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드로이드78

AbereBot 악성 앱 주의 최근, "Chrome App" 으로 위장하여 정보 탈취 동작을 수행하는 "AbereBot" 이 발견되어 주의가 요구된다. 사용자가 해당 악성 앱을 "Chrome App" 으로 잘못 인식하여 실행 할 경우, "AbereBot" 은 여러가지 과도한 권한을 요구하며 사용자가 이를 수락하면 단말기의 주요 정보를 수집하거나 가짜 웹 뷰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정보 입력을 유도하는 등 악성 행위를 한다. 해당 악성 앱이 실행 되면, 단말기 내의 연락처 목록과 OTP 인증번호가 있는 SMS 메시지 등을 모두 수집하고 Telegram Bot을 이용하여 원격지로 전송하거나 명령을 전달 받는다. Telegram 은 여러 플랫폼을 지원하는 인터넷 메신저 이다. Telegram Bot 은 Telegram 에서 최근에 새로 추가.. 2021. 9. 29.
Sova 악성코드 최근 안드로이드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악성코드가 등장하였다. 해당 악성코드는 "SOVA"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사용자 단말기에서 SMS 문자메시지를 비롯한 각종 개인 정보를 탈취한다. 아직 테스트 단계로 알려졌으나, 정보 탈취 뿐 만 아니라 Bot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Sova 악성코드를 실행하면 다음의 이미지와 같이 접근성 권한을 획득한다. Event Listener를 통해 Clipboard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획득한다. 그리고 Webview를 통해 연결되는 URL의 Cookie 정보를 탈취한다. 해당 악성 동작은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및 각종 개인 정보 탈취로 이어질 수 있다. 그 외에도 알림창에서 나타나는 Title과 Text 정보를 획득하고, SMS 문자메시지 수신 활.. 2021. 9. 16.
해외 직구 쇼핑 위장한 악성앱 주의 과거, 해외 직구 이용 방법을 모르거나 어려워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지 못하였지만, 현재는 많은 온라인 사이트와 앱들이 쉽고 간편하게 주문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을 노리고 해외 직구 쇼핑몰 앱으로 위장한 악성 앱이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트윗을 통해 발견 된 악성 앱은 크로켓 이라는 앱을 만든 회사인 "YOLO Corp" 회사에서 만든 것처럼 위장한다. 해당 앱을 설치하고 실행하면, 다른 정상 쇼핑몰 앱과는 다르게 과도한 권한을 요구한다. "LT MALL" 악성 앱은 사용자 환경의 정보들을 원활하게 탈취하기 위해 Firebase 원격지에서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제어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Firebase 클라우드 메시징(FCM)" 은 메.. 2021. 8. 31.
암호화폐 채굴 위장 앱 최근 국내외에서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악용하여 암호화폐 채굴 앱을 위장한 악성 앱이 등장하였다. 해당 앱은 Google Play에서 판매되었으며, 10,000건이 넘는 다운로드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9개 이상 유사한 형태의 악성 앱이 유포된 것으로 밝혀졌다. 유포된 앱들은 암호화폐 채굴의 동작은 하지 못하지만, 사용자를 속여 구독 및 구매를 유도하거나 광고를 띄우는 등의 금전적 이익을 취하는 악성 동작을 수행한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Google Play에서 판매되었으나, 현재는 삭제되었다. 해당 앱은 우측 빨간 상자에서처럼 정상적인 사이트에서 값을 받아오는 등 정상 암호화폐 채굴 앱인 척하지만, 실제 암호화폐 채굴 동작은 하지 못한다. 그리고 아래의 그림과 같이 사용자에게.. 2021. 8. 31.
Facebook 개인정보를 노리는 FlyTrap 악성 앱 지난 2021년 3월부터 구글 플레이를 포함한 서드 파티 앱 스토어에 업로드되어 만 명 이상의 피해자를 발생시킨 새로운 안드로이드 악성 앱이 발견되었다. 이를 처음으로 발표한 해외 정보 보안 회사 Zimperium 으로부터 FlyTrap 으로 명명된 이 악성 앱은 기존의 정보 탈취형 앱과는 다르게 Facebook 과 관련된 개인정보만을 노린다. FlyTrap 은 무료 쿠폰 제공, 설문 조사 투표 앱, 등으로 위장한 후, 앱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Facebook 계정으로 접속할 것을 요구한다. 아래 앱은 평소에는 무료 Netflix 쿠폰을 제공하는 앱으로 위장하지만, C&C 서버로부터 명령을 받으면 Facebook 계정 접속 버튼이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버튼을 클릭하면 정상적인 Facebook .. 2021. 8. 27.
암호 화폐를 노리는 Oscorp 악성 앱 지난 1월, 이탈리아의 CERT-AGID 에서 유럽의 안드로이드 사용자를 노린 정보 탈취형 악성 앱 Oscorp 에 대해 발표했다. 기기 정보 탈취, 암호 화폐 가로채기, 오버레이 공격, 등의 기능을 보유한 이 악성 앱은 초창기 활동 이후 모습을 드러내지 않다가 5월 경부터 Ubel 이라는 이름으로 탈바꿈하여 사이버 공격자들 사이에서 판매되었다. 발견된 Oscorp 앱은 정상적인 구글 플레이 앱으로 위장한다. 설치된 악성 앱을 실행하면 가장 먼저 사용자에게 접근성 서비스 권한을 요청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접근성 서비스 권한을 얻은 Oscorp 는 권한을 악용하여 감염된 기기를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 중 아래 문자열이 포함된 앱이 실행되면 해당 앱 삭제를 시도하며, 이는 백신 앱의 활동을 방해하기 위함으로.. 2021. 8.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