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455

클럽하우스 앱으로 위장한 BlackRock

사이버 보안 회사 ESET 에서 최근 유행하는 오디오 채팅 앱 클럽하우스로 위장한 정보 탈취형 악성 앱 BlackRock 이 발견된 사실을 게재했다. 클럽하우스는 유명인사의 실시간 대화를 들을 수 있어 인기를 끌었으나, iOS 기기만을 지원한다는 점 때문에 사용자의 불만이 있었다. 공격자는 이를 이용하여 악성 앱을 공식 안드로이드 버전 클럽하우스 앱으로 위장하고 사용자를 유인했다. 출처 : https://blog.eset.ie/2021/03/19/beware-android-trojan-posing-as-clubhouse-app/ [그림 2] 는 정상 클럽하우스 웹 사이트와 악성 앱을 배포하는 가짜 웹 사이트의 차이를 보여준다. 정상 웹 사이트는 "joinclubhouse.com" 도메인을 사용하며 iOS..

[월간동향] 2018년 1월 악성코드 통계

2018년 1월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202018년 1월(1월 1일 ~ 1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아래 [표]는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2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Backdoor (백도어) 유형이며 총 168,218건이 탐지되었다. 순위 진단명 유형 탐지 건수 1위 Backdoor/W32.Orcus.9216 Backdoor 168,218 건 2위 Worm/W32.Brontok.45374 Worm 52,962 건 3위 Trojan-Spy/W32.SpyEyes.2270504 Trojan-Spy 52,188 건 4위 Gen:Variant.Razy.107843 Viru..

동향 리포트 2018.02.19

[월간동향] 2017년 12월 악성코드 통계

2017년 12월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202017년 12월(12월 1일 ~ 12월 30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아래 [표]는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2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Trojan(트로이목마) 유형이며 총 131,148건이 탐지되었다. 순위 진단명 유형 탐지 건수 1위 Suspicious/W32.CVE-2016-3266 Trojan 21,255 건 2위 Gen:Variant.Johnnie.80689 Backdoor 13,602 건 3위 Trojan/W32.Obfuscated.569856.AR Suspicious 11,098 건 4위 Suspicious/PDF...

동향 리포트 2018.01.05

[월간동향] 2017년 10월 악성코드 통계

2017년 10월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202017년 10월(10월 1일 ~ 10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아래 [표]는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2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Trojan(트로이목마) 유형이며 총 1,123,251건이 탐지되었다. 순위 진단명 유형 탐지 건수 1위 Gen:Variant.Razy.107843 Trojan 1,123,251건 2위 Gen:Variant.Zusy.217219 Trojan 127,661건 3위 Gen:Variant.Adware.Hebogo.1 Adware 27,748건 4위 Suspicious/W32.CVE-2016-3266 ..

동향 리포트 2017.11.27

[악성코드 분석] 파일 바이러스 Bloored 분석

파일 바이러스 Bloored 1. 개요 대부분 사용자들이 일반적으로 악성코드하면 ‘바이러스(Virus)’를 떠오르기 마련이다. 바이러스는 사전적으로 ‘프로그램을 통해 감염되는 악성 소프트웨어’를 말하는데 보통 바이러스 감염 후에 공격자에게 실질적인 이득을 주는 기능이나, 기능 확장을 위한 추가 모듈 다운로드 및 실행 기능을 포함한다. 본 보고서에서 다루게 될 악성코드 Bloored는 앞서 설명한 바이러스 형태의 악성코드이며, 구조가 다른 바이러스들에 비해 비교적 단순하다. 본 보고서를 통해 바이러스가 다른 파일을 감염하는 방식과 공격자가 이를 이용해 불법적으로 이득을 취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구분내용파일명Bloored.exe파일크기259,072 byte진단명W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