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정보 846

[주의]한글 이력서 문서파일로 위장한 표적형 공격 발견

1. 확장자 조작한 지능형 표적공격 주의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Unicode Character Right to Left Override (U+202E) 기법을 이용한 표적공격 정황을 포착했다. 이 공격방식은 2중 확장자명의 순서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어 실행파일(EXE, SCR, COM 등)과 문서파일(DOC, TXT, PDF, HWP 등)의 순서를 바꾸어 마치 실행파일을 문서파일로 보이도록 조작할 수 있다. 그래서 이용자들에게 정상적인 문서파일처럼 보이도록 유혹한 후 실행파일 형태의 악성파일을 열어보게 만든다. [참고자료] Unicode를 이용한 윈도우 확장자 변조 가능 취약점 이용한 악성코드 주의 http://viruslab.tistory.com/1986 Right-to-Left Override Aid..

[주의]국내 웹 사이트 관리자 계정 노린 악성파일 변종 지속 출현

1. 특명! 국내 주요 사이트 관리자 계정을 보호하라.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 웹 사이트 관리자 계정을 노린 악성파일 변종을 추가로 발견하였다. 해당 악성파일은 국내 특정 웹 사이트 관리자의 계정정보를 집중적으로 수집시도하고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공격대상에 포함된 곳들은 언론사, 광고사, 포털사, 게임사, 보안장비 및 기업, 교통, 통신, 커뮤니티 등 다양한 분야의 웹 사이트가 포함되어 있으며, 일부는 정상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상태로 운영되고 있는 상태이다. 악성파일의 공격 대상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이미 악의적인 공격자에게 관리자 페이지가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각 기업은 관리자 권한이 탈취되지 않도록 외부의 접근을 제어함과 동시에 관리자 페이지 주소를 정기적으로 변경하고, 허가된 사..

[주의]스미싱 문자메시지 HTML 링크를 이용한 우회기법 도입

1. 스미싱 문자 APK 링크에서 HTML 사이트도 추가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2013년 10월 18일 새로운 형태로 진화한 스미싱 문자 메시지 형태를 발견했다. 휴대폰 소액결제사기, 가짜 모바일 스마트 뱅킹앱 설치, 개인정보 탈취 형태의 안드로이드 기반 악성앱들은 대체로 APK 앱 파일이 문자메시지(SMS)에 링크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인 스미싱 기법이었다. 간혹 조작된 특정 웹 사이트로 연결하여 악성앱을 추가로 다운로드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그런 경우도 기존처럼 단순 도메인 주소를 이용했었다. 그러나 이번에 발견된 방식은 HTML 웹 페이지 주소를 그대로 포함하고 있어 이용자들로 하여금 정상적인 문자로 오인하도록 조작하였다. [주의]APK 암호화 기법을 도입한 스미싱 악성앱 출현 ☞ http://ertea..

[주의]APK 암호화 기법을 도입한 스미싱 악성앱 출현

1. APK 파일 ZIP Format Header 조작을 통한 암호화 방식 도입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2013년 10월 01일 오후 5시 58분 경부터 국내 불특정 다수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이용자를 겨냥한 스미싱기법의 악성문자가 전파되는 정황을 포착하였다. 그런데 이 스미싱을 통해서 설치되는 악성앱(APK)파일은 기존의 스미싱용 악성앱 형태와 다르게 APK 앱 파일 자체가 암호화 기능으로 설정되어 있었다. 안드로이드의 APK 파일은 압축 포맷인 ZIP 형태를 가지고 있어 압축 프로그램을 통해서 쉽게 압축을 해제하고 분석할 수 있으나, 이번과 같이 암호화 기능이 설정된 경우 내부에 존재하는 "classes.dex" 파일에 쉽게 접근하기 어려워 분석방해 등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 암호화 방식의 기법은..

[주의]HWP 악성파일 유포조직 1년 넘게 활동 중인 실체 확인

1. 대북단체에 HWP 악성파일 1년 넘게 공격 정황포착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지금으로부터 약 1년 전 2012년 06월 경 "탈북인 인적사항으로 유혹하는 HWP 악성파일 등장" 내용의 HWP 악성파일 정보를 공개한 바 있다. 그런 가운데 2013년 09월 13일 대북언론매체인 데일리NK 뉴스를 통해서 "북한에서 보내는 해킹 파일로 의심했다"라는 발췌내용의 뉴스기사가 공개되었다. 해당 악성파일을 조사해 본 결과 작년과 동일한 제작자나 조직이 만든 정황근거가 확인됐다. 아울러 공격자가 사용 중인 명령제어(C&C)서버는 이미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 유관기관을 통해서 신속하게 접속이 차단조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현재는 추가적인 명령을 수행할 수 없는 상태이다. 北해커 '좀비 PC' 악성코드 對北 단체에 대..

[주의]구글 크롬 파일로 위장한 악성파일 등장

1. 구글 크롬 브라우저 파일로 둔갑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 이용자를 노린 악성파일이 구글 크롬 파일처럼 위장하고 있는 형태를 발견했다. 이 악성파일은 2가지 형태의 크롬 위장 아이콘 리소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파일의 속성 정보에도 구글의 크롬처럼 설명을 포함하고 있다. 이용자들은 아이콘과 파일정보 만으로 정상파일로 오인하지 않도록 주의를 살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악성파일은 "css.exe" 파일명으로 국내 특정 웹 사이트를 통해서 유포 중에 있으며, 파일 속성의 정보에는 원본 파일 이름이 "chrome.exe" 이라고 지정되어 있다. 유포지 : h**p://happy***.co.kr/***/css.exe (일부 * 표시) 2. 악성파일 감염 동작 정보 악성파일은 "css.exe" 파일명으로 유포 중..

[주의]금융결제원(YESSIGN) 내용으로 사칭한 악성파일 등장

1. 허위 메시지 창으로 인터넷 이용자들을 현혹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2013년 09월 04일 마치 특정 공식 사이트들과 금융결제원이 협력하여 보안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처럼 위장하고, 개인정보 유출이 의심된다는 허위 메시지 창을 출력하여 이용자들을 현혹시키는 악성파일을 발견하였다. 이 악성파일은 특정 포털 사이트 및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시 팝업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악성파일은 윈도우 경로 하위 임시폴더(Temp)에 "svohcst.exe", "temp1.exe", "temp2.exe", "temp3.exe", "temp4.exe" 등으로 생성되고, 온라인 게임 계정 탈취 및 파밍기능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감염되며, 변종도 다수 존재한다. [temp1.exe] https://www.virustotal.com/..

[정보]소액결제사기 및 스마트뱅킹사칭 스미싱 문자메시지 실제 유포현황

1. 스미싱 문자 메시지 현재 진행형이며, 여전히 활개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이용자들을 겨냥한 악성앱(APK) 설치용 스미싱을 집중 관제 중이다. 상반기와 수치적으로 비교해 보아도 스미싱 문자메시지는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고, 악성앱 변종도 꾸준히 증가 추세이다.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지난 5월 경 스미싱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스미싱 원천차단방지 솔루션인 "뭐야 이 문자" 앱을 개발하여 일반에 무료로 배포 중이다. "뭐야 이 문자" 앱은 스미싱의 피해가 급증함에 따라 단기간에 총 사용자 설치 수가 약 50,000 여명에 가깝게 설치하였고, 시간 차로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실시간으로 유포 중인 각종 스미싱을 차단하고 유포현황을 제공 받고 있다. 이..

[주의]외교정책 내용으로 사칭한 악성 HWP 문서파일 발견

1. 잠재적 보안위협, 악성 문서파일을 방어하라!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한글과컴퓨터(한컴)사의 문서파일 취약점을 이용한 표적 공격을 집중 모니터링 하던 과정 중 "박근혜의 외교정책.hwp" 이름의 악성파일을 발견했다. 이 파일은 실행 시 HWP 파일의 보안 취약점을 이용해서 시스템 폴더 경로에 "ESTsoftReg.exe", "mncomun.dll", "mnkyst.dll", "mnsandp.dll" 등의 악성파일을 몰래 설치하고, 사용자 화면에는 「박근혜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의 기조와 딜레마」제목의 정상적인 문서파일을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에 이용자에게는 마치 정상적인 파일로 보여지게 된다. 이러한 문서파일 취약점을 이용한 악성파일은 지능적인 표적공격에 은밀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피해자들은 자신이 어떤..

[주의]보안 앱 위장 이미지 기반 신종 스미싱 기법 등장

1. 보안설정 변경 내용으로 사칭한 스미싱 출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각종 모바일 보안위협을 실시간으로 관제하던 중 기존 스미싱과는 방식이 다른 한 단계 지능화된 공격수법을 확인했다. 이번 방식은 스미싱 문자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단축 인터넷 주소(URL)를 클릭할 경우 바로 악성앱(APK)이 다운로드되는 기존 방식과 더불어 마치 정상적인 안내 페이지처럼 조작된 화면 등을 추가로 보여주어 이용자로 하여금 좀더 신뢰할 수 있는 내용으로 현혹될 수 있도록 이미지를 추가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스미싱 방식은 문자메시지 내용으로 이용자를 현혹하는 것이 핵심이었다면, 이번에 발견된 수법은 거기에 더해 별도 안내 화면과 함께 이용자 스스로 알 수 없는 출처(소스)의 보안 옵션을 변경하도록 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