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정정보 2

[악성코드 분석] df.exe (계정정보 탈취)

df.exe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1. 분석 정보 df.exe는 출판사 홈페이지 http://www.a****o*k.net/upload_data/temp_files/df/df.exe 에서 발견됐으며 정확한 유포경로는 밝혀지지 않았다. 악성코드 df.exe는 260140.txt(랜덤숫자.txt)의 특정 파일을 임시폴더에 생성하고 실행시킨 후 자신을 삭제한다. 생성된 파일은 확장자명이 txt지만 사실 dll파일이며 *rundll32.exe를 통해 실행된다. (*rundll32.exe : 자체적으로 실행할 수 없는 dll 파일을 실행할 때 사용되는 윈도우 정상 프로그램) 260140.txt 는 rundll32.exe를 사용해 함수 xx를 호출한다. 함수 xx는 레지스트리 키 HKEY_CURRENT_USER\S..

[주의]E-mail 계정, 비밀번호 탈취를 시도하는 안드로이드 악성 애플리케이션 출현

1. 개 요 최근 악의적인 목적을 가지고 스마트폰 단말기 정보 등의 탈취를 시도하는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다수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해외에서 E-mail 계정 및 비밀번호 탈취를 시도하는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를 요망하고 있다. 해당 악성 애플리케이션은 해외의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의 정상 애플리케이션으로 위장하고 있어 일반 사용자의 경우 쉽게 현혹되어 E-mail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 후 로그인 하게될 경우 계정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2. 유포 경로 및 감염 증상 해외를 중심으로 각종 블랙 마켓, 3rd Party 마켓 등을 통해 유포될 수 있으며, 국내에서는 해당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의 사업이 진행되지 않아 특별한 감염 및 피해 사례는 나타나지 않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