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티바이러스 15

[악성코드 분석] Lokibo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견적 요청서로 위장한 Lokibot 악성코드 유포 주의 최근 국내 특정기업을 사칭해 견적 요청서로 위장한 스피어 피싱 메일이 발견되었다. 스피어 피싱은 특정한 개인이나 회사를 대상으로 공격을 시도하는데, 아래의 악성 메일처럼 정교한 내용으로 첨부된 대용량 악성 파일을 열람하도록 유도한다. 첨부 파일은 디스크 이미지 파일(.img) 형식으로 되어있으며 더블 클릭할 경우, 자동으로 마운트 되어 내부에 존재하는 실행파일(‘RFQ_UYK_1DED’, ‘kiriko_492B.exe’)을 볼 수 있다. 이를 견적서와 관련된 파일로 착각해 실행하면 ‘LokiBot’ 악성코드가 실행된다. 실행된 ‘Lokibot’ 악성코드는 웹브라우저, 메일, FTP 클라이언트 등 응용프로그램에 저장된 계정정보를 수집한 뒤, 데이터를 ..

[악성코드 분석] Gold Dragon 악성코드 주의

Gold Dragon 악성코드 주의 1. 개요 최근, 국내에서 열렸던 2018년 평창 올림픽이 무사히 막을 내렸다. 올림픽 기간 중에도 보안과 관련된 이슈는 끊임없이 계속 발생하였지만 그 중, 흥미롭게도 해외 한 백신 업체에서 평창 올림픽을 겨냥한 것으로 추정되는 악성코드에 대한 보고서를 기재하였다.게시된 글을 확인해보면 ‘Gold Dragon’ 이라고 불려지고 있는 파일에 대하여 내용이 다루어져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번 블로그에서는 해당 악성코드에 대해 어떠한 동작을 하는지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자.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구분내용파일명[임의의 파일명].exe파일크기49,152 byte진단명Trojan/W32.Agent.49152.CRX악성동작정보 탈취 / 추가 악성코드 다운 및..

[악성코드 분석] 새로 생성되는 파일도 암호화 하는 Rapid 랜섬웨어 주의

새로 생성되는 파일도 암호화 하는 Rapid 랜섬웨어 주의 1. 개요 2017년과 비교하였을 때 2018년에 랜섬웨어의 공격 빈도는 상대적으로 많이 줄어들었지만 꾸준히 발견되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rapid ransomware' 역시도 기존 랜섬웨어와 같이 파일 암호화를 진행하며 파일을 복호화 하기위해 공격자에게 이메일을 보내도록 유도한다. 'rapid ransomware' 만이 가지는 특징은 아니지만 해당 랜섬웨어는 암호화를 끝낸 뒤에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며 암호화 동작을 반복적으로 시행한다. 이런 동작으로 인하여 새롭게 생성되는 파일 역시 암호화 된다.이번 보고서에서는 새롭게 생성되는 파일까지도 암호화 하는 'rapid ransomware' 에 대해 알아보자.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구..

[악성코드 분석] 파일 바이러스 Bloored 분석

파일 바이러스 Bloored 1. 개요 대부분 사용자들이 일반적으로 악성코드하면 ‘바이러스(Virus)’를 떠오르기 마련이다. 바이러스는 사전적으로 ‘프로그램을 통해 감염되는 악성 소프트웨어’를 말하는데 보통 바이러스 감염 후에 공격자에게 실질적인 이득을 주는 기능이나, 기능 확장을 위한 추가 모듈 다운로드 및 실행 기능을 포함한다. 본 보고서에서 다루게 될 악성코드 Bloored는 앞서 설명한 바이러스 형태의 악성코드이며, 구조가 다른 바이러스들에 비해 비교적 단순하다. 본 보고서를 통해 바이러스가 다른 파일을 감염하는 방식과 공격자가 이를 이용해 불법적으로 이득을 취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구분내용파일명Bloored.exe파일크기259,072 byte진단명Wor..

[악성코드 분석] 샌프란시스코 지하철 해킹에 사용된 Mamba 랜섬웨어

샌프란시스코 지하철 해킹에 사용된 Mamba 랜섬웨어 1. 개요 지난 11월 샌프란시스코 철도 시스템(일명 Muni)의 2,112 대 컴퓨터가 랜섬웨어에 감염되었다. 이로 인해 해당 역의 결제 시스템과 스케줄링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으며, 결국 전철을 임시로 무료 개방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번 사태에 이용된 랜섬웨어는 바로 Mamba(또는 HDDCryptor) 랜섬웨어다. 해당 랜섬웨어는 파일을 암호화하는 것이 아니라 하드 디스크를 암호화하기 때문에 부팅 시 지정된 암호를 입력해야만 PC 를 부팅할 수 있게 된다. 이번 분석보고서에서는 Mamba 랜섬웨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구분내용파일명mamba.exe (임의의 파일명)파일크기2,415,104 byte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