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78 안드로이드용 정보탈취 악성 앱 최근 안드로이드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정보탈취 앱이 발견되었다. 해당 앱은 'VPN-Secure.apk' 이름으로 유포되었으며,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여 연락처에 저장된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탈취한다. 또한, 단말기의 마이크 사용시 이를 녹음하여 원격지로 전송하기에 사생활 침해까지 이어질 수 있다. 해당 앱을 실행하면 아래의 그림과 같이 권한을 요구하고, 권한을 획득하면 악성동작이 시작된다. 악성동작을 수행하는 클래스를 서비스로 생성하여 지속적으로 반복 실행하도록 하고, 실행되는 동안 나타나는 알림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한다. 아래의 코드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탈취한다. 그리고 단말기의 network와 gps 정보를 획득한다. 이 정보는 위치에 변화가 있을 때마다 업데이트된다... 2021. 8. 9. 국내 금융 회사 앱으로 위장한 악성 앱 주의 비대면 금융 업무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뱅킹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공격자들은 이러한 점을 노리고 국내/해외 구분 없이 금융사를 사칭한 악성 앱을 제작하고 유포하는데, 그 중 국내 유명 은행을 사칭한 악성 앱이 지속적으로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해당 악성 앱은 아래와 같이, 정상 앱과 악성 앱을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위장되어 있다. 정상 앱을 설치하고 실행하면 가장 먼저 사용자에게 전화 권한에 대해서만 요구하는 반면, 악성 앱 같은 경우 과도한 권한을 요구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앱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었을 때 먼저 정상 앱은 로그인을 가장 먼저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반면, 악성 앱은 로그인 과정 없이 바로 여러 금융 상품들에 대해 신청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021. 8. 6. VNC로 원격 조종하는 Vultur 해외 정보 보안 회사 ThreatFabric 에서 새로운 안드로이드 악성 파일에 대해 발표했다. 이 악성 파일은 장기간 머무르며 먹잇감을 찾는 독수리와 같은 모습에 비유하여 Vultur 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Vultur 는 최근 유행하는 다른 악성 파일과 마찬가지로 단말기 정보 탈취, 키로깅 기능과 VNC 를 통한 화면 녹화 및 원격 제어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설치된 악성 앱을 실행하면 가장 먼저 사용자에게 접근성 서비스 권한을 요청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접근성 서비스는 본래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는 향상된 기능이지만, Vultur 는 이를 악용하여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사용자 동의 없이 버튼을 클릭하는 등의 행위에 악용한다. 접근성 서비스 권한을 얻은 Vultur 는 접근성 서비스 이벤트가 .. 2021. 8. 5. TeamViewer를 이용하여 원격 조종하는 Hydra 많은 안드로이드 악성 앱은 피해자의 단말기에서 정보를 탈취하고, 관리자 권한을 얻기 위해 노력한다. 이 중 Hydra 는 유명 원격 모니터링 프로그램 TeamViewer 를 악용하여 감염된 단말기를 조종한다. 이번에 발견된 Hydra 앱은 Adobe Flash Player 와 관련된 앱으로 위장하여 사용자의 설치를 유도한다. 설치된 악성 앱을 실행하면 가장 먼저 사용자에게 접근성 서비스 권한을 요청하는 화면을 출력한다. 접근성 서비스는 본래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는 향상된 기능이지만, Hydra 는 이를 악용하여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사용자 동의 없이 버튼을 클릭하는 등의 행위에 사용할 수 있다. 접근성 서비스 권한을 얻은 Hydra 는 단말기 내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C&C 서버로 송신한다. .. 2021. 7. 2. 국내 안드로이드 사용자 노린 MoqHao 피싱 최근 국내 안드로이드 단말기 사용자를 노린 피싱 메시지가 발견되었다. 피싱 메시지는 우체국, 택배와 관련된 문자 메시지로 위장하여 사용자가 링크를 클릭하도록 유도한다. 링크와 연결된 사이트는 Chrome 브라우저를 최신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요구하며 정보 탈취 기능을 보유한 MoqHao 악성 앱을 다운로드하도록 유도한다. 다운로드된 악성 앱은 Chrome 브라우저로 위장한다. 앱을 실행하면 통화 내역, SMS 문자, 연락처, 등 민감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요구하며, 자신을 기본 SMS 앱으로 설정하도록 유도한다. 권한을 받은 악성 앱은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고 C&C 서버로 송신한다. MoqHao 는 과거에도 개인 정보 유출, 택배 반송과 같이 사용자의 주의를 끄는 내용의 피싱 메시지를 통해 유.. 2021. 6. 10. 운송 회사 앱으로 위장한 FluBot 악성 앱 최근 DHL, FedEx 와 같은 유명 운송 회사의 앱으로 위장한 안드로이드 악성 앱 FluBot 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퍼져가는 이 정보 탈취형 악성 앱은 잠잠해지기는커녕, 지속적으로 버전 업하며 지원하는 언어를 추가하고 공격 대상 국가를 늘리고 있다. FluBot 을 실행하면 가장 먼저 사용자에게 접근성 서비스 권한을 요청한다. 접근성 서비스는 본래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는 향상된 기능이지만, FluBot 은 이를 악용하여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사용자 동의 없이 버튼을 클릭하는 행위에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접근성 서비스 권한을 악용하여 기본 SMS 앱 설정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 동의 없이 FluBot 을 기본 SMS 앱으로 설정한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접근성 서비스.. 2021. 6. 8. 이전 1 ··· 3 4 5 6 7 8 9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