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동향 4

2024년 07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악성코드 유형별 비율2024년 7월(7월 1일 ~ 7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외에서 수집된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유형별로 비교하였을 때 “Trojan”이 5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Virus”가 14%로 그 뒤를 따랐다.  2. 악성코드 동향2024년 7월(7월 1일 ~ 7월 31일) 한 달간 등장한 악성코드를 조사한 결과, 국내 안드로이드 사용자의 금융 정보를 노리는 "Anatsa" 악성 앱이 발견됐다. 또한, Microsoft의 SmartScreen 보안 기능을 우회하는 "FakeBat" 로더와 "ACR Stealer" 악성코드가 알려졌다. 이 외에도 메일에 첨부한 파일 속 링크를 악용한 "Poco RAT" 악성코드와 광고 차단 프로그램으로 ..

2024년 07월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통계랜섬웨어 데이터 유출 통계랜섬웨어 조직이 탈취한 것으로 주장하는 데이터가 게시된, 데이터 유출 사이트 37곳의 정보를 취합한 결과이다.2024년 7월(7월 1일 ~ 7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현황을 랜섬웨어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RansomHub” 랜섬웨어가 47건으로 가장 많은 데이터 유출이 있었고, “Akira” 랜섬웨어가 29건의 유출 사례를 기록했다.  2024년 7월(7월 1일 ~ 7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국가별로 비교하였을 때 미국이 5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캐나다가 7%로 그 뒤를 따랐다.  2024년 7월(7월 1일 ~ 7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산업별로 비교하였을 때 제조/공급 분야가 가장 많은 공격을 받았고, ..

2023년 07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진단 비율 2023년 7월(7월 1일 ~ 7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Agent”와 “KMSAuto”가 각각 3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악성코드 유형별 진단 수 전월 비교 7월에는 악성코드 유형별로 6월과 비교하였을 때 Trojan, Ransom, Backdoor, Suspicious 및 Worm의 진단 수가 증가했다. 주 단위 악성코드 진단 현황 7월 한달 동안 악성코드 진단 현황을 주 단위로 살펴보았을 때 첫째 주는 6월에 비해 진단 수가 감소했지만, 둘째 주를 기점으로 증가로 바뀌는 추이를 보였다. 2. 악성코드 동향 2023년 7월(7월 1일 ~ 7월 3..

2023년 07월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통계 랜섬웨어 데이터 유출 통계 랜섬웨어 조직이 탈취한 것으로 주장하는 데이터가 게시된, 데이터 유출 사이트 43곳의 정보를 취합한 결과이다. 2023년 7월(7월 1일 ~ 7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현황을 랜섬웨어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Clop” 랜섬웨어가 157건으로 가장 많은 데이터 유출이 있었고, “LockBit” 랜섬웨어와 “8base” 랜섬웨어가 각각 52건과 33건의 유출 사례를 기록했다. 2023년 7월(7월 1일 ~ 7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국가별로 비교하였을 때 미국이 5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영국과 캐나다가 각각 10%와 3%로 그 뒤를 따랐다. 2023년 7월(7월 1일 ~ 7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산업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