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분석'에 해당되는 글 39건

[최신동향] 2020년 12월 악성코드 통계
1.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20 2020년12월(12월 1일 ~ 12월 30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표 1]은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2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Virus(바이러스) 유형이며 총 28,648 건이 탐지되었다. 악성코드 유형 비율 12월 한달 간 탐지된 악성코드를 유형별로 비교하였을 때 Trojan(트로잔)이 7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Exploit(익스플로잇)과 Worm(웜)이 각각 10%와 4%, Backdoor(백도어)와 Virus(바이러스)가 각각 3%, 1%씩으로 그 뒤를 따랐다. 악성코드 진단 수 전월 비교 12월에는 악성코드 유..
최신 보안 동향 | 2021. 1. 7. 21:37

[악성코드 분석] TroubleGrabber Steal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1. 개요 및 분석 정보 1-1. 개요 최근 디스코드에서 제공하는 웹훅을 악용하여 디스코드 사용자의 데이터를 훔치는 “TroubleGrabber” 악성코드가 발견되었다. 디스코드(Discord)는 게임상에서 음성 채팅을 위해 제작된 프로그램으로 약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으며, 자체적으로 웹훅(Webhook) 기능을 제공한다. 웹훅은 서버에서 작업이 발생했을 때 그 정보를 외부에 전달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디스코드에서는 이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메시지로 받을 수 있다. 이번에 발견된 "TroubleGrabber"는 디스코드에서 제공하는 웹훅을 악용하여 사용자 PC에서 정보를 탈취하는 데 사용하며, 추가로 특정 버전에서는 디스코드 클라이언트 파일을 수정하여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마다 공격자에게 ..
악성 파일 정보 | 2020. 12. 4. 22:03

10월 랜섬웨어 동향 및 TechandStart 랜섬웨어
악성코드 분석보고서 1. 10월 랜섬웨어 동향 2020년 10월(10월 01일 ~ 10월 31일) 한 달간 랜섬웨어 동향을 조사한 결과, 해외에서는 프랑스 및 독일 유명 게임 개발사 유비소프트(Ubisoft)와 크라이텍(Crytek)이 지난 9월 중순에 등장한 “Egregor” 랜섬웨어 공격을 받았다. 또한, 미국 스키 및 골프 리조트 운영 업체 Boyne Resorts가 7월부터 활동 중인 “WastedLocker” 랜섬웨어 공격을 받았으며, 독일 소프트웨어 기업인 Software AG는 “Clop”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데이터가 유출되었다. 1-1. 국내/외 랜섬웨어 소식 독일 소프트웨어 기업 Software AG, Clop 랜섬웨어 피해 사례 지난 10월 초, 독일 소프트웨어 기업인 Software..
동향 및 악성코드 분석 정보 | 2020. 11. 5. 10:15

[악성코드 분석] WSH RA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지난 해에 등장한 ‘WSH RAT’이 최근 다시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해당 악성코드는 PDF Reader Installer 을 가장한 파일로, 자바 스크립트 파일을 드롭하여 악성 동작을 수행한다. 악성 동작이 수행될 때, 정상 Installer 파일도 함께 실행하여 사용자가 눈치채지 못하게 하기에 큰 주의가 필요하다. 해당 악성코드가 실행되면, 정상 PDF Reader Installer을 드롭하고 실행한다. 정상 Install 파일의 화면을 띄우고, 악성 자바 스크립트 파일을 드롭 및 실행한다. 해당 스크립트 파일은 난독화 되어있어 일반 사용자는 파일 내용을 확인하기 힘들도록 한다. 아래의 빨간색 상자는 인코딩된 메인 코드이다. 인코딩된 메인 코드를 base64로 디코딩하면 다음과 같은 스크립트를 확인..
악성 파일 정보 | 2020. 10. 29. 13:07

[악성코드 분석] Matiex Keylogg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지난 2019년에 최초로 등장한 ‘Matiex Keylogger’가 최근 다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해당 악성코드는 유료 악성코드로서 온라인에서 판매 중이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등 다양한 악성 동작을 보유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Matiex Keylogger’ 의 주요 악성 동작에 대해 알아본다. 해당 악성코드는 사용 가능한 기간에 따라 가격대는 다양하며,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다. ‘Matiex Keylogger’가 실행되면 사용자의 PC 정보를 획득한 뒤, 텍스트 파일로 생성한다. 위와 같이 생성된 파일의 내용을 C2 서버에 전송한다. 사용자 PC의 정보를 탈취한 뒤, 다양한 사용자 계정 정보를 탈취한다. Outlook 을 사용중인 사용자라면 아래의..
악성 파일 정보 | 2020. 10. 23. 16:31

[랜섬웨어 분석] ThunderX 랜섬웨어
ThunderX 랜섬웨어 주의 최근, ThunderX 랜섬웨어가 등장하였다. 해당 랜섬웨어는 일반적인 랜섬웨어와 유사하게 암호화 동작을 수행하고 감염된 PC를 복구 불가능하도록 하지만, 광범위한 대상에 대하여 악성 동작을 수행하기에 감염된다면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ThunderX 랜섬웨어의 동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해당 랜섬웨어의 랜섬노트는 암호화가 이루어진 파일 경로에 “readme.txt”라는 이름으로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감염사실을 알린다. 암호화 동작이 이행되기 전에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볼륨섀도우 복사본을 삭제하고, 자동복구를 비활성화로 설정하여 악성동작이 진행된 뒤, 복구가 불가능하도록 한다. 사용중인 모든 드라이브를 대상으로 일부 디렉토리와 확장자를 제외하고 암호..
랜섬웨어 분석 정보 | 2020. 9. 17. 16:55

[악성코드 분석] Anubis Steal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지난 8월 중순, Anubis Stealer가 등장하였다. 해당 악성코드는 사용자의 PC에 저장된 정보를 탈취할 뿐 아니라, C&C 서버와 연결하여 탈취한 정보를 송신하고,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등의 동작을 하여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Anubis Stealer의 동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Anubis Stealer는 사용자 PC에 대한 정보를 비롯한 브라우저 정보 등을 탈취하여 ‘AX7574VD.tmp’ 디렉토리에 저장한다. 악성코드가 시작되면 가장 먼저, 현재 웹캠과 모니터 화면을 캡처한다. 하기의 이미지, 표와 같이 사용자 PC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정보를 탈취한다. FileZilla 브라우저에서 사용자 비밀번호와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이트의 정보를 탈..
악성 파일 정보 | 2020. 9. 9. 11:02

[랜섬웨어 분석] Salam 랜섬웨어
Salam 랜섬웨어 주의! 지난 7월 말, Salam 랜섬웨어가 등장하였다. 해당 랜섬웨어는 일반적인 랜섬웨어와 유사하게 문서나 이미지 파일과 같은 특정 확장자에 대해 암호화 동작을 수행하므로 기업 및 개인 사용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Salam 랜섬웨어의 동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해당 랜섬웨어는 악성동작이 모두 끝나면 악성 파일이 존재하던 경로에 “최종 경로-HOW-TO-DECRYPT”라는 이름의 랜섬 노트를 생성한다.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특정 디렉토리를 제외하고 고정 드라이브에 대해 암호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표 1]와 같이 특정 확정자 파일에 대하여 암호화 동작을 수행한다. 암호화가 되면 파일명은 “파일명.확장자.ment” 로 변경된다. 암호화 동작이 끝나면, 하기와..
랜섬웨어 분석 정보 | 2020. 8. 12. 1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