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정보 852

[악성코드 분석] RevengeRA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RevengeRAT은 2016년 6월경 처음 등장한 악성코드로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현재까지도 유포되고 있다. “Palo Alto Network”의 “Unit 42” 연구팀은 2018년 12월경 서비스업, 특히, 호텔 예약 문서로 위장한 메일을 통해 고객들에게 RAT을 유포해 신용 카드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탈취한 캠페인이 있었다고 밝혔다. 해당 캠페인에는 다양한 RAT이 사용되었으며 그 중에는 RevengeRAT도 포함되어 있다. (출처 : https://unit42.paloaltonetworks.com/operation-comando-or-how-to-run-a-cheap-and-effective-credit-card-business) 최근 이러한 캠페인이 다시 등장해 브라질의 호텔 체인 기업 ..

[랜섬웨어 분석] Cring 랜섬웨어

최근 “Cring” 랜섬웨어가 발견되었다. 해당 랜섬웨어는 원활한 암호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백업 및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서비스와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그리고 랜섬노트를 통해 3일 이내에 공격자에게 연락하지 않으면 파일을 복구할 수 없다고 협박하고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Cring” 랜섬웨어 실행 시, 해당 랜섬웨어와 동일한 경로에 "Kill.bat" 이름의 배치파일을 생성 후 실행한다. 실행된 배치 파일은 다음 [표 1]과 같이 백업 및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중지, 비활성화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그리고 “D”, “E”, “F”, “G”, “H” 드라이브의 파일을 검색하여, 다음 [표 2]와 같이 백업 파일들을 삭제한다. 사용자의 파일을 검색하여 다음 [표 3] 암호화 대상..

[랜섬웨어 분석] MrDec 랜섬웨어

“MrDec” 또는 “_RSA” 라고 알려진 랜섬웨어는 모든 이벤트 뷰어 로그를 삭제하고 파일 암호화 후에는 자기자신을 삭제한다. 지난 2018년에 발견되어 현재까지 유포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해당 랜섬웨어는 아래 [표 1]의 암호화 제외 목록에 따라 기본적인 시스템 파일을 제외한 모든 대상 파일에 대해 암호화를 진행한다. 파일 암호화가 완료되면 “임의의ID_RSA” 형태의 확장자를 덧붙이며 암호화 대상 경로마다 “Data recovery.hta” 랜섬노트를 생성하고 실행한다. 파일 암호화 이외에도 명령 프롬프트에서 모든 이벤트 뷰어 로그 지우기 위해 ‘Windows’ 폴더에 ”delog.cmd" 파일을 생성하고 실행한다. 마지막으로 해당 랜섬웨어는 사용자가 복구하기 어렵도록 볼륨 섀도우 복사본을 ..

[랜섬웨어 분석] Epsilon 랜섬웨어

최근 “Epsilon” 랜섬웨어가 발견되었다. 해당 랜섬웨어는 사진, 문서, 영상과 관련된 사용자의 파일을 암호화하고 볼륩 섀도우 복사본을 삭제하여 시스템 복원을 무력화한다. 그리고 시스템이 재부팅되어도 “Epsilon” 랜섬웨어가 자동실행되도록 설정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Epsilon” 랜섬웨어 실행 시, ‘HKCU\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레지스트리에 “Epsilon” 랜섬웨어 파일을 등록하여 시스템 시작 시 자동실행되도록 설정한다. 파일을 검색하여 [표 1] 암호화 대상 조건에 부합하는 파일을 암호화한 뒤, “[neftet@tunanota.com].boom” 확장자를 암호화한 파일에 덧붙인다. 파일을 암호화한 뒤, 볼륨 섀도우 복사..

[악성코드 분석] CRA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0년 “인천광역시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긴급 조회”라는 제목의 악성 한글 문서가 발견되었다. 해당 한글 문서는 코로나 19 바이러스와 관련된 내용으로 공공기관을 사칭하여 유포되었는데, 사용자가 정상 문서처럼 위장한 내용에 속아 악성 한글 문서를 실행한다면 문서에 삽입된 EPS(Encapsulated PostScript)를 통해 “CRAT”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고 사용자의 정보를 탈취한다. 한글 프로그램에서는 그래픽 이미지를 화면에 표현하기 위해 EPS 파일을 사용한다. 공격자들은 한글 문서에 악성 EPS 파일을 삽입하고, EPS 파일이 9.21 이하 버전의 인터프리터(gbb.exe, gswin32c.exe)를 통해 실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CVE-2017-8291 취약점을 이용하여 악성 동작을 수행..

[랜섬웨어 분석] Matrix 랜섬웨어

1월 초, 파일을 드롭하여 악성동작을 하는 Matrix 랜섬웨어가 등장하였다. 해당 랜섬웨어는 배치파일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PC에 악성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기본적인 윈도우 관련 디렉토리를 제외한 모든 폴더에 대하여 파일을 감염하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하기의 이미지를 드롭하여 바탕화면으로 등록하여 감염사실을 알린다. 또한, 감염 동작이 이루어진 모든 폴더 아래에 랜섬노트를 생성하여 감염사실을 2차적으로 알린다. Matrix 랜섬웨어는 먼저, 임의의 파일명으로 자가복사를 하고, vbs 파일과 bat 드롭한다. 드롭된 vbs 파일은 bat 파일을 schtasks 에 등록하여 5분마다 실행하도록 한다. 이 때 알람이 뜨지않고 작업이 겹칠 경우 강제로 실행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눈치채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랜섬웨어 분석] DeroHE 랜섬웨어

주말 동안 윈도우 유틸리티 개발 업체인 IObit에서 발송한 것으로 위장한 메일이 IObit 회원들에게 전송됐다. 메일은 자사 1년 무료 라이선스를 지급한다는 내용으로 작성되었으며, “DeroHE” 랜섬웨어가 포함된 압축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링크가 포함되어있다고 알려졌다. 만약, 사용자가 메일로 받은 링크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한 후, 라이선스 획득을 위해 IObit License Manager.exe를 실행하면 “DeroHE” 랜섬웨어가 실행되어 파일이 암호화되며 확장자가 “.DeroHE”로 변경된다. 또한, 파일 복구를 위해 200 Dero 코인을 요구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다운로드된 파일을 압축 해제한 후, IObit License Manager.exe를 실행하면 랜섬웨어 동작을 하는 iobit.d..

[랜섬웨어 분석] Egregor 랜섬웨어

랜섬웨어 분석 보고서 “Egregor” 랜섬웨어는 지난 2020년 9월경에 발견되어 12월 초, 네덜란드 컨설팅 회사인 Randstad을 대상으로 공격했던 사례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해당 랜섬웨어는 피싱 메일을 통해 유포되는 Qakbot, IcedID와 같은 악성코드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감염된 시스템의 사용자 데이터 유출을 위해 클라우드 파일 관리 프로그램인 Rclone을 이용한다고 알려진다. 또한 특정 명령줄 인수를 통해 파일 암호화가 진행되며 특정 프로세스와 서비스를 종료한다. “Egregor” 랜섬웨어는 아래 [표 1]의 암호화 제외 목록에 따라 기본적인 시스템 파일을 제외한 대상 파일에 대해 암호화를 진행한다. 파일 암호화가 완료되면 “랜덤명4~6자리” 형태의 확장자를 덧붙이며 암호화 대상 경..

[랜섬웨어 분석] Solaso 랜섬웨어

랜섬웨어 분석 보고서 올해 초 Solaso 랜섬웨어가 등장하였다. 해당 랜섬웨어는 일반적인 랜섬웨어 동작과 유사하며,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폴더와 확장자를 대상으로 감염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악성동작을 완료하면 자가 삭제하여 흔적을 지우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해당 랜섬웨어는 하기의 이미지와 같이 파일 감염사실을 알리는 랜섬노트를 생성한다. Solaso 랜섬웨어는 운영체제의 주요 파일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USERPROFILE% 아래의 특정 폴더와 확장자를 대상으로 암호화 동작을 수행한다. 암호화가 되면 파일명은 “파일명.확장자.solaso” 로 변경된다. 이번 보고서에서 알아본 Solaso 랜섬웨어는 사용중인 대부분의 드라이브에 사용자 디렉토리를 대상으로 ..

[랜섬웨어 분석] BabukLocker 랜섬웨어

최근 “BabukLocker” 랜섬웨어가 발견되었다. ‘BabukLocker’ 랜섬웨어는 %USERPROFILE% 경로를 대상으로 암호화 하고, 볼륨 섀도우 복사본 삭제를 통해PC 복구가 불가능하도록 하며 랜섬노트를 통해 랜섬머니를 요구한다. 해당 랜섬웨어는 암호화 이전에 특정 프로세스를 종료시켜 더 많은 파일을 암호화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BabukLocker” 랜섬웨어를 실행할 때 [표 1]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암호화하는 루틴이 추가된다. 해당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USERPROFILE% 경로 및 하위 폴더의 모든 확장자의 파일이 암호화 되며 암호화된 파일명의 확장자 뒤에 “.__NIST_K571__” 라는 이름의 확장자를 덧붙인다. 또한, 암호화 대상 폴더에 “H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