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CHYON 1328

Google Chrome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개요 Google Chrome은 제품에서 발생하는 제로데이 취약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하고, 최신 버전 업데이트를 권고하였다. 이와 관련된 대표 취약점에 대해 기술한다. 기술 해결방안 제조사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취약점이 해결된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적용한다. - Google Chrome Desktop Windows, Mac 및 Linux 용 89.0.4389.90 - Google Android용 Chrome 89 (89.0.4389.90) 참고자료 https://chromereleases.googleblog.com/search/label/Stable%20updates https://thehackernews.com/2021/03/another-google-chrome-0-day-bug-found.html

취약점 정보 2021.03.16

MS Exchange Server 취약점을 악용한 사이버 공격 발견

최근 중국의 사이버 범죄 단체 Hafnium에 의해 Microsoft Exchange Server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이 발견되어 이슈가 되었다. 이에 마이크로 소프트 측에서는 해당 취약점 네 가지에 대해 긴급 패치를 진행하였으며 이번 공격에 악용된 취약점은 MS Exchange Online과는 상관 없다고 밝혔다. 공격의 시작이 되었던 Hafnium 그룹은 주로 미국 여러 산업 부문의 기업을 대상으로 공격한다. 과거에도 Hafnium은 네트워크 서버의 취약점을 악용하여 많은 서버를 감염시켰고, 합법적인 오픈 소스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여 탐지를 우회했다. 이 후 감염을 마친 PC에서 정보를 탈취하고, 악성코드를 사용자의 PC에 다운로드하여 사용자를 협박 한 이력이 있다. 마이크로 소프트는 공식적으로 이번..

BMP 파일로 유포된 ObliqueRAT

최근 외신에 따르면 APT 36으로 알려진 파키스탄의 해커 그룹이 유포한 “ObliqueRAT” 악성코드의 새로운 버전이 발견되었다. 이번에 발견된 악성코드의 버전은 6.3.5 로, 기존에 발견된 5.2 버전과 다른 악성코드 감염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기능의 변화가 확인되고 있다. 버전별 차이점 “ObliqueRAT” 악성코드는 2019년 11월 5.2 버전이 발견되었으며, 이후 업데이트를 통해 6.3.5 버전이 발견되었다. 6.3.5 버전에서는 뮤텍스, 유포 방식, 안티 기법 및 명령 코드 추가 등 기존의 기능이 변화되었으며, 파일 탈취 및 파일 목록 검색 등의 기능이 추가되었다. 유포 방식 악성문서에서 “ObliqueRAT” 악성코드를 드랍하여 실행하는 방식에서, 파일을 ..

[랜섬웨어 분석] Sarbloh 랜섬웨어

Sarbloh 랜섬웨어 분석 보고서 최근 “2020년 인도 농업법”에 반대하는 시위가 일어났으며 법안에 대해 반대하는 세력이 “Sarbloh” 랜섬웨어를 유포하기 시작했다. [그림 1]의 최 하단부에 기재된 힌디어인 “Khalsa Cyber Fauj” 를 해석하면 “칼사의 사이버 부대” 라는 뜻으로, 칼사(Khalsa)란 시크교도들을 가리키는 말이며 이번 법안에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무리이다. 또한, 랜섬웨어의 이름인 “Sarbloh”는 칼사가 과거에 사용했던 검을 만들 때 사용하는 금속으로 시크교도들의 투쟁 의지를 나타낸다. “Sarbloh” 랜섬웨어는 피싱 메일에 악성 문서 파일을 첨부해 유포되고 있으며, 해당 문서 파일의 내부 매크로에 의해 페이로드를 다운로드하고, 실행시킨다. 실행된 “Sarblo..

IcedID 악성코드

IcedID 악성코드 최근, IcedID가 TA551 해커 그룹에 의해 다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2017년에 최초로 등장한 IcedID 악성코드는 BokBot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Microsoft Office 문서 첨부 파일과 함께 피싱 메일로 유포되며, 사용자 PC에 설치되면 원격지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은행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를 탈취한다. 감염 방식 IcedID는 감염된 PC에 대해 원격지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악성 코드의 기능을 업데이트하거나 또 다른 악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2차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IcedID 악성코드는 안티바이러스 탐지를 우회하기 위해 다양한 감염 방식을 사용한다. 이메일의 악성 문서 첨부 파일을 통한 유포 방식은 동일하지만 최종 페이로드를 인젝션하기 전..

[랜섬웨어 분석] HelloKitty 랜섬웨어

"HelloKitty" 랜섬웨어는 자사 블로그에 Hyper-V 사용자를 공격하는 신종 랜섬웨어 이슈와 CD PROJEKT RED 피해 이슈로 인해 분석돼 게시된 바 있다. 최근 해당 랜섬웨어의 추가 조사 결과, 기존에 게시된 이슈 외의 피해사례와 관련 샘플을 획득했고 랜섬노트 상단에 공격 대상으로 지정한 기업을 명시한다는 특징을 발견했다. 랜섬노트 지난 2월, 비디오 게임 업체인 CD PROJEKT RED가 “HelloKitty”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운영에 차질을 빚었다. 피해 기업은 사이버 공격을 당한 직후, 공식 트위터를 통해 랜섬웨어 공격을 받았다는 사실을 알리고, 감염된 PC에서 발견된 랜섬노트를 공개했다. 이들이 공개한 랜섬노트는 피해 기업명인 CD PROJEKT로 시작하며 Cyberpunk ..

DoppelPaymer 랜섬웨어 피해 사례 보고서

DoppelPaymer 랜섬웨어 INDRIK SPIDER 및 TA505로도 알려진 러시아 모스크바의 Evil Corp 사이버 범죄 그룹은 Dridex와 함께 BitPaymer 랜섬웨어를 유포하기 시작했다. 그 후 BitPaymer와 유사하지만 특정 프로세스를 종료 시켜 많은 파일을 암호화할 수 있고, 네트워크 명령을 통해 로컬 네트워크 및 다른 호스트의 IP 주소를 검색하는 기능을 추가한 DoppelPaymer가 2019년 6월 공개되었다. 하지만 DoppelPaymer의 출처가 Evil Corp 그룹과 연관이 있다는 추정이 있을 뿐 정확한 증거는 존재하지 않았다. 피해 사례 2020년부터 “DoppelPaymer” 랜섬웨어는 주로 자금이 충분한 기업 및 정부를 대상으로 유포되었으며, 많은 금액의 랜섬머..

2021년 02월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국내/외 랜섬웨어 피해 사례 2021년 2월(2월 1일 ~ 2월 28일) 한 달간 랜섬웨어 동향을 조사한 결과, “HelloKitty” 랜섬웨어가 폴란드 비디오 게임 개발 업체 CD PROJEKT RED를 공격했다. 또한, “DoppelPaymer” 랜섬웨어가 국내 자동차 기업의 미국 지사를 공격했고, 미국 자동 자금 이체 서비스 제공 업체인 AFTS가 “Cuba”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데이터가 유출된 사건이 있었다. 폴란드 비디오 게임 개발 업체 CD PROJEKT RED, HelloKitty 랜섬웨어 피해 사례 지난 11월 처음 발견된 “Hellokitty” 랜섬웨어에 의해 CD PROJEKT RED가 공격을 받았다. 이번 공격으로 인해 피해 기업은 일부 시스템이 암호화되어 업무에 지장을 받았고, 공..

[악성코드 분석] Orcus RA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Orcus는 감염된 시스템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액세스 트로이 목마(Remote Access Trojans, RAT) 악성코드로, 2019년 8월경 “Cisco Talos”에서 “소비자 보호 단체 BBB(Better Business Bureau)”를 사칭한 피싱 이메일의 첨부 파일을 통해 Orcus RAT 악성코드가 유포되었다고 알렸다. (출처: https://blog.talosintelligence.com/2019/08/rat-ratatouille-revrat-orcus.html) 또한 2019년 12월경, 캐나다 라디오·TV 전기통신위원회 CRTC(Canadian Radio-television and Telecommunication Commission)에서 Orcus RAT 악성코드 제작자..

[랜섬웨어 분석] HelloKitty 랜섬웨어

지난 11월 처음 발견된 “HelloKitty” 랜섬웨어에 의한 피해 사례가 꾸준히 발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비디오 게임 개발 업체인 CD PROJEKT RED를 공격한 정황이 포착됐다. 이번 공격으로 인해 피해 기업은 일부 시스템이 암호화되어 업무에 지장을 받았고, 감염된 시스템에 남겨진 랜섬노트에 따르면 “HelloKitty” 랜섬웨어 운영진들이 해당 기업에서 정보를 탈취했다고 알려졌다. 해당 사건이 발생한 후, 피해 업체는 공식 트위터에 사이버 공격을 당했고 이로 인한 몸값 지불 및 협상을 하지 않겠다는 내용을 게시했다. “HelloKitty”에 감염되면 폴더마다 “read_me_lkd.txt”란 이름의 랜섬노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감염사실을 알린다. 하지만, 이번 CD PROJEKT RED 공..