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정보 846

Powershell을 통해 실행되는 DoubleBack 악성코드

미국의 전자 제품 회사의 임원으로 위장한 피싱 메일이 발견되었다. 공격자는 피싱 메일에 악성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링크를 포함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악성 파일을 다운로드 하도록 유도하였다. 다운로드 한 Zip 파일은 가짜 PDF 파일과 다운로더 악성코드로 구성되었는데, 피싱 메일이 유포된 시기에 따라 다운로더 악성코드 파일이 변경되었다. 공격 초기에는 JavaScript 로 작성된 다운로더 악성코드가 유포되었지만, 이후 발견된 사례에서는 악성 Excel 파일이 유포된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사용자가 악성 JavaScript 혹은 Excel 파일을 실행하면 추가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악성 행위를 수행한다. 악성 동작 사용자가 악성 Excel 파일 실행 시, Excel 파일 내부의 매크로를 통해 공격자의..

국내 안드로이드 사용자 노린 MoqHao 피싱

최근 국내 안드로이드 단말기 사용자를 노린 피싱 메시지가 발견되었다. 피싱 메시지는 우체국, 택배와 관련된 문자 메시지로 위장하여 사용자가 링크를 클릭하도록 유도한다. 링크와 연결된 사이트는 Chrome 브라우저를 최신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요구하며 정보 탈취 기능을 보유한 MoqHao 악성 앱을 다운로드하도록 유도한다. 다운로드된 악성 앱은 Chrome 브라우저로 위장한다. 앱을 실행하면 통화 내역, SMS 문자, 연락처, 등 민감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요구하며, 자신을 기본 SMS 앱으로 설정하도록 유도한다. 권한을 받은 악성 앱은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고 C&C 서버로 송신한다. MoqHao 는 과거에도 개인 정보 유출, 택배 반송과 같이 사용자의 주의를 끄는 내용의 피싱 메시지를 통해 유..

중국 해커 SharpPanda의 RoyalRoad를 사용한 APT 공격

최근 동남아시아의 정부 기관을 타겟으로 하는 APT 공격이 발생하였다. 관련 내용은 자사 블로그 '최신 보안 동향'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2021.06.07 - [최신 보안 동향] - SharpPanda의 동남아시아 외무부 공격 해당 공격은 중국 해커 그룹인 SharpPanda에 의해 발생하였으며, 피싱 메일을 통해 시작되었다. 피싱 메일은 RoyalRoad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고 이 후, 사용자 정보를 탈취하고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등의 악성 동작을 수행한다. 이번 APT 공격은 다음의 흐름도와 같이 진행되며, 위의 RoyalRoad의 변종으로 기존의 동작과 다른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피싱 메일은 다른 정부기관을 사칭하였으며, 해당 메일의 첨부 파일은 정식 문서를 가장한 악성 문..

운송 회사 앱으로 위장한 FluBot 악성 앱

최근 DHL, FedEx 와 같은 유명 운송 회사의 앱으로 위장한 안드로이드 악성 앱 FluBot 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퍼져가는 이 정보 탈취형 악성 앱은 잠잠해지기는커녕, 지속적으로 버전 업하며 지원하는 언어를 추가하고 공격 대상 국가를 늘리고 있다. FluBot 을 실행하면 가장 먼저 사용자에게 접근성 서비스 권한을 요청한다. 접근성 서비스는 본래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는 향상된 기능이지만, FluBot 은 이를 악용하여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사용자 동의 없이 버튼을 클릭하는 행위에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접근성 서비스 권한을 악용하여 기본 SMS 앱 설정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 동의 없이 FluBot 을 기본 SMS 앱으로 설정한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접근성 서비스..

[주간 랜섬웨어 동향] – 6월 1주차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2021년 5월 28일부터 2021년 6월 3일까지 랜섬웨어 신•변종 및 이슈와 관련하여 대응을 진행하였으며, 신종 랜섬웨어는 “TeslaRVNG2” 외 3건, 변종 랜섬웨어는 “Matrix” 외 1건이 발견됐다. 이 중, Microsoft Exchange 서버의 취약점을 악용하고 다수의 파워셸 스크립트를 활용하는 “Epsilon Red” 랜섬웨어가 발견됐다. 2021년 5월 28일 TeslaRVNG2 랜섬웨어 파일명에 “.id[사용자 ID].[공격자 메일].[파일명].tesla” 확장자를 추가하고 “TeslaRVNG2.hta”라는 랜섬노트를 생성하는 “TeslaRVNG2” 랜섬웨어가 발견됐다. 해당 랜섬웨어는 시스템 복원을 무력화한다. 2021년 5월 29일 Matrix 랜섬웨어 파..

이슬람 코인 거래소 사칭 앱

지난 3월 이슬람 금융법을 준수하는 공식 이슬람 블록 체인 거래소 Caizcoin이 출시되었다. 그리고 두 달 만에 Caizcoin 코인 거래소를 사칭한 앱이 유포되어 주의가 필요하다. 해당 악성 앱은 Caizcoin 사칭 사이트에서 유포되었으며, 사용자 정보를 탈취하고 다운로더의 기능을 한다. 하단의 이미지와 같이 정상 Caizcoin 사이트와 유사한 모습으로 가짜 사이트에서 악성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Caizcoin의 정상 사이트에서는 구글 플레이에서 다운로드를 하도록 권장하며, 아래와 같이 구글 플레이에서 판매 중에 있다. 아래의 난독화 해제된 스크립트로 html 파일를 생성하고, 생성된 코드로 Webview를 생성하여 필요한 권한을 가진다. 생성된 Webview는 다음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

KISA 사칭한 악성 앱 주의

최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를 사칭한 악성 앱이 발견되었다. 해당 악성앱은 안드로이드 공식 앱스토어에 업로드 되어 있지 않지만 KISA 아이콘과 화면 UI 등을 위장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탈취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Analysis 해당 악성 앱의 주요 동작은 정보 탈취이다. 악성 앱은 원활한 악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한 권한을 허용하도록 유도한다. 악성앱은 재부팅 시에도 메인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BootCompletedBroadcastReceiver 의 권한을 이용한다. MainService 에서는 onStartCommand 를 재정의하여 비동기 태스크를 생성하고 단말기의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원격지로 전송한다. 악성코드들은 주로 공공 및 금융기..

사용자 정보를 탈취하는 TeaBot 악성 앱 주의

'TeaBot' 또는 'Anatsa' 로 알려진 안드로이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다. 해당 악성코드는 'TeaTV', 'VLC MediaPlayer', 'DHL', 'UPS' 와 같은 유명 택배 회사나 스트리밍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위장하여 다양한 정보를 탈취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출처 : https://www.cleafy.com/documents/teabot Analysis 해당 악성 앱의 주요 동작은 정보 탈취이다. 악성 앱은 원활한 악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접근성 서비스를 활성화 해야한다는 알람을 지속적으로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접근성 서비스를 활성화 하도록 유도한다. 그 후, 해당 단말기의 정보를 확인하여, 각각의 단말기 별로 오버레이 공격을 수행한다. 오버레이 공격 기법은 ..

AutoHotKey(AHK) 스크립트 파일에 악성코드를 숨겨 유포하는 캠페인

지난 2월경, AutoHotKey(AHK) 스크립트 언어를 기반으로 만든 실행 파일을 통해 악성코드를 유포시키는 캠페인이 등장했으며 현재까지 더욱 정교한 공격을 위해 패치를 거듭하고 있다. AutoHotKey 스크립트는 매크로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유틸리티로 해당 캠페인에서 vbs 파일을 삽입해 페이로드를 드랍하고, 실행한다. 악성 페이로드는 사용자가 알아차릴 수 없도록 파일의 형체가 없는 파일리스 형태로 실행되어 감염 사실을 숨긴다. 해당 캠페인을 이용하여 유포된 RAT에는 "Revenge RAT", "Async RAT", "Houdini RAT", "Vjw0rm"이 있다. 또한, 캠페인에는 "AHK 로더 공격 방식", "PowerShell 공격 방식", "HCrypt 공격 방식"이 존..

MSBuild의 기능을 악용하여 유포된 악성코드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MSBuild"의 기능을 악용하여 악성코드를 유포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MSBuild" (Microsoft Build Engine)는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개발도구이며, 일반적으로 Visual Studio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할 때 사용한다. 또한 Visual Studio가 설치되지 않은 환경에서도 빌드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는데, 최근 발견된 사례의 경우 "MSBuild"의 기능을 악용해 악성코드를 실행하고 추가 악성행위를 수행한다. 악성 프로젝트 파일 "MSBuild"는 빌드 시 프로젝트 파일(.proj)을 읽어 빌드를 수행하는데, 프로젝트 파일에는 데이터베이스 설정, 다른 프로젝트 정보 가져오기 및 수행할 작업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