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뱅킹 악성파일 3

[긴급]애드웨어 끼워팔기식의 메모리해킹 기법의 악성파일 급증

1. 국산 애드웨어 유통서버를 통한 악성파일 전파 패러다임의 변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산 애드웨어 서버나 프로그램 모듈을 은밀하게 위변조하여 온라인 게임계정 탈취와 메모리 해킹 등의 전자금융사기용 악성파일을 배포되고 있는 정황을 여러차례 공개한 바 있었는데, 최근들어 이 방식이 유행처럼 번져나가고 있어, 긴급대응 및 집중 모니터링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렇게 애드웨어에 끼워팔기식으로 유포하는 기법은 기존의 [Drive By Download] 기법이나 [Watering Hole] 방식을 이용한 웹 보안 관제만으로는 탐지하기가 매우 어렵고, 이용자들의 환경에 보안 취약점이 존재하지 않아도 부지불식간에 악성파일을 몰래 전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이버 범죄자들에게 감염율이 높은 공격기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

[긴급]보안강화서비스 이제는 전자금융사기 예방 서비스로 둔갑

1. 보안강화(승급)서비스 -> 전자금융사기예방서비스로 용어 변경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 인터넷 뱅킹 이용자들을 노린 악성파일(대표진단명:KRBanker) 변종들을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다. 그동안 다양한 KRBanker 악성파일들과 문자 메시지 서비스(SMS)를 이용한 피싱(파밍)시도 등이 공통적으로 이용자들을 현혹시키기 위해서 거짓으로 위장했던 이른바 "보안강화서비스", "보안승급서비스"라는 용어가 변경되기 시작됐다. 최근까지 잉카인터넷 대응팀과 여러 금융 기관들은 보안강화(승급)서비스라는 내용은 모두 존재하지 않는 허위정보라는 점을 여러차례 반복적으로 강조하고 지속적으로 안내하고 있다. 이 때문인지 최근 발견된 KRBanker 악성파일 변종이 꾸준히 사용하던 "보안강화(승급)서비..

[정보]보안승급 사칭 전자금융사기 기승, 사이버 금융범죄와의 전쟁

1. 당신의 예금을 노리는 악성파일 활개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 인터넷 뱅킹 이용자들의 심리를 교묘히 파고들고 있는 악성파일류(KRBanker)의 보안위협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여러차례 강조한 바 있다. 현재 전자금융 보안위협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위험수위가 매우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고, 사용자 예금의 불법인출 피해와도 직결되는 문제이다. 수 년간 많은 피해자가 발생하는 전화금융 사기(보이스피싱:Voice Phishing)와 다량으로 유출된 국민들의 개인정보를 악용하고 불특정 다수에게 금융정보 피싱용 도메인을 무단으로 배포하는 문자금융 사기(SMS Phishing)는 사회적인 문제 중에 하나이다. 이렇게 변모된 전자금융 보안위협은 본격적인 진화에 진화를 거듭하여 악성파일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