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 요 국내 보안업체 제품을 위장하고 있으며 제휴사 광고 목적으로 제작되어진 악성 프로그램이 국내 포털 사이트 등이 운영하는 블로그 및 카페 등의 게시글을 통하여 유포되어지는 사례가 다수 확인되어 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는 인터넷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와 관심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2. 감염 방식 및 증상 현재 이와같은 악성 프로그램 설치 방식은 국내의 특정 포털 사이트 등에서 운영하는 카페 및 블로그에 게시되어진 덧글의 단축 URL 접근을 통하여 설치가 가능 하도록 되어져 있다. 이러한 악성파일 설치방식은 소수가 아닌 불특정 다수의 접근이 용이한 포털 사이트 등과 같은 블로그, 카페 등을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앞으로 지속적이고 다양한 유포 방식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특히, 이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