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위 백신 2

Adobe Flash Player의 정상 설치 파일명으로 위장한 허위 보안 프로그램

1. 개요 최근 "Adobe Flash Player"의 정상 설치 파일인 것처럼 위장되어 유포되어지고 있는 허위 보안 프로그램이 발견되어 졌다. 해당 허위 보안 프로그램이 사용자 PC에 설치될 경우 정상파일에 대한 허위 감염 정보나 거짓 경고 메시지를 보여주고 사용자 결제를 유도하는 것이 특징 이다. 이러한 허위백신의 진단결과에 대해서는 신뢰하지 않도록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의식이 필요한 상태이다. 1-1. 사회 공학적 기법을 이용한 허위 보안 프로그램 유포 사례 관련 정보 [한글판 외산 허위 Anti-Virus 제품 주의] 출처 : http://www.nprotect.com/v7/nsc/sub.html?mode=report_view&subpage=3&no=85&page=2&field=&field_valu..

트위터(Twitter)를 통한 허위 백신 유포 주의

1. 개 요 해외시각으로 2010년 12월 16일 트위터를 통한 허위백신 유포 사례가 해외 보안업체 블로그를 통해 보고되었다. 트위터에 해당 허위 백신에 대한 홍보성 글과 함께 단축주소(Short URL)를 사용한 다운로드 경로를 공개하고 있으며, 사용자 PC에 설치될 경우 허위 오류 메시지나 악성파일 감염에 대한 거짓 경고 메시지를 보여준 후 이를 이용해 결제를 유도하고 있다. 때문에 사용자들은 이러한 허위백신에 현혹되지 않도록 하는 주의가 필요하다. ※ 참고 사이트 - http://pandalabs.pandasecurity.com/twitter-used-for-rogueware-distribution/ 2. 감염 과정 하기의 그림과 같이 트위터를 통해 허위 백신 다운로드 경로가 유포되고 있는 것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