명에 ".[키 값].unlock" 확장자를 추가하고 "UNLOCK_FILES_INFO.txt"라는 랜섬노트를 생성하는 "Thanos" 랜섬웨어의 변종이 발견됐다. 해..

금융 기관을 대상으로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MirroBlast 캠페인

최근 금융 기관을 대상으로 공격하는 MirroBlast 캠페인이 발견됐다. 해당 캠페인은 악성 문서 파일을 유포한 후 사용자 PC에 악성코드를 설치하고, 공격자의 C&C 서버에서 최종 페이로드의 다운로드를 시도한다. MirroBlast 캠페인은 공격 대상 PC에서 악성 스크립트를 설치하는 MSI 파일을 다운로드 후 실행하며, [그림 1]과 같이 진행한다. 1. XLS 파일을 실행하면 공격자의 C&C 서버에서 MSI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2. 다운로드한 MSI 파일을 실행하면 내부의 파일을 사용자 PC에 설치한다. 3. 그 후, 사용자 PC에 설치한 파일 중 EXE 파일을 실행해 스크립트의 난독화를 해제한다. 4. 난독화를 해제한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공격자가 운영하는 C&C 서버와 통신을 시도한다. 1...

[주간 랜섬웨어 동향] - 12월 1주차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2021년 11월 26일부터 2021년 12월 02일까지 랜섬웨어 신•변종 및 이슈와 관련하여 대응을 진행하였으며, 신종 랜섬웨어는 "Rook"외 3건, 변종 랜섬웨어는 "Karma"외 1건이 발견됐다. 2021년 11월 27일 Karma 랜섬웨어 파일명에 ".KARMANKA" 확장자를 추가하고 "KARMANKA-CYPHEREDDD.txt"라는 랜섬노트를 생성하는 "Karma" 랜섬웨어의 변종이 발견됐다. 해당 랜섬웨어는 [그림 1]과 같이 바탕화면 배경을 변경한다. 2021년 11월 28일 TOHNICHI 랜섬웨어 파일명에 ".brg" 확장자를 추가하고 "How to decrypt files.txt"라는 랜섬노트를 생성하는 "TOHNICHI" 랜섬웨어의 변종이 발견됐다. 2021년 ..

원격제어 악성 앱, ExpndBot

최근, "Video Player.apk"라는 이름으로 악성 원격제어 앱이 발견되었다. 해당 앱은 원격지와 연결하여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단말기의 정보 및 등을 탈취한다. 그리고 추가적인 원격제어 동작 여부를 설정하고 원격지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통해 특정 번호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화를 할 수도 있다. 해당 앱은 스토어에서 판매되지는 않지만, 웹 페이지 등 그 외의 경로로 배포된 것으로 추정된다. ExpndBot 은 하단 좌측 이미지와 같이 영상 재생 앱을 위장하고 있으며, 실행하면 앱 활성화를 유도한다. 앱이 처음 실행될 때, 해당 앱이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악성동작하는 것을 사용자가 눈치채지 못하도록 모든 소리를 음소거하고 화면을 잠근다. 원격지와 연결되면 아래의 명령을 수행한다. 만약 원격지와 ..

SharkBot 악성 앱 주의

2021년 10월 말, Cleafy TIR 연구원들이 Android 기기의 접근성 기능을 악용하여 영국, 이탈리아, 미국을 대상으로 뱅킹 공격을 시도하는 안드로이드 악성 앱을 발견하였다. 악성 앱의 이름은 APK 파일의 바이너리에서 "Sharked" 라는 단어를 이용한것으로 알려졌으며, "SharkBot" 악성코드가 설치되면 키로깅, SMS 메시지 가로채기, 오버레이 공격, 원격제어 명령을 수행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악성 앱이 실행 되면 아래와 같이 사용자에게 접근성 서비스 권한을 활성화하도록 유도한다. 이는 접근성 서비스 기능을 악용하여 사용자의 동의 없이 여러 악성 행위에 사용할 수 있다. 악성 앱이 실행 되면 예물레이터 환경인지 목록을 통해 확인하고, 해당 환경이 아닐 경우에만 앱 아이콘을 ..

[주간 랜섬웨어 동향] – 11월 4주차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2021년 11월 19일부터 2021년 11월 25일까지 랜섬웨어 신•변종 및 이슈와 관련하여 대응을 진행하였으며, 신종 랜섬웨어는 "BoomBye" 외 2건, 변종 랜섬웨어는 "Thanos" 외 3건이 발견됐다. 2021년 11월 19일 BoomBye 랜섬웨어 파일명에 ".boombye" 확장자를 추가하고 "_read_me_bro.txt"라는 랜섬노트를 생성하는 "boombye" 랜섬웨어가 발견됐다. 2021년 11월 21일 FileDecrypt 랜섬웨어 파일명에 ".file.decrypt" 확장자를 추가하고 "#File.decrypt#.txt"라는 랜섬노트를 생성하는 "FileDecrypt" 랜섬웨어가 발견됐다. 해당 랜섬웨어는 시스템 복원을 무력화한다. 2021년 11월 24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