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정보 842

리눅스 장비를 노리는 XorDDoS 악성코드

“XorDDoS” 악성코드는 2014년 처음 발견된 이후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유포되고 있다. 공격자로부터 전달되는 명령, C&C 서버 주소 등 악성 행위에 필요한 데이터를 XOR 연산으로 디코딩하여 사용하는 특징을 가져 “XorDDoS” 라는 이름으로 명명 되었으며, IoT 장비 혹은 리눅스 서버를 감염하기 위해 ARM, x86 및 x64와 같은 다양한 Linux 아키텍처 버전으로 제작되었다. 공격자는 주로 SSH Brute Force 공격을 통해 공격 대상의 자격 증명을 획득하고 “XorDDoS” 악성코드를 설치한다. 이렇게 실행된 “XorDDoS” 는 자가복제 후 재실행, 프로세스명 변경 및 루트킷 등을 통해 탐지를 회피하려 하며 공격자의 명령을 전달받아 DDoS 공격을 수행한다. 자가복제 및 재실행..

리눅스 환경에서 패킷 필터를 악용하는 BPFDoor 악성코드 발견

지난 5월 경,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하는 패킷 필터를 악용하는 “BPFDoor”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해당 악성코드는 BPF(Berkely Packet Filter)를 사용해 공격자의 C&C 서버에서 받은 패킷을 필터링한 후, 악성 행위를 수행한다. 또한, 정상적으로 연결되면 공격자가 대상 서버에서 임의의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자가 복제 및 실행 “BPFDoor” 악성코드를 실행하면 ‘/dev/shm/kdmtmpflush’로 자가 복제한 후, 복사한 파일의 권한을 755로 변경한다. 이 경우 자가 복제한 파일의 소유자는 모든 권한을 부여하고, 그 외 사용자는 읽기와 실행만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파일의 시간(타임스탬프 값)을 2008년에 생성된 파일로 보이도록 수정한다. 그후, --init 인자..

오픈소스 코드가 공개된 Luca Stealer 악성코드

최근 “Luca Stealer” 악성코드가 출시되고, 개발자가 해당 악성코드의 오픈 소스 코드를 해커 포럼에 공개했다. 해당 악성코드는 Rust 언어를 이용해 제작되어 여러 운영 체제를 표적으로 삼을 수 있지만 현재는 윈도우 운영 체제 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악성코드 개발자와의 접촉에서 “Luca Stealer” 악성코드의 오픈 소스 코드를 공개한 이유는 해커 포럼에서 평판을 얻어 다음 악성코드 프로젝트를 판매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Luca Stealer” 정보 탈취 악성코드는 “Chromium” 기반 브라우저와 “FireFox”를 대상으로 로그인 자격 증명, 신용 카드 및 쿠키 정보 등을 탈취한다. 또한, 암호 화폐 지갑과 다양한 메신저의 토큰을 탈취하고, 사용자의 시스템 ..

업무용 메신저 사칭 앱 유포

최근 Microsoft의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인 Teams를 사칭한 악성 앱이 유포되었다. 해당 앱은 Microsoft의 로그인 화면을 띄워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용자 몰래 원격지와 통신하여 추가적인 악성 동작을 수행한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악성 앱과 정상 앱의 아이콘에 차이가 있다. 악성 앱에서 사용된 아이콘은 과거에 사용하던 아이콘으로, 정상 앱을 최신 버전으로 다운로드하면 우측 이미지의 아이콘으로 다운로드가 된다. 사용자를 속이기 위해, 앱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로그인 화면을 띄우고 정상적인 앱인 척 한다. 또한, 사용자 몰래 아래의 메소드를 백그라운드 모드로 실행한다. 해당 클래스는 원격지와 통신하여 추가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로드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해당 악성 ..

취약점을 이용하여 배포되는 AsyncRAT 악성코드

최근 “AsyncRAT” 악성코드가 트렌드에 맞춘 주제를 통해 활발히 배포되기 시작했다. “AsyncRAT” 악성코드는 콜롬비아 전역에 스팸 메일을 통해 퍼졌으며 코로나 이슈가 잠잠해지면서 여행 법률 완화로 인해 늘어난 여행객을 대상으로 여행 관련 정보 파일로 위장해 “AsyncRAT” 악성코드를 유포한 바 있다. 또한, 문서 파일을 이용해 원격 코드 실행이 가능한 “CVE-2022-30190” Follina 취약점을 이용해 해당 악성코드를 배포한 이력이 있다. 아래는 자사 블로그에 게시된 Follina 취약점에 관련된 글이다. 2022.06.03 - [취약점 정보] - 원격으로 코드 실행하는 Follina 취약점 주의 “AsyncRAT” 악성코드는 작업 스케줄러에 등록되거나 레지스트리 등록을 통해 지속..

암호화폐 트래커 사칭 앱, MaliBot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암호화폐 관련 앱을 위장한 악성 앱이 다양한 방식으로 유포된다. 최근에 암호화폐의 가격 및 뉴스 등을 알려주는 암호화폐 포트폴리오 트래커(Crypto Portfolio Tracker) 앱을 위장한 악성 코드 MaliBot이 등장하였다. 해당 악성코드는 안드로이드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여, 웹사이트 및 SMS 등으로 유포되었다. 해당 앱을 실행하면, 단말기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탈취하고 원격제어 등의 악성 동작을 수행한다. MaliBot은 아래 그림과 같이 정상 사이트를 위장하여 안드로이드 단말기에서 접속하면 악성 앱을 다운로드하도록 한다. 웹페이지를 랜더링하는 장치 정보를 확인하여 AndroidOS인 경우 ‘cryptoapp.apk’를 다운로드하고, iOS또는 그 외의..

Google Play에서 판매중인 악성 앱

최근 Google Play에서 악성코드가 다량 유포되었다. 해당 악성코드는 페이스북 계정 정보를 탈취하거나, 유료 앱 구매를 유도하고 사용자 동의 없이 광고를 띄워 수익을 얻는 등의 악성 동작을 수행한다. 작년에도 이와 유사한 동작을 하는 악성 앱이 Google Play를 통해 유포되어 자사 블로그에서 언급한 바 있다. https://isarc.tachyonlab.com/4555 이 악성코드들 중 일부는 판매가 중단되기도 하였으나, 일부 악성 앱도 아직까지 판매 중이다. 아래는 Google Play에서 판매된 악성 앱의 정보이다. 그중 광고 수익을 창출하는 Adware 악성 앱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유료 앱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면서 사용자의 동의 없이 광고를 띄워 수익을 창출한다. 악성 앱들은 Googl..

디스코드를 악용하는 SaintStealer 악성코드

최근 사용자 PC에서 정보를 탈취하는 “SaintStealer”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해당 악성코드를 실행하면 웹 브라우저의 쿠키와 자격 증명 정보를 수집하고, 텔레그램과 같은 메신저 및 게임 프로그램 등에서 획득한 토큰 정보를 공격자의 디스코드 채팅 방으로 전송한다. “SaintStealer” 악성코드가 정상적으로 실행될 경우 사용자 PC에서 수집한 정보가 ZIP 파일로 압축되어 공격자에게 전송되며, [그림 1]은 직접 디스코드 서버를 구축한 후 웹훅(Webhook)을 사용해 정보를 획득한 결과이다. 분석 및 중복 실행 방지 “SainStealer” 악성코드는 중복 실행 방지를 목적으로 프로세스 목록을 확인해 동일한 프로세스가 실행 중이면 실행한 악성코드를 종료한다. 또한, 샌드박스 기반 프로그램인 “..

배달 앱 위장한 ERMAC 2.0

최근 한 배달 서비스 앱을 위장한 악성코드가 유포되었다. 이는 작년 7월에 처음 모습을 드러낸 ERMAC의 업그레이드인 ERMAC 2.0으로 뱅킹, 정보 탈취, 원격제어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해당 악성코드는 최근에도 해킹 포럼에서 판매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ERMAC 2.0은 ‘Bolt Food’라는 배달 플랫폼 앱을 위장하였으며, 정상 사이트와 유사한 도메인의 웹 사이트에서 유포되었다. 유포된 앱은 정상 앱의 아이콘과 동일하여 사용자를 속인다. 해당 앱을 실행하면 아래의 빨간 상자와 같이 권한을 요구하는 알림을 띄우고, 권한을 획득하고 나면 바로 악성동작을 시작한다. 단말기에서 가상 환경 및 안티 바이러스 백신을 탐지한다. 정상 단말기로 판단되면 음소거 설정을 하고, Gmail 정보 및 PUSH 알림..

소셜 미디어 사용자의 정보를 탈취하는 FFDroider Stealer 악성코드

최근 소셜 미디어 사용자의 정보를 탈취하는 "FFDroider" Stealer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보안 업체 Zscaler에 따르면 "FFDroider" 악성코드는 소프트웨어 크랙 및 토렌트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한 파일 등을 통해 유포된 것으로 알려졌다. 사용자가 해당 악성코드를 실행하면 먼저, 웹 브라우저에 저장된 쿠키 및 자격 증명 정보를 수집한다. 이후, 수집한 정보 중 페이스북 등의 소셜 미디어와 관련된 쿠키 정보를 사용해 인증을 시도하며, 정상적으로 인증되면 사용자의 소셜 미디어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브라우저 및 웹사이트 정보 탈취 “FFDroider” 악성코드는 크롬,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등 [표 1]에 작성된 웹 브라우저를 대상으로 쿠키 및 자격 증명 정보를 수집한다. 그 후, 수집한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